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극배치 영역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41초

해밀톤 행렬의 성질을 이용한 지정된 디스크내의 극 배치법 (A Pole Assignment in a Specified Disk by using Hamiltonian Properties)

  • Van Giap Nguyen;Hwan-Seong Kim;Sang-Bong Kim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4권6호
    • /
    • pp.707-71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선형 시불변 시스템에 대해 상태되먹임을 이용한 폐루프계의 지정된 영역내의 극배치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된 기법은 해밀톤 행렬의 하중행렬 Q의 설정에 의해 지정된 영역 (α중심, γ반경)내에 극배치가 가능함을 보인다. 먼저, Gershgorin의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 해밀톤 행렬을 등가 변환시킨 후 행렬의 각 계수를 α와 γ의 관계를 이용하여 유도한다. 위의 관계를 만족하는 해밀톤 행렬의 각 하중행렬과 변환행렬을 이용하여 폐루프계의 상태되먹임 제어칙을 구한다. 또한 본 기법은 해밀톤 행렬과 최적제어와의 관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얻어진 폐루프계는 최적제어법에서와 동일한 강인함을 가지게 된다. 끝으로 예제를 통하여 지정된 영역내의 극배치가 이루어짐을 보인다.

  • PDF

쌍선형 변환에 의한 연속 시간계의 설계 (Design of Continuous-Time System Using Bilinear Transformation)

  • 김상봉;안휘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3호
    • /
    • pp.137-142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연속시간계의 설계 문제에 있어, 연속계의 설계방법 그대로서는 설계 불가능한 하나의 문제, 즉, 복소좌반 평면상의 어떤 지정한 폐영역내의 극배치 문제를 쌍선형변환법을 이용해서 해결하는 하나의 설계방법을 제안했다. 실제적인 시스템 설계의 경우, 폐루우프 계의 특성근을 정확히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여야만 할 경우는 드물고, 대개의 경우, 어떤 희망하는 영역내에 배치하면 충분하다. 특히 구체적으로 극을 지정하는 지침에 결핍되어 있을 경우나, 폐루우푸 계의 특성인 속응성, 진동특성, 안정도 등을 고려할 경우, 그 극을 지정 위치에 배치하기보다도 어떤 지정한 영역내에 배치하는 쪽이 유효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다변수제어계의 설계 문제에 있어,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극 배치영역을 고려한 자기 부상계의 로버스트 서보제어기 설계 (The Robust Servo Controller Design of Magnetic Levitation System Considering Pole Assignment Region)

  • 김창화;정해종;양주호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4-91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 state feedback controller design method of the integral type magnetic levitation servo system which satisfies the design objectives. The design objective is a $H_{\infty}$ performance, asymptotic disturbance rejection and a robust pole assignment in linear matrix inequality(LMI) region. To the end, we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the designed controller which considering a robust pole assignment region, through results of simulation.

  • PDF

CRA와 W-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제어기 설계 (Digital Controller Design Using CRA and W-Transform)

  • 임연수;김영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75-76
    • /
    • 2008
  • 이산시간 모델로부터 시간응답 설계 명세를 만족시키도록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R-S-T형의 고정된 제어기 구조에서 폐루프 전달함수가 원하는 기준전달함수와 일치하도록 제어기 이득을 구한다. 시간 응답을 만족시키는 목표전달함수는 w-영역에서 CRA를 이용하여 선택되며 이 함수를 z-영역으로 변환시켜 얻는다. 예제를 통해 제시한 방법의 유용성을 보이고 극배치 방식과 비교한다.

  • PDF

다층상구조물의 강인 진동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obust Vibration Control for a Multi-Layer Structure)

  • 김창화;정병건;정해종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8호
    • /
    • pp.1212-12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실용설계의 새로운 도구로써 제어계의 강인성, 성능, 안정성 등의 설계지침을 정량화하기 쉽고 해가 효율적으로 구해져 주목받는 선형행렬부등식을 이용하여 강인한 LMI 제어기를 설계한다. 우선 다층상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해 수학적 모델링을 행하고 적분형 서보계를 적용한 LMI 제어 기법으로 상태 피드백 제어칙을 설계한다. 다음으로 설계한 제어칙으로 시스템 불확실성의 변동에 대해 시간영역의 설계사양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실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환원극 블록과 공기 유량 영향에 대한 전산 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f Cathode Block and Air Flow Rate Effect on PEMFC Performance)

  • 조성훈;김준범
    • 공업화학
    • /
    • 제33권1호
    • /
    • pp.96-102
    • /
    • 2022
  • 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반응물인 수소와 산소는 기체 상태이므로, 반응물이 원활히 전달될수록 작동 전압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높은 전류밀도 영역에서 산소 물질 전달이 전압 손실을 좌우하므로, 환원극 유로의 형상 변경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환원극 유로 형상 중에서 유로를 막는 블록은 반응물을 다공성 매질인 기체확산층으로 강제 대류 하도록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단 채널의 연료전지 모델에 블록을 배치하였다. 전산 유체역학을 사용하였고, 공기 공급 유량을 달리하였을 때 블록으로 인한 강제 대류 효과가 전압-전류 곡선과 국부 전류 밀도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체확산층으로의 강제 대류 현상을 통하여 적은 공기 공급 유량으로도 높은 전류 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다수의 블록을 직렬로 배치한 경우에 1개의 블록만 배치한 것보다 강제 대류 효과를 증가시켜 높은 전류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교량의 그룹 스터드 전단연결부 강도평가 (Evaluation of Static Strength of Group Stud Shear Connection in Precast Concrete Deck Bridges)

