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군 간호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형 진단명 기준 환자군(KDRG)별 간호수가 산정을 위한 간호행위 규명;9개 질환군을 대상으로 (Determination of Nursing Activities for Estimation of Nursing Fees Based on 9 KDRGs (Korean Diagnosis-Related Groups))

  • 이은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547-56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nursing activities are performed for patients in each of the nine KDRGs and to examine common nursing activities between patients with the nine KDRGs and special nursing activities which were not common to patients with the nine KDRGs. The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estimation of nursing fees. The nine KDRGs in model project are Lens procedures, tonsillectomy, &/or adenoidectomy, appendectomy &/or not complicate principal diagnosis, vaginal delivery, cesarean section, anal & stomal procedures, inguinal & femoral hernia, uterine & adneza procedure for nonmalignancy, and simple pneumonia & pleurisy. To determine the nursing activities for each of the nine KDRG, checklists of nursing activities in each nine KDRG were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and a total of 115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discharged between January and April, 1999 from a tertiary medical center. Nursing activities for each of the nine KDRG were verified through two consecutive content analyses. The results of study are followed as: 1. The checklists of nursing activities developed included direct and indirect nursing activities, for a total of 241 nursing activities. Direct nursing consisted of physical, educational, emotional-socioecomomic-spiritual nursing in 17 areas. Indirect nursing had four areas. 2. Through the two consecutive content analyses, 197 nursing activities were selected, having item CVIs of .83 or more. Those included 81 nursing activities for Lens procedures, 95 for Tonsillectomy &/or Adenoidectomy. 93 in Appendectomy &/or not complicated principal diagnosis, 155 for vaginal delivery, 172 for cesarean section, 89 for anal & stomal procedures, 93 for inguinal & femoral hernia, 108 for uterine & adneza procedures for non-malignancy, and 68 for simple pneumonia & pleurisy. 3. Nursing activities for each of the nine KDRG were compared. Activities with 80% or higher commonality within the nine KDRGs consisted of 86 of 197 nursing activities for the total designated common nursing activities, 30 common nursing activities for patients in the operation group, 45 common activities for patients in the delivery Group. Special nursing activities not common within the nine KDRGs were : 3 for Lens procedures, 1 for Tonsillectomy &/or Adenoidectomy. 2 for Appendectomy &/or not complicated principal diagnosis, 27 for vaginal delivery, 21 for Cesarean section, 6 for anal & stomal procedures, 3 for inguinal & femoral hernia, 16 for uterine & adneza procedure for non-malignancy, 8 for simple pneumonia & pleurisy. In this study, nursing activities for each of the nine KDRGs verified through two consecutive content analyses are those that are performed in the hospital. And, nursing activities for each of the nine KDRGs included all nursing activities from hospital admission to discharge. So. the checklists consisted of nursing activities that allow for an estimation of nursing fees under PPS.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the study will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activity classification.

  • PDF

죽음준비교육이 간호학생들의 생의 의미, 죽음과 웰다잉,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Meaning of Life, Death and Well-dying and Hospice)

  • 변도화;박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69-176
    • /
    • 2017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생의 의미, 죽음과 웰다잉,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시의 C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8명을 실험군으로, P시의 P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6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2월 29일부터 4월 20일까지 주 1회 90분씩 8회기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x^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죽음준비교육은 죽음교육의 중심적인 4가지 영역인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가치 영역의 구분에 맞추어 생의 의미를 부여하고 죽음과 웰다잉,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에 중점을 두면서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은 간호학생들의 생의 의미, 웰다잉 인식,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학생들 자신의 생이라는 의미 부여와 함께 올바른 삶의 가치관 정립에 도움을 주며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웰다잉과 호스피스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는 유용한 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죽음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죽음에 대한 인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반복 연구와 적용기간에 따라 웰다잉 인식 변화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for nursing students)

  • 이외선;김미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19-328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5점 만점에 2.84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내성이 가장 높고 가상세계지향이 가장 낮았다.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일반 사용자군이 88.7%로 가장 많았고, 잠재적 위험사용자군 9.6%, 고위험사용자군 1.7%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과 감성지능 및 비판적 사고성향은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은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의사소통능력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on diabetes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s in diabetic patients in community)

  • 박주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89-399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 자가관리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W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당뇨병 환자 중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26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25명이다. 프로그램은 주 2회, 80분으로, 당뇨병 자가관리교육 30분과 5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 후 공복혈당(p=.047), 당화혈색소(p<.001)는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당뇨병 자기효능감(p<.001), 당뇨병 자가간호행위(p<.0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자가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를 향상시켜 당뇨병 관리에 중요한 지표인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완화하는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에서 당뇨병 유병율을 낮추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자가관리 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 상시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on Human tissue don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of death)

