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군집 특성

Search Result 1,99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ies by Land-use Types - The Case Study of Siheung City, Korea -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구조 특성 분석 - 시흥시를 사례로 -)

  • Kim, Ji-Suk;Hong, Suk-Hwan;Oh, Choong-H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3
    • /
    • pp.313-321
    • /
    • 2012
  • To analyze the bird communities by the land use type, we surveyed 43 plots in Siheung City, Korea from Mar. 2009 to Feb. 2010 and classified the community by TWINSPAN and DCA. Classification result by TWINSPAN was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In the first division, waterbirds, such as spot-billed duck(Anas poecilorhyncha) and great egret(Egretta alba) operated as the differential species. In the second and third division, little grebe(Tachybaptus ruficollis) and eurasian sparrow(Passer montanus) were operated as the differential speci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types and classified bird communities, all plots of community I were located in the forest. Community II plots were contained all urban and several semi-natural land use types. Community III contains stream and rice paddy. Plots in the reservoir were classified community IV. The stream and rice paddy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ommunities, which were colsely related with the size of wetland paddy. Community III ha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dex and community II had lowest. Community III also had the highest maximum species diversity index and evenness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small stream and small rice paddy located within the city have insignificant characteristics as the habitat for birds. Management size of semi-natural land use for wildbird habitat in the urban area should be considered for showing their habitat characteristics. If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based on the scale of rice paddy and urban park and the type of landuse type in the riverside then we should be consider the standard of minium area.

A Study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Cluster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Hair Salons (라이프스타일 군집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미용실이용 특성에 대한 연구)

  • Kim, In-Ok;Jeon, Jo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5
    • /
    • pp.1418-142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and 50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o find out the relevance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clus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salon use. To analyze the data of a total of 522 people collecte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with analysis of frequency, analysis of factor, analysis of reliability, analysis of cluster, analysis of variance and analysis of cross. As a result, lifestyle group types were classified as fashion and social focus types, family-oriented types, and family-free types. These types were highly related to age, final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ere also found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salon use, such as beauty salon location and frequently used beauty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beauty salon marketing.

Study on Establishment Criteria of Flood Risk in Urban Area of Han River Basin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역특성을 고려한 한강권역 도시지역의 홍수위험 판단기준 산정에 대한 연구)

  • Shin, Heejae;Choi, Youngje;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6-136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설계 빈도 이상의 강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는 지역별로 토지이용, 사회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인구와 경제 제반 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의 경우 홍수가 발생하게 되면 피해가 과거에 비해 큰 규모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각 지자체는 홍수 대응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6시간, 12시간 강우량을 기준으로한 호우주의보 및 경보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지역의 경우 지속시간이 1~2시간인 짧은 호우에서 피해가 발생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홍수특보를 활용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준은 각 지역별 사회 경제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아 지역별 실질적인 홍수 대응에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각 지역별로 특성을 파악하여 홍수에 대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한강권역에서 서울시와 인천시의 경우 '구 단위',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북도는 '시 군 단위'로 총 88개 행정구역으로 하고 도시별 특성에 따라 군집화를 위해 환경적, 사회적 및 경제적 특성 중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인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인자들을 주성분분석을 통해 공통된 특성이나 유사한 성질에 따라 공통인자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도시별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후 각 도시 군집별 특성에 따라 홍수에 의한 피해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인자를 위험영향(Risk Impact)으로 산정하였다. 이때 위험영향은 강우규모에 따른 잠재 피해 정도를 나타내며 홍수위험도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위험영향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도시 군집별 특성에 따른 위험영향의 임계값을 추정하고 그에 따른 홍수위험도표를 작성하였다.

