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귤응애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귤응애에 대한 팔라시스이리응애의 포식특성 (Characteristics of Predation of Neoseiulus fallacis (Acarina: Phytoseiidae) on Panonychus citri (Acari: Tetranychidae))

  • 김동환;김상수;김광식;현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5-152
    • /
    • 2006
  • 감귤의 중요 해충인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목적으로 귤응애에 대한 팔라시스이리응애의 포식특성을 조사하였다. 25$^{\circ}C$ 항온조건에서 귤응애의 알, 유충, 전약충, 후약충에 대한 팔라시스이리응애 암성충의 1일간 포식량은 각각 20.1, 26.1, 18.2, 7.4개체로 유충에 대한 포식량이 가장 많았다. 온도에 따른 포식량 조사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포식량이 증가하였으며, 이 때 팔라시스이리응애가 귤응애 알을 포식한 후의 출산능력(팔라시스이리응애 출산 알수/포식된 귤응애 알수), 즉 전환율은 10$^{\circ}C$를 제외하고는 0.09로 일정하였다. 잎 절편의 지름을 각각 20, 40, 60 mm로 하여 귤응애 알을 먹이로 공급했을 때 1일간 포식량은 각각 21.1, 17.3, 16.7개로 잎 면적이 증가할수록 포식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팔라시스이리응애는 귤응애 알, 유충, 약충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먹이밀도가 증가할수록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율은 점차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반응 H형의 특성을 보였다. 이상의 시험결과 팔라시스이리응애는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 인자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감귤원에 발생하는 귤응애에 대한 3종 이리응애의 포식량 비교 (Comparison of Predation Rates of Three Phytoseiid Mite Species on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on Citrus Tree)

  • 김동환;김광식;현재욱;정순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5-60
    • /
    • 2002
  • 국내 자생종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a)와 도입종인 Amblyseius fallacis Garman,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 등 3종 이리응애의 감귤원 귤응애에 대한 포식능력과 피식자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사육실($25^{\circ}C$, RH 65%, 16L : 8D)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귤응애 알에 대한 포식량은 A. fallacis 20: 1개, 긴털이리응애와 T. occidentalis는 각각 1.1개와 9.1개였다. 귤응애 유충과 제1약충 그리고 제2약충에 대해 긴털이리응애는 각 23.8, 16.5, 9.0마리, A. fallacis는 각 26.1, 18.2, 7.4마리 그리고 T. occidentalis는 각 7.8, 4.2, 4.2마리를 포식하였다. 20:1의 비율에서 귤응애 밀도억제효과는 긴털이리응애와 A. fallacis는 효과가 좋았으나 T. occidentalis는 효과가 매우 낮았다. $25^{\circ}C$에서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긴털이리응애는 6.1일, A. fallacis는 5.9일로 두 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유자에서 귤응애의 천적종류와 주요종의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Predators on Yuzu tree (Citrus Junos))

  • 김규진;최덕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19
    • /
    • 2000
  • 유자과원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천적의 종류 및 주요 포식성 천적의 시기별 발생량을 '96년부터 '98년까지 3년동안 전남 고흥지역에서 조사하였다. 귤응애의 천적으로는 Oligota kashimirica benifica, 깨알반날개(O. yasumatsui), 꼬마무당벌래(Stethorus punctillum), 칠성풀잠자리붙이 (Chrysopa pallens),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응애총채벌레(Scolothrips takahashii),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그리고 관총채벌레류 1종으로 총 5목 7과 9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우점천적은 깨알반날개류와 꼬마 무당벌레였다. 유자과원에서 깨알반날개류는 5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며 년 4~5세대를 경과하였고, 4세대인 9월 상순에 연중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꼬마무당별레는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년 3세대 경과하였고 6월 하순~7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먹이인 귤응애와 포식자인 천적의 시기별 밀도변동을 볼 때 9월까지는 귤응애의 발생상황에 따라서 포식자의 발생밀도도 증감하는 시기적 일치 경향을 보였으나, 10월 이후 귤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포식자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불일치 현상이 나타났다.

  • PD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딱정벌레목:반날개과)의 응애류 포식량과 포식선호성 (Predatory Preference and Predation Amount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Coleoptera: Staphylinidae) about Spider Mites)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1
    • /
    • 2003
  • 포식성 천적 O. kashmiricabenefica의 식식성 응애류 3종에 대한 포식량, 포식선호성 그리고 동족포식을 조사하였다.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먹이인 응애의 밀도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5^{\circ}C$ 항온조건하에서 O. kashmirica benefica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각각 21.9, 13.5, 14.1마리씩 포식하였다. 유충의 포식량은 영기가 증가할수록 많아져서, 1령, 2령, 3령 유충이 각각 2.8, 11.2, 25.4마리의 귤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유충기간(5일, $25^{\circ}C$)동안 각각 77.7, 61.3, 73.0마리씩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과 성충은 글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중에서 특정한 종을 선호하는 경향은 없었으며, 먹이가 없을 때에도 동족포식 정도는 매우 낮았다.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Amblyseius fallacis의 방사수준 (Release Level of Amblyseius fallacis Garman (Acarina: Phytoseiidae) for Biological Control of Panonychus citri McGregor (Acari: Tetranychidae) on Citrus)

  • 김동환;김광식;현재욱;임한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3-240
    • /
    • 2003
  • 항온$.$항습 조건에서 Amblyseius fallacis의 접종밀도별 귤응애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6 : 1(Panonychus citri :A.fallacis) 이상의 비율로 접종한 경우에 귤응애의 밀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리고 귤응애의 초기 밀도가 잎 당 0.5마리와 1마리일 때 20:1로 1-2회씩 방사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A.fallacis의 밀도는 다소 높게 형성되었으나 귤응애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감귤나무에서 귤응애가 잎 당 0.1-0.2마리 정도일 때 10:1로 2회 방사한 경우에는 A.fallacis의 밀도도 높게 형성되었으며,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한 처리구와 동일할 정도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곳은 수관 내부이므로 수관 내부와 외부의 환경차이를 조사한 결과,주간에는 수관내부가 외부에 비해 기온은 낮고,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A.fallacis의 서식에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은 7.2$^{\circ}C$ 이상, 상대습도는 18.5% 이상까지도 차이가 있었다.

