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규격

Search Result 5,96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pectacle Frames Standards (안경테 표준규격 실태에 관한 비교 연구)

  • Yu, Dong-Sik;Kim, In-Su;Son, Jeong-Sik;Sung, Duk-Yo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4 no.1
    • /
    • pp.9-15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national standards an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in spectacle frames. Methods: We surveyed the latest published KS,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DIN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and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standards with relating spectacle frames. The titles that were considered in comparative study were terms and vocabulary, measuring system and terminology, marking,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mers, screw threads, and others. Results: There were 9 different languages such as English (USA and UK), French, Russian, Japanese, Chinese, German, Italian and Spanish for the lists of equivalent terms and vocabulary in all standards except KS and ANSI, but gave an explanation for terms and vocabulary in only KS. Complementary terms and definitions were not existed in annex of KS and ANSI for measuring system and terminology, but they were included in annex of standards of the others. KS and ANSI standard for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differed from the ISO revision. Except JIS and ANSI, standards of formers were almost identical. KS standard of screw threads were similar to JIS. Standards of welded joints and nickel release did not exist in KS. Conclusions: All standards except ANSI tend to follow ISO, especially DIN is almost entirely identical to ISO. But KS is behind the times because it has been amended lately or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older editions of ISO. Therefore, in order to assist quality control and safety for spectacle frames, KS standards shall be superseded by the specifications which is identical to ISO within a reasonable time.

  • PDF

Welding Specifications and Quality Systems (용접규격과 품질시스템)

  • 최병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3 no.1
    • /
    • pp.11-22
    • /
    • 1995
  • 용접관련 국가규격(KS)를 보완하고 지원하는 단체규격을 제정하고 보완하는 단체규격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단체규격은 외국의 유사단체의 규격과 상호인증이 가능하도록 정비되어져야 한다. 용접기술분야에서 단체규격의 주체는 외국의 경우는 용접협회인바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한용접학회와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단체규격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단체규격의 수준을 높이고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가 적극 참여하여 규격을 정비할 수 있 도록 정부 또는 관련 사업계로부터 지원이 필요하다. 국내 용접관련 규격을 국제적 수준으로 정비하는 사업이 정부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 용접관련 규격을 해석하고 산업체에 규격적용의 문제점을 자문할 수 있는 전문가가 양성되어 져야 한다. 이러한 전문가는 우리산업체가 해외에서의 규격관련 분쟁에서 유리한 입장을 지킬 수 있도록 훈련되어져야 한다. 또한 국제 규격 제정 활동에도 참여하여 국가이익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용접규격의 현황과 발전방향

  • 최병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0 no.4
    • /
    • pp.66-74
    • /
    • 1992
  • 규격은 제정 주체에 따라 사내표준, 단체규격, 국가규격, 지역규격 및 국제규격으로 분류된다. 시장경제의 블록화, 관세이외의 무역장벽 및 공업제품에 대한 품질향상의 요구확대등에 기인하여 공업규격에 대한 인식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ISO 9000 시리즈가 국내 공업제품의 생산활동과 수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용접관련 규격의 현황을 파악하고 우리가 지향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글에서 규 격의 종류를 개괄하고, 용접관련 규격이 각 공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살폈으며, 끝으로 용 접학회가 규격활동에 정진하여야 함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 PDF

포장과 법률-수산물표준규격

  • Korea Packaging Association INC.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167
    • /
    • pp.146-153
    • /
    • 2007
  •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은 수산물의 전근대적인 유통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포장을 표준∙규격화하는 '수산물 표준규격 고시를 만들어 최근 고시했다. 이로 인해 1백 여종 이상의 포장규격이사용되는 등 천차만별이었던 수산물의 포장규격이 종류별로 통일될 것으로 보인다. 검사원은 고시에서 수산물의 표준거래 단위를 3kg, 5kg, 10kg, 15kg, 20kg으로 구분해 규정했고, 포장재질은 골판지 상자나 발포폴리에스틸렌 상자, 그물망 등을 사용하도록 했다. 해양수산부도 앞으로 수산물 규격상자를 만드는 업자들에게 표준규격을 따르도록 권장하고 수산물 표준 규격집을 만들어 어업인, 유통업자들에게 배포하는 한편 고등어 등 일부어종에 시범적으로 표준규격을 도입함으로써 표준규격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본 고에서는 주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Military and Federal Specification (금속표면처리의 미국정부규격)