  • 박민애;윤영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15-23
    • /
    • 2022
  • 본 연구는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체조직기증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실험설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U시에 위치한 간호학전공 대학생 75명으로 실험군 38명, 대조군 37명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 22.39±0.75세, 여성이 84.2%였으며 두 군간 일반적 특성과 사전자료 모두 차이가 없었다. 결과변수인 지식(F=-8.921, p<.001), 태도(F=-5.414, p<.001), 죽음에 대한 인식(F=-3.075,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인체조직기증 활성화를 위해 개발된 간호대학생 교육 중재가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한편, 의료인뿐 아니라 타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 적용할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만 인체조직기증 문화의 정착과 안정이 확고해 질 것이다. 또한 보건의료 캠페인 및 공공 교육기관에서의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Nursing Students)

  • 안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5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총 6주간 30시간의 간호윤리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과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윤리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본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선행연구에서 실시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또한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가 기흉 수술 환자의 약물복용 및 치료 지시 이행도, 질병에 대한 지식과 간호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lanned Discharge Nursing in Compliance, Knowledge,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for Patients hav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이원진;방윤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21-12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기포 절제술을 받은 기흉 환자에게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 지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약물복용 이행도, 치료 지시 이행도, 질병에 대한 지식과 간호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소재 K 종합병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기포 절제술을 받은 기흉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3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실험군 29명, 대조군 30명이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 지침은 포괄적인 문헌 고찰과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는 흉부외과 간호사가 3회 실시하였으며 1회 교육시간은 약 30~4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 제공 후 치료 지시 이행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복약순응도(t=-2.05, p=.044), 약알 세기 약물 이행도(t=-2.61, p=.011), 질병에 대한 지식(t=-4.39, p=.001), 간호 만족도(t=-4.13, p=.001)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계획된 퇴원 간호 중재의 제공은 기흉 진단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위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합병증이나 재발과 같은 장기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mi-Fowler's position on Post-Operative Recovery and Pain for Patients with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 최운정;하태욱;강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12-419
    • /
    • 2017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 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향후 복강경 수술환자 간호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도록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비뇨기과 혹은 산부인과 환자를 대상 사전동의 후 진행되었으며, 실험처치로 실험군에게는 반좌위룰 대조군에게는 기존 앙와위를 수술직후부터 24시간까지 취하게 하였다. 수술후 회복성을 확인하기 위해 회복실저류시간, 장운동 회복기간, 자가배뇨 회복기간, 수술후 병동 체류기간을 측정하였고, 통증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일부터 수술 2일째 까지 VAS로 통증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수술회복성은 수술 후 회복실 체류시간(t=-0.284, p=.506), 수술 후 최초 가스배출시간(t=-0.837, p=.407), 수술 후 최초 대변배출시간(t=0.665, p=.509), 유치도뇨관 삽입시간(t=1.635, p=.109), 유치도뇨관 제거 후 자가배뇨시간(t=1.427, p=.165), 수술 후 병동체류시간(t=0.290, p=.773)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상자의 통증은 주효과인 통증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4.851, p=.032), 세 시점간의 통증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24.200, p=<.001).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는 수술회복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통증에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복강경 수술환자에게 반좌위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안위를 개선하는데 유용한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간호장교의 직무만족도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on Job Satisfaction in Nursing Offic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박안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502-4512
    • /
    • 2011
  • 본 연구는 간호장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업전문성 인식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직무만족도 수준을 알아보고,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 16개 군병원에 근무하는 육군 간호장교 54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0년 10월 1일부터 2010년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군,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다는 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길수록,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적당하다는 군, 업무에 만족한다는 군, 직업에 대한 적성이 맞는다는 군, 직업전환의사가 없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직업전문성 인식도,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직무스트레스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직업전문성 인식도는 직무스트레스나 사회적 지지 보다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자에게 시행한 복부마사지의 효과 (Th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on Sleep Colonoscopy Subjects)

  • 이윤정;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10-420
    • /
    • 2019
  • 본 연구는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자에게 복부마사지를 시행하여 장운동 회복과 복부팽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 G병원에서 외래를 통해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을 받는 실험군 22명, 대조군 22명으로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6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였으며, 실험의 확산효과를 막기 위하여 대조군을 먼저 자료수집 한 후 시차를 두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4.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x^2-test$ 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실험군, 대조군의 복부둘레 변화량에 대한 정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hapiro-Wilk로 검증, 복부둘레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효과 검증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Friedman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복부마사지가 대장내시경 검진자의 가스배출 시간($x^2=19.75$, p<.001)과 복부팽만감($x^2=29.93$, p<.001)을 감소시켜, 수면 대장내시경 검진자의 가스팽만으로 인한 불편감을 완화하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