  • 심창수;전승민;김동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33-345
    • /
    • 2008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교량의 적용이 2거더 교량이나 개구제형 강박스 교량으로 확대되고 있다. 소수거더교에 프리캐스트 바닥판 교량의 적용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완전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전단연결재의 배치이다. 좁은 영역에 많은 연결재를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단면 손실이 커서 철근의 배치가 어렵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설계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스터드 전단연결재의 최소 간격보다 좁은 연결재 간격을 가질 경우의 극한 강도 특성을 정적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최소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할 경우에 현재의 설계기준 강도보다 낮은 극한 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보강 혹은 포켓부의 부분보강의 효과로 인해 강도 증진이 나타났다. 그룹 스터드 전단연결부의 설계는 연결재 전단강도와 콘크리트 슬래브의 강도의 상대적인 비로부터 파괴모드를 예측하고 연결재 파괴를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실험결과로부터 스터드 간격을 고려한 그룹 스터드 전단연결부의 극한강도에 대한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피로실험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이 연구의 실험범위내에서는 그룹스터드 전단연결부의 피로강도 감소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세를 개선하였다.

지정된 디스크 영역 내 극 배치법을 이용한 비선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퍼지 제어기 (Fuzzy Controller for Nonlinear Systems Using Pole Placement in a Specified Disk)

  • 이상준;이남수;주영훈;박진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302-2304
    • /
    • 2000
  • This paper addresses a fuzzy controller for nonlinear systems control using a pole placement in a specified disk. In the method, we linearize a nonlinear plant about nominal operating points and represent it using TS fuzzy model and formulate the controller rules. A feedback control law for a local model is determined using a pole placement in a specified disk(${\alpha}$:center ${\gamma}$:radius} region so that the closed loop system is stable. A nonlinear system can be controlled by combining fuzzy controller with a pole placement scheme which can be used to modify the transient response such as damping ratio and overshoot. A stability of overall fuzzy control system is guaranteed in the Lyapunov sense. Finally,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feasible through a computer simulation.

  • PDF

회전자계 역수신 코일을 이용한 관벽의 자기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Lumen Wall using Quadrature-typed Inside-out Receiver Coil)

  • 문치웅;조종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5-39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회전자계역수신코일(quadrature typed inside-out receiver coil)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코일 바깥 영역인 팬텀 관벽에 대한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이하 MRI라 함)을 얻었다. 자기공명영상법에 있어서 역 솔레노이드코일이나 8극 코일과 같은 기존의 역수신코일(inside-out receiver coil)은 영상영역(Imaging region)이 좁을 뿐만 아니라 영상영역 내의 영상신호가 불균일 (inhomogeneous)하다는 단점들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보완하면서 신호대잡음비(S/N ratio)도 이론적으로 약 1.4배 높일 수 있는 회전자계역수신코일(quadratic inside-out receiver coil)을 제안하여 관벽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코일을 개발하였다. 코일은 두 개의 안장코일 (saddle coil)을 서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최대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하였다. 코일에 대한 컴퓨터 모의실험(simulation)을 8극코일. 단일안장코일과 회전자계코일에 대해서 수행하였고 이들 각각 코일을 제작하여 팬텀 관벽의 영상 실험을 1.5T와 0.3T MRI 장치에서 수행하였다. 회전자계역수신코일의 성능은 단일안장코일과 8극코일보다 감도의 균일도가 우수하였고 신호대 잡음비도 단일안장코일에 비하여 약 36% 높게 측정되어 이론적인 41%와 근사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측지 역 문제 해석기법의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Methods to solve the Geodetic Inverse Problem)

  • 이용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9-3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WGS84 세계타원체를 기준으로 다양한 거리의 '표준측지선'은 물론, 극 및 적도와 그 주변을 지나면서 '특이영역에 위치하는 측지선'을 대상으로 측지 역 문제의 해석기법 별 정확도 및 특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측지 역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전통적인 방법은 물론 최근 제시된 방법 등 다양한 측지 역 문제 해석기법의 알고리즘, 총 18종을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하였다. 두 측점의 배치 상태에 따른 '표준 측지선' 및 '특이영역'에 위치한 측지선을 대상으로 거리 및 전방 방위각을 각기법별로 산출하고 Karney 해석법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측지선에서 약 100km 이하의 단 측지선의 경우, 18가지 역 문제 해석 기법 모두, 매우 근접한 측지선의 길이를 나타낸 반면, 4,000km 이상의 중 장 측지선의 경우는 길이 및 전방 방위각에서 Karney, Vincenty 및 Pittaman 기법이 매우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특이영역'에 대한 다양한 역문제의 해석결과, Karney 기법이 일관성 있는 종합적인 해석결과를 제시한 반면, 수정 Vincenty 기법을 제외한 다른 해석법들은 특이영역의 상황에 따라 좀더 면밀한 측지선의 거동분석과 함께 알고리즘의 수정 보완이 요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