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형 훈련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3초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균형 훈련과 체성감각을 이용한 균형훈련이 균형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improvement on balance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and somatosensory)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677-684
    • /
    • 2020
  • 본 연구는 대구 Y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대학생 15명을 무작위로 선발하였다. 실험 군은 총 3군으로 실험 전 각 실험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균형운동으로 닌텐도 Wii(Nintendo -RVL-001(KOR)를 사용한 집단, 시각과 토구를 이용한 균형운동 집단, 시각을 차단하고 토구를 이용한 균형운동 집단 등 각 집단 5명을 훈련시킨 후 MFT와 EMG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FT측정 결과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균형 훈련과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 훈련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훈련과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 훈련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EMG 측정 결과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훈련과 시각되먹임과 체성감각을 병행한 균형훈련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p<.05), 시각되먹임을 이용한 훈련과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훈련, 그리고 체성감각만을 이용한 균형훈련과 시각되먹임을 병행한 체성감각훈련 사이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시각되먹임만을 이용한 균형훈련보다 체성감각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균형능력이 감소된 환자들의 균형감각능력증진에 체성감각훈련이 좌우차이와 좌우빈도를 맞추는데 효과적이고 시각되먹임은 동적 균형 증진에 효과적이므로 이 두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게임기반의 시각 피드백 훈련이 자세균형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e-based Visual Feedback Training on Postural Balance Control)

  • 이정원;유미;정구영;이낙범;권대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5-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자세균형 훈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적용한 시각 피드백 자세균형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자세균형 조절 능력의 향상에 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힘판 기반 자세균형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23명의 피험자들이 일주일에 3일, 하루에 15분씩 4주간의 자세균형 훈련을 받았다. 게임기반의 시각 피드백 자세균형 훈련에 대한 평가는 Balance SD(Biodex, medicalscience Inc., USA)의 자세 균형 평가를 통하여 자세안정성과 자세한계성을 분석하였으며, 실험자의 자세균형 능력의 증진을 통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세안정성과 자세한계성 모두 훈련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이번 연구 결과는 게임기반의 시각 피드백 자세균형 훈련이 자세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향후 다양한 자세균형 훈련의 프로그램 종류, 강도 및 각 질환별 최적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연구가 필요하다.

성인 편마비환자의 계단 높이에 따른 보행훈련시 균형 및 근활성도 분석 (The Analysis of Balance and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Stair Height Gait Training in Adult Hemiplegia)

  • 최윤희;김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2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성인 편마비 환자의 계단 높이에 따른 보행 훈련을 통하여 균형과 근활성도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편마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5cm, 10cm, 15cm 높이의 계단 보행 훈련군으로 나누어 계단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임상적 균형능력 측정도구인 Berg Balance Scale(BBS), Timed up and go(TUG), Functional Reach Test(FRT)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균형변화에서는 세 군간 계단 보행 훈련 전과 후의 균형 변화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가장 큰 변화량을 보였다. 근활성도변화에서는 계단 오르기시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장딴지근, 15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모든 근육들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계단 내리기시 근활성도 변화에서는 5cm 높이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앞정강근와 장딴지근,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모든 근육들이, 15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이 통계학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따라서, 높이에 따른 계단 보행 훈련은 편마비 환자의 임상적 균형 능력과 근활성도를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는 다른 높이의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보다 약간 상대적인 증가를 보였다.

  • PDF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비교 (Comparison of Balance Ability for Cerebral Vascular Accident)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1048-1051
    • /
    • 2011
  • 이 논문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 훈련이 안정 지지면에서의 균형 훈련과 비교하였을 때 균형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30명으로 안정지지면 운동군과 불안정 지지면 운동군으로 분류하여 주 3회 6주동안 실시하였다. 균형능력의 측정은 Good balance system를 사용하였다. 안정지지면 운동군에서는 속도모멘트만 감소하였고, 불안정 지지면 운동군에서는 내외측, 전후방, 속도모멘트에서 감소하여서, 안정 지지면 운동군보다 불안정 지지면 운동군에서의 운동이 균형 훈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을 감고 있을때는 눈을 뜨고 있을 때보다 안정 지지면과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균형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지지면에서의 균형훈련보다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훈련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들에 대한 샌들과 균형 융합 운동이 정적균형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andal and balance convergence exercise on static balance and proprioception on patient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 이은상;이승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3-148
    • /
    • 2018
  • 본 연구는 샌들을 이용한 균형 훈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에 균형 능력과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으로 진단받은 대상자 36명을 무작위로 샌들운동과 균형훈련, 대조군으로 할당하였으며, 정적균형능력과 고유수용성 감각 평가를 중재 전-후 실시하였다. 12명의 샌들운동군은 균형샌들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12명의 균형훈련군은 고전적인 균형훈련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은 동일한 시간, 동일한 조건에서 30분 동안 주당 3회를 8주간 실시하였다. 샌들을 이용한 균형훈련 집단은 두 집단보다 균형능력에서 전반적인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p<.001), 고유수용성 감각은 가쪽번짐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1). 따라서 샌들을 이용한 균형훈련은 만성발목 불안정성 환자뿐 아니라 노인의 낙상예방 훈련에도 긍정적인 중재 방법이 될 것이다.

