• Title/Summary/Keyword: 극장 공간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4초

일제강점기 울산지역 극장의 공연활동과 사회적 역할 (Performance Activities and Social Role of the Theater in Ul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정호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07-146
    • /
    • 2021
  • 이 글은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에서 이루어진 공연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당시 공연문화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의 문화공간은 크게 극장공간과 준 극장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울산지역의 극장공간에는 대정관, 상반관, 울산극장 등이 있으며, 준 극장공간은 울산청년회관, 울산청년동맹회관, 병영청년회관, 언양청년회관, 언양청년동맹회관, 언양기독교회관, 언양 협성여관, 언양공립보통학교, 학성공립보통학교, 서생학교, 울산공보교대강당, 언양여자야학관 등이다. 이들 공간은 특정 목적의 행사나 공연이 개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담론을 생산하는 공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극장은 영화 상연과 함께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예술가와 관객이 만나는 복합적인 문화 공간이었다. 나아가 극장은 단순히 무대 공간의 의미를 넘어 식민지 근대화와 근대의 도시 형성, 새로운 대중문화의 출현 등 다양한 이슈들을 생산, 소비하는 특수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울산의 극장들도 지역극장의 건립 목적에 맞게 외래문화 수용과 여가활동, 문화콘텐츠의 상연과 관람, 지역예술가들의 예술적 기량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였다. 그리고 정치 집회나 모임, 강연 활동, 각종 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지역담론 생산과 향유 활동의 거점 공간이었다. 정치 집회는 연주회와 겸하였고, 계몽 활동은 영화 상영과 겸하였으며, 음악 연주는 무용 공연, 자선모임과 결부되기도 했다. 특히 울산최초의 극장이라고 볼 수 있는 '상반관'과 공회당의 역할을 겸한 '울산극장'은 영화 상영과 함께 음악극, 동요대회, 동화구연대회, 소인극 공연, 가극 및 무도회 등의 공연과 함께 대중계몽을 위한 강연회, 토론회, 웅변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집회장소로 널리 활용되었고, 외부 극단 방문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등 공회당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준 극장공간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과 준 극장공간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켜 지역민들의 심미적 욕구 충족과 동시에 여론과 의제를 선도하는 공론장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그리고 근대사회의 대안적 공공영역으로 위치하면서도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무용공간의 새로운 공간 탐색 ; 극장과 미술관의 공간 연구 (A New Search for Dance Space ; A comparative Study of Spaces between Theaters and Museums)

  • 박성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4-57
    • /
    • 2019
  •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텍스트 중심으로 진행되어 플롯이 존재하고 캐릭터가 부각된다. 또한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표현력과 테크닉이 강조되는가 하면 공간에 대한 인식 역시 매우 근대적이며 이분법적인 데카르트적 사고의 전형을 보인다. 미술관이라는 공간 역시 극장 공간과 동일하게 근대적 산물의 공간인 동시에 예술이 도래하는 권위를 부여받았다는 점에서는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다. 미술관은 재현(Representation)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닌 현존(Presence)에 더한 가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들어 빈번하게 소개되는 미술관에서의 작업들은 장소특정적이거나 수행적 개념의 작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제는 미술관도 작품으로 규정된 미학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도 지금, 여기에서 발생되는 사건으로의 퍼포먼스에 주목하면서 미술관 스스로의 미학적 생산과 당위성을 보장받고 있는 셈이다.

지역문화자원으로 본 안동중앙극장 인식 (Perception of Andong Joongang Cinema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 김용남;정낙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9-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유일의 예술영화관인 안동중앙극장이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지역민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문화자원 관련 선행연구 조사와 안동중앙극장 및 예술영화관 관련 자료를 토대로 지역문화자원과 안동중앙극장의 기능을 분석하고 상관성을 검토하여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안동중앙극장의 인식을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제안된 분석틀을 토대로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안동중앙극장에 대한 인식을 문화·예술향유로서의 인식, 역사성으로서의 인식, 관광지로서의 인식, 커뮤니티형성으로서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중앙극장은 지역문화자원의 세 가지 기능인 정체성, 전통성, 공동체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안동중앙극장은 지역의 문화자원으로써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자원들은 단독으로 존재하기보다는 그 지역의 역사와 주변 환경의 흐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안동중앙극장 역시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지역의 역사성을 지키며 문화예술의 향유공간이자 관광지로서, 대중과 소통하는 문화 공간으로써 그 기능을 하고 있다. 추후 안동중앙극장이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지속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현대 도시공간 재현의 이데올로기적 변화에 관한 연구 - <살인의 추억>과 <극장전>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Modern City Space in Korean Film - & )

