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픽방법

Search Result 92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Visualizing Method and Expression for Big Data (빅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과 표현 연구 (광주 대중버스노선 이용 실태를 적용한 태블루를 활용한 시각화 표현))

  • Moon, Hee Jeoung
    • Smart Media Journal
    • /
    • v.8 no.1
    • /
    • pp.59-66
    • /
    • 2019
  • The importance of data is increasing at a high rate as data is massively generated and taken into account in various policy supports and contents. However, because of their speed of growth,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ata that is needed. Both the methodological elements that summarize the data and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visualization that help to see at a glance are important. This paper summarizes data visualization methods to improve the currently used design - oriented infographics and propose data - centric infographics. In addition, we will present examples of data analysis and infographics production using Tableau Public.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bus user data was used for infographics production,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number of passengers using the stopping point is similar to that of the general passengers, while it is different from the numbers of transit passengers and teen riding-and-transit passengers. Data-centric infographics visualization, unlike existing infographics that is pronounced only as a visual role,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for scientific research as well as efficiently delivering data.

SVG document editing system based on XML for structured graphic representation (XML기반의 구조화된 그래픽 표현을 위한 SVG문서 저작 시스템)

  • 배희재;송병규;김윤기;김창수;정회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817-819
    • /
    • 2004
  •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은 기존의 정적인 웹을 탈피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더욱더 동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요구하는 형태로 바뀌어 가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터넷 상에서 표현의 고급화와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방식의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들이 논의됨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는 SVG(Sealable Vector Graphics)를 제안하였다. SVG는 기존의 인터넷에서 사용되던 비트맵 기반의 디스플레이 보다 훨씬 풍부하고 정교한 그래픽 표현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능이나 장지 호환성의 희생 없이 완전하게 벡터 그래픽을 표현한다. 또한. 그래픽에 대한 논리적인 구조를 기술함으로써 인덱싱, 검색, 저장 또는 공유가 가능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VG에 관한 기초기술 연구 및 구조화된 SVG 문서를 사용자 중심의 편집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손쉽게 그래픽 객체를 직접 저작함에 따라 복잡한 SVG 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SVG 문서 저작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A Study on the Invisiblizing Expression through Graphic Skins -Focusing on the case of super graphics on Seoul Plaza Stage (그래픽 외피를 통한 비가시화 표현 연구 -서울광장 특설무대 슈퍼그래픽 사례를 중심으로)

  • Yoo, Yoon 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7
    • /
    • pp.73-78
    • /
    • 2020
  • Modern architecture and design show experiments that practice exchange and convergence with other genres through expansive think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use of graphic skins as a means of dematerializing and invisiblizing expressions of architecture. The method of realizing 'invisible architectu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ethods that use materials that manipulate light and graphic approaches based on trickery techniques. The exterior wall graphic of the special stage in Seoul Plaza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of dematerialization to make the building structure light and transparent, and a case to propose the role of super graphics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original place by erasing disharmonious elements from the field of view. It is expected that the graphic skin will be used as a powerful means of expression in the era of 'invisible architecture' as an effective camouflage method and media beyond the means of decorating the exterior walls of the completed facilities.

Hardware-based Level Set Method for Fast Lung Segmentation and Visualization (빠른 폐 분할과 가시화를 위한 그래픽 하드웨어 기반 레벨-셋 방법)

  • Park Seong-Jin;Hong He-Len;Shin 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268-27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볼륨영상에서 객체를 빠르게 분할하고 동시에 대화식으로 분할과정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그래픽 하드웨어를 사용한 레벨-셋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GPU 내에서 효율적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관리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GPU 내 텍스쳐 메모리 형식에 적합하게 데이터를 패킹하고, CPU의 주메모리와 GPU의 텍스쳐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둘째, GPU 내에서 레벨-셋 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9가지 경우로 나누어 연산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연산의 효율성을 높힌다. 셋째, front의 변화를 대화식으로 확인하고, 파라미터 변경에 따른 분할 과정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그래픽 하드웨어 기반 빠른 가시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방법을 평가하기 위하여 3차원 폐 CT 영상데이터를 사용하여 육안평가를 수행하고, 기존 소프트웨어 기반 레벨-셋 방법과 수행시간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다. 본 제안방법은 소프트웨어 기반 레벨-셋 방법보다 빠르게 영상을 분할하고 동시에 가시화함으로써 데이터 량이 많은 의료응용에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PDF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모션그래픽의기본적 요소에 대한 연구>)

