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적 학습 과정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Weight modification of recurrent neural network by decorrelation (부상관성(負相關性)에 의한 순환신경망의 연결가중치 조절)

  • Lee, Jong-Ho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1 no.1
    • /
    • pp.33-37
    • /
    • 1995
  • 순환 신경회로망의 응용에서 종종 대두되는 국지극소점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신경망의 학습과정에서 밝혀지는 국지극소점에 대하여 부상관성을 부과하여 에너지표면을 재조정함으로서 원하는 상태에서 회로망이 안정에 도달하게 한다. 이때 의사상태(spurious states)는 안정조건을 적용함으로서 확인되는데 이과정은 특별히 설계된 병렬회로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처리된다. 이와같은 부학습(unlearning)의 결과로서 순환신경망의 저장용량과 수렴성능의 개선을 이룰수 있다.

  • PDF

Putting Seeds of Endogenous Development into the State-led Industrial Cluster : the Case of Gumi IT Cluster in Korea (국가주도형 산업집적지의 내생적 발전 가능성 - 구미 IT 클러스터를 사례로 -)

  • Lee, Chul-Woo;Choi, Yosub;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2
    • /
    • pp.397-410
    • /
    • 2016
  • Although industrial complexes have played as an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for the last 40 years, the majority of industrial complexes shows limitations to the continuous growth such as a lack of innovation capabilities and social capital, conceived as a key to transforming into clusters of innovation. To overcome those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embarked on the cluster policy from the mid 2000's, focusing on promoting the endogenous development capabilities of individual industrial complexes. Drawing upon the in-depth case study of the Gumi IT cluster, one of the representative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cluster policy has contributed to making the Gumi IT cluster enhance the capabilities of endogenous development through the facilitation of self-organizing learning communities within the cluster.

  • PDF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사회적 목표 지향적 혁신정책의 특성과 함의)

  • Song, Wi-Chi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8 no.1
    • /
    • pp.1-28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newly emerging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The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has systemic views on the evolution of socio-technical system and innovation policy. It's ultimate goal is the transition toward sustainable socio-technical system and it takes "strategic niche management" approach for the transition policy.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policy is more open to the public actors, such as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public institutes. As a case study, "the Technology-based Policy for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which is the first comprehensive socially-oriented policy of Korea, is examin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polic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he path dependency of targeting-oriented and catching-up style innovation policy of Korea.

  • PDF

Ecological Landscape Evaluation for the Planning of River Rehabilitation: The Upper Areas at the Mangyeong River in Jeollabukdo, Korea (하천복원계획을 위한 생태경관 평가: 전북 만경강 상류지역을 사례로)

  • Lee, My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4 s.117
    • /
    • pp.69-83
    • /
    • 2006
  • Nature rehabilitation has become a major theme in river management in South Korea.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landscape is a crucial step to select the suitable tracts for developing or conserving land use in the process of landscape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hierarchical procedure for the setting of the landscape units on the various scales at which field biologists performed their observations and to select the preserves through by a suitability model for synthesizing the ecological empirical, and biophysical data. An evaluation process need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landscape scales: site, local, and regional scales, at which the environmenta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ynthesized. Introducing of three level scales was crucially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various multi level ecological data for zoning of preserves in river corridors. The evaluation level at different scales are hierarchically established into three phases. The first evaluation phase can be performed by the long length units defined by the ranges of stream widths at regional scale. Secondly, each of these long units can be divided into two or more segments according to its landscape homogeneity at local level. Finally the segments at the last phase can b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servoir weirs and bridges at site level. The conceptual model components are adopted for collecting, evaluating, and interpreting the biological and abiotic data at site level. Three preserves are selected, having high potentials for being intensely managed as the Ecological Education Areas in the river. Despite a lot of assumpt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facilitate discussion and decision making about which frameworks of evaluation are desirable and adaptable for integrating the ecological data into the rehabilitation design process in South Korea.

Organisational Change, Learning and the Usage of Space: the Case of Samsung Electronics Company (기업의 조직변화와 학습의 공간성: 삼성전자의 사례)

  • 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3
    • /
    • pp.396-411
    • /
    • 2002
  • This paper aims to explore organisational change and learning involving spatial processes and outcome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ontext specific nature of corporate learning and organisational change that can be found in the case of a large Korean firm facing radical economic change. Drawing on the case study of a large Korean firm, the Samsung Electronics Company, three main claims can be followed. First, territorial sources of learning influence the way in which the firm makes use of space/place. Second, corporate learning practices, however, are not based merely on specific localised sources or geographical proximity but on bringing together the local and the global sources by harnessing the properties of relational proximities. It reveals that firms are concerned less on specialising specific local knowledge than promoting organisational knowledge and competences by integrating a variety of knowledge distributed in and out of the boundaries of the firm. Finally, to learn and innovate in a continual basis, firms would attempt to combine codified knowledge with tacit knowledge.

