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군집보행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보행시설 설계시 활용을 위한 고령자 보행특성 군집화 연구 (Clustering Analysis of Walking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for Use in Pedestrian Facilities Design)

  • 노창균;박범진;문병섭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09-420
    • /
    • 2016
  • 한국은 2026년에 초고령화 사회(super aged society)로 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행은 인간의 기본적인 이동권리라는 측면에서 교통약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령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권리 확보는 가장 기초적인 복지로 중요하지만 간과되기 싶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교통시설물을 설계시 활용을 위한 고령자의 보행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운동 역학적인 보행변수들을 일반인과 비교한 결과, 모든 변수들이 일반인에 비하여 약 75%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고령자는 일반인에 비하여 보행속도가 느리고, 어깨의 움직임이 적은 대신 발목의 움직임이 많으며, 발을 낮게 들며, 지면반발력이 크게 작용되는 등의 보행변수별 보행특성이 조사되었다. 또한 고령자 집단은 집단 안에서도 보행변수별로 서로 차이가 크며, 이를 walking Balance Muscles Factor별로 2개 혹은 3개로 집단화가 가능함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고령자 보행특성은 보도, 경사 및 단차 등의 교통시설물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구광역시 교통약자 보행자 교통사고 공간 군집 분석 (Spatial clustering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Daegu)

  • 황영은;박성희;최화빈;윤상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75-83
    • /
    • 2022
  • OECD 국가 중 보행자 사망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한민국은 보행자 중심으로 법령이 제정하면서 안전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 인구와 학원이 밀도가 높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보행자 교통사고 클러스터를 포아송분포를 이용한 스캔통계량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어린이와 노인에 관한 교통사고의 대중 인식을 수집하여 워드클라우드로 살펴본 결과 어린이는 정부와 기업인의 캠페인을 중심으로 노출되고 있고, 노인은 사고감소를 위한 정책연구를 중심으로 노출되고 있었다.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의 상대적 위험성은 공단이 많은 평리·내당·용산동에서 높았고, 학원 밀집도가 높은 만촌·봉무·범어동에서 낮았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의 상대적 위험성은 도심에 가까운 용산·죽전·두류·내당동에서 높았고, 범어·삼덕·팔공·봉무동에서 낮았다. 대구광역시 내당동과 용산동은 어린이와 노인 보행사고 위험성이 높아 보행 안전 취약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스캔통계량이 교통사고 위험 지역 탐색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승선생활 미숙련 대학 신입생들의 여객선 내 보행속도 실험 (An Experiment on Walking Speeds of Freshmen Unexperienced in Shipboard Life on a Passenger Ship)

  • 황광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9-244
    • /
    • 2013
  • 본 연구는 승선 생활에 미숙련된 일반승객이 해상재난 발생 시 여객선 내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피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선박 항해 환경에 따른 승선 중 보행속도를 실측실험을 통해 취득하고 이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81명의 남녀 대학신입생이 참가한 승선 실험에서, 평면복도 직선부에서의 평균보행속도는 항해시가 정박시보다 27.2%, 평면복도 코너부에서는 23.2%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나 항해중 선박 동요에 따른 속도 저하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항해상태에서 실측된 상향계단과 하향계단에서의 평균보행속도는 각각 0.71m/s, 0.75m/s으로 측정되었다. 군집충돌 이동실험에서는 인근 보행자와의 보행 간섭으로 인해 후미로 갈수록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선두의 이동속도가 군집 전체의 이동속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PSO를 이용한 이족보행로봇의 보행 계획 (Footstep Planning of Biped Robot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 김승석;김용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66-57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 기법을 이용한 이족보행로봇의 보행 계획 방법을 제안한다. 이족보행로봇의 보행 프리미티브를 기반으로 PSO의 학습 및 군집 특성을 이용하여 장애물이 있는 2차원 작업공간에서 보행 계획 방법을 설계하였다. 먼저 PSO의 탐색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장애물을 회피하는 실행 가능한 보행 프리미티브들의 순서를 찾아서 보행 경로를 생성하고, 탐색된 경로를 바탕으로 보행 걸음수와 이동 거리를 최적화 하는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보행 계획방법은 다양한 구성의 장애물을 포함한 작업환경에서 모의실험을 통하여 발걸음 탐색 시간이 줄고 최적화된 보행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보행만족도에 따른 보행서비스수준 지표개선 - 서울시 저층부 용도를 대상으로 - (A Study of Improvement on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Pedestrian Satisfaction - Focused on Lower Floor Building Use in Seoul -)