  • 이승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49-56
    • /
    • 2006
  • 한국의 도시화는 압축근대, 산업화의 신화를 바탕으로 국가주도로 매우 급속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공간적 팽창과 도시로의 유입인구 증가는 단순히 지리적 공간 확대만의 상징만이 아니라 사회 상부구조 구축의 영역까지도 상징한다. 본고는 영화 <살인의 추억>과 <극장전>을 중심으로 1980년대 농촌과 도시혼성 형태의 공간과 2005년 서울 도심 공간의 함의 변화를 통해 현대화 과정에서의 억압과 공포, 그리고 포스트모던 사회로의 급격한 이행을 겪고 있는 한국사회 도시 공간의 이데올로기적 변화를 확인하다.

  • PDF

극장건축의 공간유형과 도시성격의 상관성 연구-무대와 객석에 나타난 유럽극장형식의 변형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 Urban Character and the Space Type of Theater Architecture -Focus on the Uropean theater style shown on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호
    • /
    • pp.98-105
    • /
    • 1998
  • Today the worship of entertainment i.e television has created a situation of diminshing monumental environments with increasing leisure time. Let us examine retro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theater Architecture. Two aspects would stand out as Theater Architecture gets closer to the urban tradition or trends to make a part of a city come to life. One aspect is an introvert purity. The other is an extrovert organic structure on the edge of connecting urban scenary with anything hoping to find the renewable element which could be revived eternally in architecture.

  • PDF

인터넷 VOD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터넷 VOD극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Internet VOD Movies)

  • 황준석;이준기;이재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21-229
    • /
    • 2009
  •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영화 유통의 창구도 다양화 되고 있으며, 인터넷 VOD 극장은 저렴한 가격과 인터넷이라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성이 없는 특징을 통해 새로운 영화 창구로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VOD 극장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기술수용이론의 지각된 유용성과 몰입이론의 변수 그리고 인터넷 VOD 극장에서 제공하는 영화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흘드백 기간에 대한 민감도와 인터넷 VOD 극장에서 제공되는 영화 장르 선택의 다양성이 소비자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오프라인 영화관 및 다른 영화매체와의 경쟁 속에서 새로운 유통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터넷 VOD 극장의 매체적인 특성을 찾고, 인터넷 VOD 극장 이용자의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인터넷 VOD 극장 수익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다.

자연에서 찾은 건강_빛이랑 친구하자 - 빛을 디자인하는 사람 - 우리나라 최초 조명디자이너 고기영 사람에게 이로운 건강한 빛을 담다

  • 이윤미
    • 건강소식
    • /
    • 제35권2호
    • /
    • pp.10-11
    • /
    • 2011
  • 제주 나인브릿지 골프장,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 남대문의 서울스퀘어, 충무로 대한극장 등. 이 공간의 공통점은 고기영 조명디자이너의 손길이 닿은 작품이라는 것이다. 밤이 낮보다 아름다운 공간을 수놓는 조명디자이너. 그녀가 생활하는 공간은 어떤 공간일까. 지난 1월 12일 한남동 '비츠로' 사무실에서 고기영 대표(48세)를 만났다.

  • PDF

공연시설의 공간구성별 동선체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오페라 전문극장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Circulation System by the Spatial Composition of Performing art Facilities - Focusing on Dedicated Opera House -)

  • 한수호;고재민;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3-188
    • /
    • 2006
  • In general, performing facilities consist of various functional groupings. The functional groupings should be arranged, in relation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irculation of users in a space. The performing culture in Korea has been rapidly progressed in recent years. However, compared to the superior examples of foreign performing facilities, it still needs improvements and systematic research.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groupings of general performing facilities as well as the circulation patterns of users will b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irculation system for each spatial composition will be suggested for the performing facilitie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 PDF

K 문화센터 턴키설계사례

  • 김덕수;연창근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8호
    • /
    • pp.32-39
    • /
    • 2002
  • K 문화센터는 공연 및 전시를 위한 고품격 문화 시설로서 주요 시설인 공연장은 규모 및 용도에 따라 오페라 극장, 콘서트홀, 실험극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공연장은 타 공간에 비해 높은 정숙도와 쾌적한 내부 환경, 피난 계획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실의 특성에 적합한 공조 설비, 방음.방진 및 방재 설비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설계사례에서는 최고 수준의 공연장 계획에 적합하도록 각 분야별로 적용된 시율레 이션 기법 및 신공법과 함께 주요 기계설비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