편마비 환자의 균형 증진을 위한 시각적 되먹임 운동 (3D Visual Feedback Exercise on Hemiplegia Patients for the Balance Ability)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68-71
    • /
    • 2012
  • 이 연구는 시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3차원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3D 시각적 운동을 이용한 균형 훈련을 실시하였고, 11명은 고전적인 균형훈련을 실시하였다. 운동은 주5회 6주 동안 이루어졌다. Berg Balance 척도를 통해 균형정도를 측정하였다. 3D 시각적 운동을 이용한 그룹에서 균형 정도가 더 많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3D 시각적 운동은 뇌졸중환자의 균형훈련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과제 지향 훈련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sk-Oriented Exercise on the Balance in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 지상구;김명권;이동걸;차현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22-232
    • /
    • 2012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난 후 3주 이내의 환자 24명에게 과제 지향 훈련과 체중 이동 훈련이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과제 지향 훈련군(실험군) 12명과 체중 이동 훈련군(대조군) 12명을 2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각 군의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aitview 시스템과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통해 정적 균형을 측정하였고, Balance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실험 전과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 지향 훈련군이 체중 이동 훈련군에 비해 정적, 동적 균형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조기 환자들에게 과제 지향 훈련이 균형 능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각 통제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ion Control Balance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 이연섭;김진상;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18-724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 적용한 시각 통제 균형훈련이 환자의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26명의 뇌졸중 환자들로 하여 환측 1/2시각통제군(9), 건측 1/2시각통제군(9), 비시각통제군(8)으로 나누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흔들림 균형 판(posturo-med)위 시각통제 후 거울 1m앞에서 자기를 주시하며 균형 훈련을 8주간 주 4회 20분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의 중재 전, 4주, 8주 후 균형 능력을 측정하여 균형유지시간, 근 활성도를 측정 하였다. 훈련 전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시각통제 균형 훈련은 균형시간의 증가와 안쪽 넓은 근의 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본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시각통제 균형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 훈련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alance and Trunk Repositioning Sense with Multisensorial Training using Visual Cue Depriv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소동학;이완희;윤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37-743
    • /
    • 2013
  • 본 연구는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다중감각 훈련군은 시각통제 후 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안대로 눈을 가린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군과 동일한 훈련을 실행 하였다. 두 군 모두 훈련 과정은 4주간 주 5회 60분 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사전, 사후 평가로 정적 균형, 동적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감각 훈련군에서 훈련 전, 후를 비교한 결과 정적 균형, 동적 균형, 체간위치감각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p<.05), 두 그룹 사이에서는 동적 균형, 체간위치감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중감각 훈련은 동적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 제시 할 수 있다.

고령자의 게임기반 시각피드백 훈련에 따른 자세 균형 효과 (Effects of Postural Balance at Game-based Visual Feedback Training of the Elderly)

  • 이정원;유미;이아름;권대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9-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게임 콘텐츠를 적용한 시각 피드백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 여성 고령자와 정상 20대 성인의 자세균형 조절의 효과를 분석 하였다. 실험은 힘판 기반의 자세균형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20대 성인 23명과 60대 고령자 14명은 주 3일, 하루에 15분씩 총 4주의 자세균형 훈련을 받았다. 자세균형 훈련에 대한 평가는 Balance SD(Biodex, medicalscience Inc., USA)의 자세 안정성과 자세 한계성을 분석하였으며, 훈련 전, 중, 후의 각 시점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젊은 성인과 고령자 모두 훈련 전, 후에 자세안정성과 자세한계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이는 자세 균형게임은 자세 균형과 관련된 전 후 좌 우 다양한 방향에서의 무게 이동 능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게임 기반 시각적 피드백 훈련은 자세균형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며 개인과 다양한 연령층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