  • Jang, Tae-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70-376
    • /
    • 2006
  • 산업 전반에 걸친 활발한 디지털로의 진전은 영상산업의 전통적인 방법을 변화시키며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산업의 발전 중에서도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의 활용도와 중요성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은 그 짧은 기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다른 예술분야의 특성을 차용하여 예술의 한 장르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빠른 시간 발전하는 국내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모션그래픽은 전통적인 디자인 영역과 새로운 영역의 디자인에서도 모두 관심을 모으는 부분일 것이다. 짧은 시간 동안 모션그래픽은 영화, 광고, 뮤직비디오, TV, web 등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는 매체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장르로서의 모션그래픽이 등장한 시점은 얼마 되지 않았으며, 디자이너들이 이러한 영상에 자유로운 기법이나 실험성을 가지게 된 것도 극히 최근의 일이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발전하는 디지털기반의 영상 제작 환경에서 영상의 한 요소로써의 모션 그래픽의 기본적 요소를 고찰함으로, 이 개념을 정립하려고 한다. 그 요소로는 공간, 모션 그래픽의 객체들의 시간개념과 움직임, 색체와 사운드를 규정하고, 이를 여러 디지털적인 환경에서 규정한다.

  • PDF

통계적 그래픽스 도구로서의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

  • Jang, Dae-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75-180
    • /
    • 2005
  • 탐색적자료분석을 위한 도구로서 그래픽 방법들을 자주 쓰게 되는 데 이러한 그래픽 방법 중 평행좌표그림을 대상으로 이 방법을 확장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그림인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은 탐색적자료분석 도구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 PDF

Graphical Methods for Evaluating Supersaturated Designs (초포화계획을 평가하기 위한 그래픽방법)

  • Kim, Youn-Gil;Jang, Dae-He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1
    • /
    • pp.167-178
    • /
    • 2010
  • The orthogonality is an important property in the experimental designs. We usually use supersaturated designs in case of large factors and small runs. These supersaturated designs do not satisfy the orthogonality. Hence, we need the means for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the orthogonality of given supersaturated designs. We usually use the numerical measures as the mean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the orthogonality of given supersaturated designs. We can use the graphical method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the orthogonality of given supersaturated designs.

Introduction to S-PLUS and graphical comparison with SAS (S-PLUS의 소개 및 SAS 와의 그래픽 비교)

  • 김성수;한경수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6 no.1
    • /
    • pp.1-11
    • /
    • 1993
  • Statistical graphics have been important new tools for data analysis and many statistical softwares are exploiting graphical methods. Among these softwares available in personal computer at low cost, we intriduce S-PLUS(version 2.0). S-PLUS is an interactive graphical data analysis system and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SAS/GRAPH is another popular graphical system for displaying data in the form of color plots, charts, maps, and slides on screen and hardcopy devices. S-PLUS is compared to SAS/GRAPH(version 6.04) in viewpoints of statistical graphics.

  • PDF

Hardware-based Level Set Method for Fast Lung Segmental ion on CT Abdomen Image (복부 CT 영상에서 빠른 폐 분할을 위한 그래픽 하드웨어 기반 레벨 셋 기법)

  • Park, Seong-Jin;Hong, Hel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86-88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복부 CT 영상에서 폐 부위를 빠르게 분할하기 위하여 그래픽 하드웨어를 사용한 레벨 셋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레벨 셋 기법을 그래픽 하드웨어로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초기 레벨 셋 값 설정과 설정된 레벨 셋 값을 텍스처메모리에 저장한다. 둘째, 레벨 셋 기법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속도함수를 그래픽 하드웨어의 빠른 연산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레벨 셋 값을 갱신한다. 셋째, 갱신된 레벨 셋 값을 통하여 제로-레벨 셋을 찾는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방법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복부 CT 영상을 사용하며, 육안평가 및 수행시간 면에서 기존 소프트웨어 기반 레벨 셋 기법과 비교분석한다. 실험결과 본 제안방법은 소프트웨어 기반 레벨 셋 기법과 분할결과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평균 9배 빠르게 폐 부위를 분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kill education of 3D game graphics data using VRML (VRML을 이용한 3D 게임 그래픽 제작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 김치훈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3
    • /
    • pp.101-11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general computer graphics courses and game development ones and to find out making various improvements in game graphics courses. In addition to general hand-drawing skills and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which are essential for the students who major in game graphics; however, the special classes should be required for them to comprehend the work process of game development and to produce the game graphics data. This necessity of the discriminative education is going to be an identification of game development department. Although loading game data onto a game engine and finding out the solution to problems of data is one of the excellent settlement for educating game graphics students, it is not possible to purchase the commercial game engine such as Quake or Lithtech and to analyze the commercial program libraries.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presents the replacement of commercial game engine with VRML97 for the academic purpose and shows what effect upon education will be. It is expected that the VRML97 can be a substitute of the game engine for the effectiveness of game graphics education with more active study and verification of game fiel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