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Visualizing Method and Expression for Big Data

빅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과 표현 연구 (광주 대중버스노선 이용 실태를 적용한 태블루를 활용한 시각화 표현)

  • 문희정 (호남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Received : 2018.12.10
  • Accepted : 2019.03.05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e importance of data is increasing at a high rate as data is massively generated and taken into account in various policy supports and contents. However, because of their speed of growth,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ata that is needed. Both the methodological elements that summarize the data and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visualization that help to see at a glance are important. This paper summarizes data visualization methods to improve the currently used design - oriented infographics and propose data - centric infographics. In addition, we will present examples of data analysis and infographics production using Tableau Public.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bus user data was used for infographics production,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number of passengers using the stopping point is similar to that of the general passengers, while it is different from the numbers of transit passengers and teen riding-and-transit passengers. Data-centric infographics visualization, unlike existing infographics that is pronounced only as a visual role,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for scientific research as well as efficiently delivering data.

하루가 다르게 방대한 데이터가 생겨나고, 데이터를 반영한 정책지원이나 콘텐츠들이 증가하면서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의 시각화 측면에서 모든 데이터를 살펴보는 것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시각화의 기술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요약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돕는 시각화의 방법론적 요소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 중심의 인포그래픽을 개선하고 데이터 중심의 인포그래픽을 제안하기 위해 데이터 시각화의 표현 방법을 정리하고, 시각화의 방법을 Tableau Public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 및 인포그래픽 제작사례를 제시고자 한다. 인포그래픽 제작을 위해 광주광역시 버스 이용자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분석결과 정류소 사용 총 승객수는 일반 승객수와는 유사한 결과를 보이지만 환승역 이용 승객, 청소년 승차 환승 승객수에 따른 정류소와는 차이를 보였다. 그래프 유형에 따라 시각적인 결과는 다르게 도출되었다. 데이터 중심의 인포그래픽 시각화는 기존의 인포그래픽의 시각적인 역할만 강조한 것에 비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물론 과학적 연구를 위한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혜진, "효율적인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정보 시각화 체계와 표현 특성 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185-201쪽, 2017년 9월
  2. 이지선,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방법 및 표현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4권, 제3호, 259-269쪽, 2013년 6월
  3. 이충권, "빅데이터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4권, 제3호, 56-61쪽, 2015년 9월
  4. 심미희, 류시천, "빅데이터 통계그래픽스의 유형 및 특징-인지적 방해요소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3권, 제3호, 26-35쪽, 2014년 9월
  5. Visual.ly가 공개한 인포그래픽 자동제작툴 '비주얼닷리 크리에이트' 사용후기(2015년) http://viceversablog.co.kr/220416089284(11, 5, 2018)
  6. Cairo, A. The Functional Art: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Graphics and Visualization. Berkeley: New Riders, 2012.
  7. Data Analytics(2015) https://blog.naver.com/vipjune85/(11. 5. 2018)
  8. Kim, D.H, "A Case Study of Infographics for National Defense - Focusing on the Data journalism of Afghanistan War in Guardia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22, no.5, pp.43-52, Oct. 2014 https://doi.org/10.12672/ksis.2014.22.5.043
  9. 함유근, 채승병, "빅데이터, 경영을 바꾸다", 삼성경제연구소, pp.1-55, 2012년.
  10. Jason Lankow, Josh Ritchie, Ross Crooks, Infographics: The Power of Visual Storytelling, John Wiley & Sons, pp.1-263, 2012.
  11. E Segel, J Heer, "Narrative visualization: Telling stories with data.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vol.16, no.6, pp.1139-1148, Oct, 2010 https://doi.org/10.1109/TVCG.2010.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