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림

검색결과 2,474건 처리시간 0.037초

『논어』의 '회사후소(繪事後素)'에 관한 미술학적 고찰 (A study on art-science of Huì-shì-hòu-sù(繪事後素) in 『the Discourse of Confucius』)

  • 백범영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105-134
    • /
    • 2009
  • 미술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고전 중의 "논어'를 필독서로 여겨왔다. 여기에 나오는 '회사후소(繪事後素)'라는 말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는 물론이고 그림을 논하는 사람들까지 모르는 이가 없다. 그러나 그 의미를 "그림 그리는 일은 바탕을 갖춘 뒤에 하는 것이다" 또는 "그림 그리는 일은 나중에 흰색으로 완성한다"라고 해석하여 의견이 분분하다. 그림을 그리는 방법은 시간이 흘러도 잘 변하지 않는다. 학자들은 대개 전문적인 회화를 상투적으로 알고 있으며, 회화적인 기법에서의 흰색의 특수성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어떤 경우라도 그림을 그리기 전에 바탕처리를 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림을 완성할 때 흰색으로 마무리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고대의 채색화라도 오늘날의 비단 그림과 다르지 않다. 삶의 바탕이 되는 소양과 예술적 감각을 키워준 '회사후소'는 화가들의 뇌리에 새겨진 매우 유효한 미학사상이 되었다. '회사후소'에 대한 해석은 예논(禮論)의 시대적인 변화와 관련되지만, 본고에서는 순수하게 미술학적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GPT and Stable Diffusion as a tool to recommend picture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 Soo-Hwan Lee;Ki-Sang S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209-2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인 ChatGPT와 Stable Diffusion을 활용하여 교사가 입력한 수업 주제어에 따라 교수·학습용 그림 자료를 추천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교육적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구현한 프로그램은 키워드 당 30가지 내외의 그림 자료를 추천하였으며 부적절한 그림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필터링 되었다. 전체 그림자료 추천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6분 내외이다. 대체로 키워드와 관련된 그림을 추천해 주었으며 추천한 그림 속의 글자는 글자를 나타내려는 의도만 알 수 있고 글자를 인식하고 뜻을 알 수는 없었다. 그러나, 추천되는 그림의 종류나 내용이 ChatGPT의 응답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과 모든 키워드에 대한 그림을 정확하게 추천할 수 있는지 알 수 없는 점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추천된 그림이 키워드와 관련된 것은 사실이나 교육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는 인간 교사의 판단에 맡겨야 할 논의의 대상이라고 결론지었다.

어린이그림책화면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ty of the Image of Picture Book for Children)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3-242
    • /
    • 2003
  • 어린이그림책에 표현된 일러스트레이션은 하나의 화면뿐만 아니라 화면과 화면의 조화로운 연결로 그림책의 줄거리와 내용을 전달한다. 그림책화면에는 빈 여백과 형태, 질감과 색채, 그리고 공간감 등의 구성요소들이 있어 화면상에 놓여진 위치에 따라 어린이에게 다양한 정서와 감동을 준다. 따라서 어린이그림책에는 자연스러운 이야기 내용과 함께 통일성과 리듬감 있는 구성요소로 화면의 흐름을 전달하는 연속성이 있다. 화면의 연속성은 글과 그림, 화면과 화면, 그리고 화면 내에서 그림의 연결에 따른 시각적 연상으로 이미지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어린이가 이야기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그림책화면의 연속성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개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어린이그림책화면의 조화로운 연결에 대한 올바른 표현방향을 제시한다.

  • PDF

The Prehistoric Paintings in the Hall of Bulls of the Lascaux Cave are Identified as Arrays of Constellations and Dark Clouds