  • PDF

Convergence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tc. by resilience clusters of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records (의무기록 전공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군집에 따른 학업소진, 진로준비행동 등의 융합적 차이)

  • 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4
    • /
    • pp.67-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nvergence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records according to each cluster of resilience, and draw a proper improvement pla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onducted and a total of 168 copies were analyzed. As a result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ree detailed categories of resilience and was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Cluster1 was a group that had points higher than the average points of Korean in each one of three categories. Cluster2 had all of which were lower points than that. Cluster1 had higher points than cluster2 in term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bby, subjectively good health condition, extroverted personality, good academic record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study satisfaction ratio, but had lower points than cluster2 in terms of academic burnout. Therefore, positiveness enhancement education focused on cluster2 will improve total group resilience.

Regionalization of Extreme Rainfall with Spatio-Temporal Pattern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을 이용한 지역빈도분석)

  • Lee, Jeong-Ju;Kwon, Hyun-Han;Kim, Byung-Sik;Yoon, Se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29-1433
    • /
    • 2010
  • 수공구조물의 설계, 수자원 관리계획의 수립, 재해영향 검토 등을 수행할 때,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개념의 강우량, 홍수량, 저수량 등을 산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보통 대상지역의 장기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사상의 확률분포를 산정한 후 재현기간을 연장하여 원하는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양을 추정하게 된다. 미계측지역 또는 관측자료의 보유기간이 짧은 지역의 경우는 지역빈도 분석 결과를 이용하게 된다. 지역빈도해석을 위해서는 강우자료들의 동질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 되며 이를 위해 통계학적인 범주화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점 빈도분석의 수문학적 동질성 판별을 위해 L-moment 방법, K-means 방법에 의한 군집분석 등이 주로 사용되며 관측소 위치좌표를 이용한 공간보간법을 적용하여 시각화하고 있다. 강수량은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변량으로서 강수량의 시간적인 특성 또한 강수량의 특성을 정의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강수지점의 공간적인 좌표 및 강수량의 양적인 범주화에 초점을 맞춘 기존 지역빈도분석의 범주화 과정에 덧붙여 시간적인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요소들을 결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범주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극치강수량의 발생 시기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순환통계기법을 이용하여 관측 지점별 시간 통계량을 산정하고, 이를 극치강수량과 결합하여 시 공간적인 특성자료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한 군집화 해석 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 과정에 있어서 시간속성의 정량화 및 일반화는 순환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극치강수량과 발생시점의 속성자료는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해 결합자료를 군집화 하고, L-moment 방법으로 지역화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속성 결합 자료의 군집화 효과는 모의데이터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우리 나라의 58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예비해석 단계에서 100회의 군집분석을 통해 평균적인 centroid를 산정하고, 해당 값을 본 해석의 초기 centroid로 지정하여, 변동적인 클러스터링 경향을 안정화시켜 해석이 반복됨에 따라 군집화 결과가 달라지는 오류를 방지하였다. 또한 K-means 방법으로 계산된 군집별 공간거리 합의 크기에 따라 군집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군집의 번호순서대로 물리적인 연관성이 인접하도록 설정하였으며, 군집간의 경계선을 추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였다. 지역빈도분석 결과는 3차원 Spline 기법으로 도시하였다.

  • PDF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Habitats of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im.) 자생지의 서식환경 특성 및 식생구조)

  • Son, Ho-Jun;Kim, Se-Chang;Lee, Da-Hyun;Kwon, Soon-Jae;Park, Wan-Geun;Kim, Young-Seol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0 no.3
    • /
    • pp.69-80
    • /
    • 2016
  • The present study was to survey the site environment,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the wild habitats of Acer tegmentosum Maxim. and offers basic information for habita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ost of the wild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between 605~1,413m with inclinations ranged as 8~30°. The bare rock rate were 8~50%. The vegetation structure by the PC-ORD based on the Two Way Cluster Analysi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mmunity I(Acer tegmentosum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I(Acer tegmentosum - Carpinus cordata), Community III(Quercus mongolica - Tilia amurensis). The species diversity(H') was highest in Community II as 1.474, Community I was 1.471, Community III was 1.219. The soil textures were Clay loam, The average soil pH was 4.8, Soil organic matter was 15.15% and available phosphorus was 2.33ppm. Ordination analysis result by soil characteristics, community, characteristic species showed that the greatest effect factors were slope, altitude, tree and shrub's cover rate, organic matter, total-nitrogen, calcium, magnesium.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 factor result showed that O.M. - (T.N., K+, Mg2+, CEC, EC), T.N. - (K+, Mg2+, CEC, EC) were positive correlations.

