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룹 활동

Search Result 759,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의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반성적 탐구양식의 특징

  • Park, Mi-Ra;Jeong, Jin-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31-244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활동을 학생들의 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반성적 탐구활동이 교육과정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소그룹내의 상호작용특성에 따라 반성적 탐구양식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이 어떤 반성적 탐구양식을 보이며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관한 이해를 제공하고, 수업속의 맥락은 이러한 반성적 탐구학습을 증진시키고 억압하기위해서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 소그룹을 이용한 탐구활동 수업과 반성적 탐구활동수업 중 반성적 에피소드의 차이가 있는가, 소그룹내의 그룹상호작용의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유형의 차이는 있는가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 기존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의거한 탐구활동수업 4차시, 반성적 탐구교육과정 수업 4차시를 각각 실시하고 수업을 녹화 전사해서 언어행동 분석틀과 반성적 탐구의 3가지 맥락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도입에서 두 교육과정 모두 A-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전형적으로 자주 나타나며, 반성적 탐구 교육과정수업에서는 AD-SR가 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과제활동초기에 역할 분담과 과제 활동의 전략을 세우며, 전략을 세울 때 영역개념을 이용하는 것을 안수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반성적 탐구진술이 간단하고 계획과정이 짧으며,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부분에서는 두 교육과정모두 DI-DP, DI-A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나 자료 항목과 자료 패턴 그리고 인공물과 관련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반성적 교육과정수업에서는 대체로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과 과제 맥락을 연결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잘 나타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단계에서는 반성적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DC-DP가 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

  • PDF

The Analysis of Metacognitive Activity Through Writing Using CAS Calculator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활동 분석)

  • Kim, In-Kyung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4
    • /
    • pp.531-545
    • /
    • 2010
  •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find out the learning method for mathematics underachievers of middle school. The tested method were metacognitive activity through writing. For conducting research, I had selected mathematics underachievers of middle school. After selecting them, I made two group. One group studied using CAS calculator with paper and pencil. And another group studied using paper and pencil only. Both groups exhibited metacognitive learning activities. The analysis of result shows that the group with CAS calculator did better than the group of paper and pencil.

  • PDF

Mobil Agent based User Group Management for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분산 가상 환경을 모빌 에이전트 기반 참여자 그룹 관리)

  • 이승근;탁진현;이세훈;왕창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36-238
    • /
    • 1999
  • 컴퓨팅 능력의 발달과 네트워크의 대용량화로 인해서 다중 참여자를 고려한 분산 가상 환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분산 가상 환경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다중의 참여자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참여자 그룹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분산 가상 환경에서의 참여자 그룹 관리는 참여자의 가입, 탈퇴 처리와 현재 상태의 제공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참여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의 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그룹 활동의 지원과 각각의 참여자가 수행한 작업의 형태와 그룹에 대한 정책등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참여자 그룹 관리 방식에는 중앙 서버에 지나친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하기 위한 고려도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모빌 에이전트를 기반한 분산 가상 환경을 위한 참여자 그룹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의 특징은 하나의 그룹내에 다수의 소그룹이 존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그룹 활동을 지원하며, 그룹의 현재 상태 정보 뿐만 아니라 그룹에 참여하는 각각의 참여자들의 행위 정보와 이동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참여자를 진단을 욕하는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빌 에이전트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중앙 서버에 대한 지나친 부담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larm and Memo Application for Group Members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알람 및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 Park, Su-Hyun;Lim, Yong-Min;Oh, Da-Se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255-256
    • /
    • 2014
  • 최근 학생들과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취업과 자기계발을 위한 그룹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룹 활동 중 팀원 간 원활한 연락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룹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속한 다양한 그룹들을 모바일 기기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은 그룹 구성원로부터 설정된 알람을 그룹 구성원 전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여행 시 개인별로 준비해야 할 준비물이나 회의 시 지참해야 할 자료 목록과 내용을 그룹 구성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 PDF

Effects of Group Programs on Soci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ctivities in Chronic Stroke (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 수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Hyun, Choi-Ji;Bak, Ah-Ream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8
    • /
    • pp.573-581
    • /
    • 2019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program on interactions and activity performance and among chronic stroke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This study was performed on 8 chronic stroke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for 40 weeks for group program once a week for 60 minutes. group programs consisted of gross motor, fine motor, and cognitive activities that led to interactions among group members. Results were assessed by using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evaluation of the task performance and social interaction was conduct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ocial interaction anxiety level of subjects after group program interventi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all of the subjects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fter the intervention. group program provided by the to chronic stroke patients living in the community is a approach that enhances the interacts with the members, task performance of the subjects and helps them design a meaningful life.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ts Application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Christian Universities (자아탄력성의 이해와 기독교대학에서의 소그룹 활동을 통한 적용)