  • Kim, Kwang-Tae;Kim, Youngsik
    • 천문학회보
    • /
    • 제41권2호
    • /
    • pp.47.3-48
    • /
    • 2016
  • 프랑스 몽티냑에 위치한 라스코 동굴에는 오늘날까지 발견된 수많은 구석기시대 동굴벽화 가운데 대표적인 그림들을 보존하고 있다. 동굴 벽화는 대략 BC 15,000년 전 것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몇몇 학자들에 의해서 그 가운데 몇몇 그림들이 별자리를 그린 것이라는 이론이 제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굴 그림 가운데 황소 전당에 그려진 벽화를 별자리로 동정해 보았다. 그 결과 이것들이 성좌화임을 발견했다. 그림은 흥미롭게도 별자리와 암흑 성간운을 구별했는데 별자리는 윤곽선으로 그린 반면 검은 성간운은 검은 바탕의 그림으로 나타냈다. 그림은 벽화들의 특징과 구도 그리고 배열순서로 볼 때 전천 성좌도를 그린 것으로 동정되었는데 이는 당시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들과 암흑 성간운들의 구도와 배열의 일치에서 신뢰할 수 있었다. 벽화에는 황소자리, 플레이아데스, 오리온삼성, 오리온자리-쌍둥이자리, 사자자리-처녀자리-뱀자리, 천칭자리-사수자리-전갈자리가 그려져 있으며, 특히 은하중심의 사수자리에서 고물자리에 이르는 길다란 은하평면상의 검은 암흑성간운들의 특징적 나열을 들판을 뛰어가는 검은색 동물로 나타냈다. 척도를 감안해서 볼 때, 그림의 구도와 배열순서가 밤하늘에 보이는 것과 거의 같다 할만큼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어서 구석기인들이 지적능력이 오늘날 현대인들과 다를 바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추정된다.

  • PDF

미술 치료를 위한 LMT 그림 진단 지원 시스템 (LMT Diagnosis Assistance System for Art Therapy)

  • 소현경;서영훈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24-30
    • /
    • 2018
  • LMT 는 10 가지 풍경요소 그림을 이용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그림 검사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LMT 그림 분석에 필요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를 기반으로 그림 검사 후 내담자에게 제공되는 평가 보고서를 생성하는 LMT 그림 진단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이 시스템은 각종 문헌 및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진단 결과를 생성하기 때문에 진단 결과의 객관성을 제고한다. 또한, 향후 LMT 그림분석에 대한 지식을 지식 베이스에 축적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본 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으며, 실제 사례를 이용하여 지원 시스템의 효과성을 보였다.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의 면지 유형 (The Endpaper Types of Bologna Ragazzi Award Korean Picturebooks)

  • 남아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27-3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면지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2022년 현재까지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 25권의 면지 유형을 세 가지 기준('앞뒤면지 동일성', '미술 유형', '콘텐츠 유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앞뒤면지가 서로 상이한 그림책이 약간 더 많았고, 면지의 미술 유형은 삽화, 패턴, 단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콘텐츠 유형으로는 페리텍스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한국 그림책의 면지가 서사와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면지의 심미적, 서사적 역할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비증착 방법에 의한 사용후 핵연료의 EPMA 분석

  • 정양홍;송웅섭;김도식;김희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353-354
    • /
    • 2004
  • 사용후 핵연료의 조성을 분석하거나 또는 반사전자상과 2차 전자상 등으로 시료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핫셀(Hot cell)에 증착기(coater)를 설치하여 시료표면을 전도성 물질인 탄소 등으로 증착시켜야 한다. 그러나 원격조정기를(manipulator)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핫셀에서의 증착작업은 사용후 핵연료 시험의 선진분석기술을 갖고 있는 원자력 선진국에서도 핫셀내에 설치되어 있는 증착기의 탄소봉을 교체하는 작업과 진공장치의 성능 유지가 까다로워 시료표면에 균질하게 전도성 물질을 증착시키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증착기를 사용하지 않고 Silver Paint를 사용하여 사용후 핵연료를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물 핵연료는 전기전도도가 매우 낮아($3{\times}10^{-1}~4{\times}10^{-8}/ohm{\cdot}cm$)입사된 전자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일어나는 들뜸(Charging)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Silver Paint 에 사용후 핵연료를 접착하면 모세관(capillary)현상에 의해 시료 주위와 핵연료의 결정립계로 Silver가 스며들어 입사된 전자의 이동이 원활해져 전도성이 극히 낮은 시료의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시험에 사용된 EPMA는 (Electron Probe Micro Analyzer, SX-50R, CAMECA, Paris, France) 고 방사능을 띤 조사 핵연료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기의 적절한 부위에 납과 텅스텐으로 차폐되어 시편의 방사능 세기가 $3{\times}10^{10}Bq$까지 시험 가능한 기기이다. 그림 1은 JAERI 에 설치 운영중인 증착기 설비 사진이다. 그림에서 핫셀에 설치된 증착기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핫셀 벽을 관통하여 증착기 본체까지 연결된 배출관의 형상과 복잡한 주변장치들을 볼 수 있다. 그림 2는 비조사 핵연료 시편을 Silver Pain떼 접착한 사진이다. 그림은 시료주위와 시료 표면까지 Silver Paint가 도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용발전소에서 연소도가 50,000 Mwd/tU인 사용후 핵연료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시편의 표면을 관찰한 사진을 그림 3~8에 나타내었다. 그림 3은 핵연료 중앙부위의 결정립을 나타낸 그림이다. Silver Paint만으로 접착한 시료의 표면관찰 및 정량분석이 그림에서 보듯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4는 사용후 핵연료시료를 중앙부위에서 가장자리까지를 다섯 부위로 나누어 그 중 중앙부위(1/5) 지점의 입계 및 형상을 관찰한 사진이다. 결정립의 크기가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결정립에 생성된 기공이 발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5와 6과 7은 중심부위와 rim부위 사이 지점을 관찰한 사진으로서 결정립과 기공의 분포가 비슷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림 8은 rim 부위 사진으로 전형적인 rim 영역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표 1은 그림 2와 같이 비조사 산화물 핵연료를 Silver Paint로 접착한 시편을 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과 활동내용 분석 (Analysis on Picture Books and Activity Contents of Book Start Program)