A study on calculation methods for basins water quality assessment using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을 적용한 유역 수질평가 산정방안 연구)

  • Jae Yeon Lim;Bu Geon Jo;Sang Ung Lee;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89-189
    • /
    • 2023
  • 최근 이상 기후변화로 인해 환경과 생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하천에서는 유량 부족, 부영양화, 탁수 등 수질 악화 현상이 대두되고 있어 체계적인 하천 수질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도를 통해 BOD, T-P 항목을 대상물질로 수계의 수질을 관리하고 있지만, 오염원이 다양해짐에 따라 다항목의 수질인자를 활용한 평가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효율적인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해 다양한 항목을 고려한 종합적인 수질 평가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CCME WQI, RTWQI, NSFWQI 등의 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개발하여 하천의 복잡한 수질 정보를 점수 및 등급으로 산정하여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고 있으나 하천 유역 특성에 따라 주요 영향 인자가 상이하므로 유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 특성별 수질을 평가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적용한 수질지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군집분석을 통해 비슷한 특징을 가지는 유역을 분류하고, 군집별 특성 및 관계 분석을 통해 유역별 주요 수질인자 도출 및 가중치를 산정하여 군집별 적합한 수질지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유역 특성별 수질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arket Segmentation on Recreational Forest Visitors by Cluster Analysis (군집분석을 통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시장세분화)

  • Shin, Hyun-Kyu;Shin, Hong-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3
    • /
    • pp.364-37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gment recreational forest's visitors for marketing based on purpose of visit. Using th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 tab, and t-test to find out different behavioral intention in each clusters, the result elicited some implications. First, 2 clusters was founded and has difference in behavioral intentions. Cluster 1(married, 200~300hundred won income) has high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 shows that market researcher in recreational forest should approach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and has various facility, active program. This research need to survey broad region to generalized result.

Adaptive Spectral Clustering for Multiview Data (다중 뷰 데이터에 대한 적응형 분광 군집화)

  • Son, Jeong-Woo;Jeon, Junekey;Kim, Sun-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337-1340
    • /
    • 2015
  • 분광 군집화 기술은 Non-convex 군집에 대해 타 군집화 기술에 비해 강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뷰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분광 군집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협업학습의 접근 방법을 적용하되, 다수의 뷰가 서로 간에 가지는 독립성의 정도를 반영하여 유사도 그래프를 구축하고, 구축된 그래프를 기반으로 분광 군집화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뷰들간 서로 다른 정보 요구를 그래프에 반영함으로써 군집화 성능을 높인다. 세 개의 뷰를 가정한 가상의 데이터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최대 8.25%, 높은 성능을 보였다.

Comparative Studies of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aining Ship's Personnels (운항실습선 승선자의 분포특성에 따른 대피시간 비교)

  • Hwang, Kwang-I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3
    • /
    • pp.213-218
    • /
    • 2011
  • This study simulates and compares the evacuation time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iving patterns on board a training ship which was launched in Dec. 2005, on the viewpoint of the various activities being possible on board a cruise ship. Based on interviews with personnels on board, 3 living patterns are set as representative living conditions; Pattern A(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their cabins), Pattern B(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lecture rooms, offices or else), Pattern C(all personnels are positioned at restaurant or cafeteria).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attern B is comparatively ideal because the evacuation time is short and there is less delay of personnels' movement on each deck. On the contrary, Pattern C is evaluated as the worst because the average evacuation time took more than 360 seconds and the bottle-neck happened at Upper deck.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the needs of variou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fire and/or disaster, considering the various living patterns on cruiser(s) and/or passenger 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