  • 문영기;김동준;한제현;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979-99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보행서비스수준은 보행의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에 변별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보행만족도를 연계하여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을 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1,157개 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보행과 관련된 지표를 선정하였다. 첫째,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재분류한 결과 기존 A등급으로 치중되었던 결과와 달리 보행서비스수준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둘째, 개선된 보행서비스 수준 중 B등급과 C등급에서 보행만족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향후 보행로 계획 시 적정 물리적 시설이 충족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군집유형별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보면 각 등급의 보행교통류율이 다르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행로계획 시 보행서비스수준을 측정할 때 주변 시설의 종류에 따라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된 보행서비스수준은 도시개발사업과 보행계획에 있어 보다 현실적이고 변별력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인명안전기준 구축을 위한 군집보행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Development of Korea Life Safety Code)

  • 구인혁;김혜원;진승현;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5-46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the crowd walking speed, one of the factors for calculating the evacuation capacity of a building. The experiment was measured the crowd walking speed by factor of corridor width and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The result of experiment, it saw the decrease of crowd walking speed due to rate of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In the future, using this as basic data,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research is need to development Human Safetay Standards in Korea.

  • PDF

보행 관련 뇌파의 신호원 추정을 위한 비통합 데이터 분석 방법 (A non-merging data analysis method to localize brain source for gait-related EEG)

  • 송민수;정지욱;지인혁;추준욱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79-688
    • /
    • 2021
  • 보행능력은 의학적으로 다양한 뇌신경계 질환에서 사용되는 평가 지표이다. 보행에 관련된 뇌 활성화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뇌파 데이터에 대해 독립성분을 추출한 뒤 신호원 추정 및 시간-주파수 분석이 주로 사용된다. 기존의 트레드밀 기반 보행 뇌파 분석은 분할 측정한 뒤, 데이터를 병합하여 신호 전처리, 독립성분분석 및 신호원 추정을 수행하고 피험자 간 군집화를 통하여 대표 성분 클러스터들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 뇌파에 대하여 데이터 통합 없이 각각의 분할 측정된 데이터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신호 전처리, 독립성분분석 및 신호원 추정을 수행하고 모든 피험자로부터 추정된 독립성분에 대하여 피험자 간 군집화를 수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데이터 통합이 독립성분 군집화 및 시간-주파수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통합 데이터에 기반한 두 가지 분석 방법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통합이 없는 분석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통합 데이터 방법들에서는 각각 2개씩의 성분 클러스터를 도출하였으나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4개의 성분 클러스터를 도출, 적은 피험자 수에도 불구하고 세분화된 보행 뇌 신호 성분 클러스터를 도출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교통사고 데이터와 GIS를 이용한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선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A Selection of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Using Traffic Accident Data and GIS: A Case Study of Seoul)

  • 양종현;김정옥;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1-23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선정을 위한 객관적 기준 마련을 위해 서울시의 2009년~2013년 보행자사고 54,208건에 대해서 Getis-ord Gi*와 커널 밀도를 결합하여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하였다. Getis-ord Gi*를 통해 보행자사고 발생 지점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보행자사고 핫스팟이 군집된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할 수 있었고 값을 통해 선정된 구역 간의 우선순위를 판별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내부에 대해 커널밀도추정을 시행함으로써 사고 발생 지점의 미시적인 분포를 파악하고 사고 발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핫스팟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핫스팟에서 높은 밀도 레벨을 가지는 부분을 확인함으로써 핫스팟 내부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형적 초등학교 건물에서 비상시 군집보행을 고려한 정량적 배치계획 (Systematic Emergency Exit Planning Method In School Design)

  • 이승선;권준범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7-44
    • /
    • 2012
  • This study developed an algorithm to predict the most efficient evacuation protocol in an elementary school that has an irregular type of architectural planning.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takes a stand point that today's elementary schools are designed in unusual and irregular floor type and, therefore, past architect's knowledge regarding efficient evacuation will no longer effective to save liv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pplied an algorithm that is especially designed to find appropriate locations in general in the field of industrial engineering, which has been proven for many decades. Furthermore, this study not only adapted an engineering model but also conversed to examine spatial relationship and added the concept of group evacuation, which will delay the whole evacuation process, in the tested algorithm to make it more architectural. Consequently, this study compared its outcome with an existing elementary school and questioned its effectiveness in evacuation process based on the algorithm.

고령자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군집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Safety Evacuation Design of the Elderly)

  • 홍해리;서동구;하스미 유지;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9-26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급격한 고령화추세와 그에 대응하기 위해 증가하고 있는 고령자시설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반인과 고령자의 군집형성시의 보행속도를 고령자의 위치와 비율에 차이를 두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령자가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 평균 0.81m/s로 가장 감소하였으며, 고령자의 비율이 50%인 10명 배치되었을 때 0.85m/s로 가장 감소하였다. 국내의 경우 피난행통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또한 실제적인 성능설계나 피난계획이 미홉한 실정이므로 향후 피난안전설계틀 위하여 고령자의 피난행동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를 통한 DATA 확보가 시급할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