  • 연혜민;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72-98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 유아를 대상으로 한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과 활동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사례집에 수록된 그림책 244권과 활동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 유형은 전체적으로는 판타지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나, 연령별로 살펴보면 6-18개월 영아는 놀이책, 19-35개월 영아는 정보그림책, 36개월-취학 전 유아는 판타지그림책이 많았다. 둘째, 그림책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자연탐구, 사회관계, 예술경험의 순서로 많았고 연령별로는 전 연령 모두에서 자연탐구 내용이 가장 많았으나, 그 이외의 내용에서는 연령마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그리고 연령별로 모두 미술 활동이 가장 많았으나, 그 이외의 활동내용에서는 연령마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이 영 유아의 발달특성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택하였으나, 그림책의 내용과 활동내용의 연관성이 긴밀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교육자들에게 효과적인 그림책의 선택과 활동에 대한 정보와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아-아버지 그림책 읽기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참여 실태 (Fat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Picture Book Reading with Toddlers)

  • 김명순;배선영;김지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77-29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영아 자녀를 둔 아버지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인식과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59%의 아버지는 12개월 이전부터 자녀와 그림책을 읽어야하고, 36%는 자녀가 원할 때까지 함께 그림책을 읽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림책 읽기의 효과로는 책을 통해 얻는 정서적 측면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그림책을 읽는 빈도가 1주일에 1-2회(46%), 3-4회(37%)이었으며, 1회 평균 책읽기 시간이 6-10분(37%), 11-15분(24%)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시, 60%의 아버지는 내용과 그림을 설명해주고, 24%는 자녀의 질문에 답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아버지는 영아의 선택과 요구를 존중하고, 영아의 반응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려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책 읽기 시 어려운 점으로 시간과 기술의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들의 그림책 읽기 인식과 실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추후 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야외지질답사 및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학생들이 그린 그림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Purposes and Functions of Students' Drawing while on Geological Field Trips and during Modeling-Based Learning Cycle)

  • 최윤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8-10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그린 그림이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의 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한탄강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야외지질답사와 3차시 모델링 3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 차시별 학생들이 작성했던 모든 기록장(글, 그림), 연구자 필드노트, 학생들이 참여한 모든 영상 자료 및 음성 녹음, 전사한 인터뷰 자료 등을 연구진과 공유하였다. Hatisaru (2020) 그림 표상화를 야외지질학습의 맥락에 맞게 수정하여 그림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글(text, memo)을 포함한 그림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연연적 내용 분석(deductive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림이 모델링 기반 순환 과정(자료 수집 관찰, 모델 생성, 모델 발달, 자연현상의 구체화)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그림 유형은 지질학적인 개념을 포함한 상징적 이미지, 지형학적으로 외형을 묘사한 외형적 이미지, 학생들의 심리적인 영역을 표현한 정의적 이미지가 있었다. 특징은 설명, 생산화, 정교화, 증거, 일치, 심상(心狀)으로 분류하였다. 그림의 유형과 특징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학생들의 모델 발달 과정 속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인 영역에 관한 특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반영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그림은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과정 모두에 있어서 학생들의 사고와 의사표현을 반영할 수 있는 도구로써 의미를 있음을 밝힘으로써 과학교육 관계자들에게 학생들의 그림 그리기 활동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