  • Bong, Won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3
    • /
    • pp.509-52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f resilience and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university, and to explore small group activities as a protective and a positive factor in controlling the stress of college students. A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positive roles of resilience to the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elements that promote the efficiency of resilience are analyzed. The study precedent in detail and four elements of resilience are presented as following; optimistic realism, vitality, ability to control emo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addressing the faith in God is one of the strong positive factors for developing resilience. Then, this study deals with how the four elements of resilience relates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Christian universities to develop small group activities because they can develop each of the four elements of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Christian universities have a missional duty and the responsibility to help college students experience real happiness in their lives. Therefore, if Christian universities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faith, they can help students not only to live a positive life in their generation, but also to experience the authentic happiness.

Analyzing Perception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in the Gifted Education of Korea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 Jeong, Hyun-Chul;Park, Young-Shin;Hwang, Dong-Jo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2
    • /
    • pp.151-162
    • /
    • 2008
  •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s and perceptions of gifted students and their teachers during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in Korea. Some 1,670 gifted math students and 1,732 gifted science students as well as 614 of their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based on reviews of literature related to inquiry and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Korean gifted education,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were frequently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both the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d its effects to be very positive in terms of cognition and affection. (2) Gifted education teachers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rocedural inquiry skills as well as logical thinking skills, whereas they were indifferent to the essential elements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therefore the lessons did not surpass the level of traditional group activities. (3) The fact that the actual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ell-organized small group activities is due to a lack of knowledge on the teacher's part as to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concerning cooperative learning. This study implies that gifted education teachers requir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and develop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through professionally developed program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in gifted education.

IETF IPSEC 관련 그룹 및 MSEC 그룹 표준화 동향

  • 홍기훈;정수환;이계상
    • Review of KIISC
    • /
    • v.14 no.2
    • /
    • pp.38-45
    • /
    • 2004
  • 본고에서는 IETF IPSEC WG과 IPSEC프로토콜 관련 표준화 작업을 위해 최근 결성되어 관심을 모으고 활발히 활동을 시작한 MOBIKE WG 및 PK14IPSEC WG의 표준화 활동을 소개하고 간략히 요약한다. 또한 멀티캐스트 보안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는 MSEC WG기 활동을 소개하고 현재 진행 사항과 최근의 표준화 작업의 내용과 기술 동향을 기술한다.

Students'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Inquiry Dispositions According to the Modes of Interaction of Small Group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Inquiry Class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의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학생들의 반성적 탐구의 특성)

  • Park, Mi-Ra;Jeong, Jin-Woo;Che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6 no.7
    • /
    • pp.843-85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ubstance of the reflective inquiry of students and obtain educational suggestion to the inquiry class for the promotion of the reflective inquiry, by checking out which characteristics the reflective inquiry showed according to the modes of interaction of small group in highschool earth science inquiry class. The result of study is shown as follows. At the stage of developmentand conclusion, the reflective inquiry relating the task context to data context was often appeared on the group of the modes of comfort interaction, but it was very rare on the group of modes of confrontation interaction. And the reflective inquiry scale value of the latter was two times lower than the former, The comfort group showed much more reflective inquiry statements quantitatively and performed much more meaningful reflective inquiry relating the task context to the data context. The heterogeneous group in the inquiry ability and the cognitive style showed confrontation interaction modes in the affective domain, having the most negative influence on the reflective inquiry. The homogeneous group both in the cognitive style and the inquiry ability showed the comfort interaction mode, having positive int1uence on the reflective inquiry.

Physics Teachers' Group Argumentation and Written Arguments about Physics Content and Teaching (물리 교사들의 교과 내용과 교수 학습에 관한 집단 논증활동과 개인적 논증 글 분석)

  • Lee, Eun Kyung;Kang, Nam-Hwa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38 no.2
    • /
    • pp.109-12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group argumentations mediated individual arguments by analyzing physics teachers' group argumentation and individual follow-up written arguments. Five in-service phys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middle school and three high school teachers. The topics of argumentation included physics topics and pedagogy of them. Findings showed that the teachers constructed much more elaborated individual written arguments than group argumentation, which seemed to be resulted from different perceptions of teachers' verbal and written argumentations. Also, in their written arguments the teachers selectively utilized their colleagues' ideas shared during group argumentation. Lastly, teachers' argumentation showed different features between topics of physics and physics pedagogy. These differences were related to their orientations toward argumentation about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a productive physic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rgu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