온주밀감에서 귤응애의 이항표본조사법 개발 (Binomial Sampling Plans for the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Acari: Tetranychidae) on Satsuma Mandarin Groves in Jeju)

  • 송정흡;이창훈;강상훈;김동환;강시용;류기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7-202
    • /
    • 2001
  • 제주지역의 온주밀감 과수원에서 귤응애(Panonychus citri (McGregor)) 밀도에 대해 잎당 응애수를 2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이항표본조사법은 잎당 귤응애의 밀도와(m)와 귤응애가 T마리보다 많이 존재하는 잎의 비율($P_{T}$)과의 관례를 기본으로 하며, T는 경험적 이항분포모형 [$ln(m)-{\alpha}+{\beta}ln(-ln(1-P_{T}))$]에서의 tally threshold로서 본 연구에서는 1, 3, 5, 7을 사용하였다. 표본단위 수의 증가는 T와 관계없이 이항분포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이 거의 없었던 반면에 T는 값이 증가함에 따라 표본수를 증가시켜도 정확도가 낮아졌다.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는 T=1일 때 가장 높았으며, 최적의 tally threshold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항표본조사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독립된 표본을 추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밀도추정에는 T=1인 경우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귤응애 밀도를 분류하기 위한 이항표본조사과정을 개발하여 action threshold가 귤응애 밀도가 잎당 2마리일 때의 이항표본조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 PDF

온주밀감에서 률응애의 공간분포분석 및 표본추출법 (Dispersion Indices and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the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Acari: Tetranychidae) on Satsuma Mandarin on Jeju Island)

  • 송정흡;이창훈;강상훈;김동환;강시용;류기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5-109
    • /
    • 2001
  • 귤응애의 예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분산형태에 대해 2개년(1999~2000년)에 걸쳐 잎 표본에 대하여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으며, 잎 표본 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다. Taylor's power law의 기울기와 절편은 조사한 포장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상수값을 이용하여 잎 표본 조사에 의한 귤응애 약 .성충에 대한 고정정확도수준에서의 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이 조사법에 대해 re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독립된 4개의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질 고정정확도(D)값이 요구되는 D값보다 항상 낮았으며, 나무당 귤응애 밀도가 8마리 이상에서 필요한 조사 나무수는 18주보다 작았다.

  • PDF

천적유지식물로써 괭이밥에 대한 기초연구: 괭이밥의 귤응애 밀도억제효과와 천적 2종의 괭이밥응애 포식력 (A preliminary study of Oxalis corniculata L. as a new banker plant: Control efficacy against Panonychus citri (McGregor) and feeding ability of two natural enemies on Tetranychina harti (Ewing))

  • 오창학;진혜영;안태현;송유진;전혜정;이준석;함은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67-273
    • /
    • 2017
  • 귤나무속 과수의 주요 해충인 귤응애의 방제효과 극대화를 위해 괭이밥의 천적유지식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괭이밥을 지피식물로 조성한 처리구에서 일반 초생재배구에 비해 포식성 응애류 밀도가 평균 3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제초구에 비해 3.7배 낮은 귤응애 발생 밀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칠레이리응애는 괭이밥응애 알과 성충을 포식하지 못하였고, 사막이리응애는 일일 평균 괭이밥응애 알 1.96개와 암컷 성충 1.93개를 포식하였다. 온도 $23{\pm}1^{\circ}C$, 습도 $70{\pm}5%$, 광조건 16L : 8D로 설정된 사육실에서 괭이밥응애 알에서 성충까지 17.4일이 소요되었으며 77.5%의 부화율과 84.8%의 유충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감귤원에서 가을철 귤응애 성충의 공간분포와 표본조사 (Spatial Dispersion and Sampling of Adult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McGregor) (Acari: Tetranychidae) in Citrus Orchard in Autumn Season)

  • 송정흡;김수남;류기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9-34
    • /
    • 2003
  • 귤응애 성충의 표본추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01-2002년)동안 8월부터 11월까지 잎과 열매에 대해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잎과 열매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를 시기별로 비교하였으며, Taylor's power law (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다. 잎(X)과 열매(Y)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는 ln(Y+l)=1.029 ln(X+l)($r^2$=0.80)의 직선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열매가 성숙될수록 잎보다 열매에서 귤응애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잎과 열매의 표본조사에서 TPL이 IPR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으며,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두 표본단위간, 연도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착도 0.25일 때 요방제밀도 2.0, 2.5와 3.0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표본추출조사법을 개발하였으며, 조사에 필요한 최대조사나무수(고정표본크기에서 필요 나무수)는 각각 19, 16과 15주였으며, 이 때의 의사결정임 계값 $T_{critical}$은 각각 554,609와 659였다.,609와 65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