  • Won, Guk-Gw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 /
    • v.20 no.1
    • /
    • pp.25-30
    • /
    • 1987
  • 미국의 정부규격은 국방규격(Military Specification and Standard) 연방규격(Federal Specification Standard)이 있으며 금속표면처리에 관련된 규격인 전기도금규격, 아노다이징, 화성피막처리, 기타 코팅 규격은 40여종으로 되어있다. 이들 규격서와 표준서는 미국내 정부베이소 구매시의 금속표면처리 제품과 때로는 장비의 구입 계약시에 지침이 되고 있다. 전민간의 산업체와 일반 상품의 가공에 생산과 품질관리에 두루 적용되고 있어 국내 대미주 지역의 수출은 물론 표면처리 제품의 생산 공정에 활용-기여하고자 규격 주요내용의 기술과 구입방법을 소개하고져 한다.

  • PDF

한국전기공업의 표준화

  • 하승식
    • 전기의세계
    • /
    • v.25 no.2
    • /
    • pp.31-34
    • /
    • 1976
  • 표준화란 어떤 표준을 정하고 이에 따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공업표준화는 광공업제품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때 관계되는 기술적인 사항, 이를테면 모양, 칫수, 품질, 시험방법, 검사방법등을 전국적으로 통일, 단순화한 국가규격을 제정하고 이를 조직적으로 보급, 활용케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표준은 기능적으로 제품규격, 방법규격, 기본규격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제정하는 자에 따라서 국제규격, 단체규격, 사회규격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는 피라밋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

  • PDF

Special Report - Standardization and Testing Method of Bio-plastic (특집 - 바이오플라스틱 규격 및 시험방법)

  • Song, Sang-Geun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17
    • /
    • pp.80-88
    • /
    • 2011
  • 바이오 플라스틱, 에코패키징, 인체 무해성 관련하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규격 및 시험방법이 있다. 생분해 플라스틱 규격기준은 국제규격인 ISO 14855를 기준으로 국가별로 자국내 규격기준이 제정되어 있고, 이에 따른 인증마크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 산업화가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관련한 규격 기준은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시행이 되고 있다. 그 외에도 GR마크, 녹색 인증, 단체 규격 인증, 회사 등이 자체적으로 만든 규격 기준 등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 PDF

EMI 국제 규격 기술 동향

  • 양기곤
    • 전기의세계
    • /
    • v.38 no.9
    • /
    • pp.11-17
    • /
    • 1989
  • 본고에서는 국제 규격에 있어 국제기구인 CISPR와 국가규격으로는 미국, 서독, 영국, 캐나다, 일본 그리고 특수한 규격으로 MIL-STD와 TEMPEST 규격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EMI에 대한 국제규격은 초기에는 국제 무선 항행, 통신 및 서비스의 보호라는 차원에서 출발하여 최근 정보기기의 범람에 의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가능성에 대한 안전보장과, 본고에서는 언급되지 않으나 때로는 인체의 위해(Hazard)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 또 특별한 분야로써 중요 정보의 누출 보호(TEMPEST)기술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 PDF

熔接 規格의 適用

  • 이철구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9 no.4
    • /
    • pp.9-16
    • /
    • 1991
  • 오늘날 용접은 조선공업이나 항공, 교량등 대형플랜트에 이르기까지 없어서는 않될 중요한 작 업의 하나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표준(Standard)또는 규격(Specification)이 필요하게 되는데 우 리의 형편은 아직도 미국의 규격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에서는 벌써 오래전부터 규격을 정해 적용해 오고 있으며 규격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표준규 격(Korean Standard)에 용접의 극히 일부분인 용접기기, 용접봉, 용접시험방법등이 정해져 있으며 그외에는 선진국의 규격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것은 외국의 규격이 공인된 점도 있겠지만 국내에는 아직 용접시공에 대한 규격이 없으며, 현장의 기술자나 기능공은 표준이나 규격을 따르지 않고 경험에 의해 작업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지금은 주문자들의 요구에 의해 외국의 규격을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미국기계학회(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규격 section IX을 조명하여 용접규 격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Surve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in Munitions Companies (I) (군수업체에서의 표준.규격 활용실태 조사 연구 (I))

  • Choi, Ki-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2
    • /
    • pp.4774-4779
    • /
    • 2010
  • Based on the survey for munitions companies, we have tried to find current state of the application of Korean military specifications(KDS) and their references for munition products, and how they can be improved for a better management system. On average, Korean munitions companies have 660 of KS, 18 of U.S. military specifications, and 5 of foreign standards, and annually spend about 0.4 million won for KS, but 1.3 million won for foreign standards. In addition, they hav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DS and the related draw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