  • PDF

Training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water level forecasting (하천수위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학습에 관한 연구)

  • Jung, Ji Won;Ler, Lian Gue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3-563
    • /
    • 2016
  • 국내 강우발생은 기상학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장마기간(6~8월)에 집중되어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발생하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시간과 지역에 관계없이 국지성호우의 발생빈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집중호우와 국지성호우는 짧은 시간에 하천수위를 상승시키므로 홍수로 인한 물적 피해가 크게 발생된다. 국토교통부에서는 그동안 홍수예보에 필수적인 우량, 하천수위 등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관측소(500여개) 및 홍수량 측정지점(80여개)을 확대하였으며, 관측된 자료는 모두 전산망에 기록, 보관하고 있다. 또한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의 경우 홍수통제소에서 홍수량 예측 계산 등을 통해 홍수 예경보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4대강을 제외한 중소하천의 홍수예경보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없으며,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다.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하여 중소하천의 강우와 유출의 관계를 해석하는 과정은 다양한 인자를 고려해야하지만 중소하천의 경우 하천단면 등 하천자료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못하므로 유출량 계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의 홍수위 예측을 위해 한강의 과거 수위와 현재 수위만을 활용하여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학습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ANN을 활용하여 한강유역 중 홍수예보지점(잠수교)의 수위변화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5개 수위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과거 장마기간(6~8월)관측 자료를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홍수예보지점(잠수교)과 5개 수위관측소의 과거 관측수위(2009~2014년)를 인공신경망의 학습자료로 활용하여 모델을 훈련시켰으며, 마지막으로 2015년의 관측수위를 이용하여 ANN의 학습정확도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본 과정은 수위예측을 위한 ANN의 훈련단계로 Training/Test를 반복하였으며, 학습결과와 2015년 관측수위 비교시 $R^2=0.987$과 상관계수 r=0.994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최대치와 최소치에 대한 오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patial Downscaling of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in Northeast Asia (기계학습을 활용한 동북아시아 지역 위성 토양수분 데이터 상세화 연구: AMSR2, ASCAT 데이터를 활용하여)

  • Choi, Min Ha;Kim, Seongkyun;Kim, Hyung L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08-208
    • /
    • 2016
  • 수문순환과정의 시공간적 거동을 해석하고 이를 정량화 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특히 토양수분은 물 에너지 순환에서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수문인자로,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각도로 발전되어 왔다. 그 중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토양수분 산정은 미계측 지역의 토양수분을 지속적이고 광역적이게 관측할 수 있는 선진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위성 자료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 해상도는 복잡한 지형 환경을 대상으로 한 지역의 원격 탐사로서는 국지적인 수문학적 현상들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의 70% 정도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도가 $5^{\circ}$ 이하의 평탄한 지역은 약 23%에 그치는 등 복잡한 식생 지형 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공위성의 해상도와 식생 투과도를 고려할 때 저 해상도의 위성 토양수분만으로는 우리나라와 같이 면적에 비해 복잡한 환경에 기반 한 수문학적 현상들을 충분히 분석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ASCAT과 AMSR2 위성 토양수분의 상세화를 수행하여 고해상도의 토양수분을 산정하였고, 이를 지점관측 자료와 비교해 상세화도 자료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검증된 고해상도 토양수분 데이터는 향후 자연재해 분석에 있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수문순환 및 기후 모델링에 있어서 중요한 입력 인자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lood Estimation Using Neuro-Fuzzy Technique (Neuro-Fuzzy 기법을 이용한 홍수예측)

  • Ji, Jung-Won;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8-132
    • /
    • 2012
  • 물은 생물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인류가 시작된 이래로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왔다. 최근 지구 온난화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국지성 집중호우의 피해는 매우 심각하며, 이로 인해 치수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사용해 왔던 홍수 예 경보 과정은 특정 지점의 유출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강우-유출 모형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모형의 경우 운영에 필요한 매개변수의 결정과정이 복잡하고, 매개변수 결정을 위해 많은 자료를 필요로 한다. 또한 그 매개변수의 결정과정은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어서 모형의 운영을 위한 전처리과정과 계산과정을 거치는 동안 발생한 오차가 누적되어 결과물 속에는 많은 오차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의 문제점과 불확실성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더 우수한 유출량 예측을 위해 neuro-fuzzy 추론 기법을 이용한 모형인 ANFIS(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를 사용하여 하천수위를 예측하였다. ANFIS는 신경회로망과 퍼지이론을 결합한 기법으로 신경회로망의 구조와 학습 능력을 이용하여 제어환경에서 획득한 입 출력 정보로부터 언어변수의 membership 함수와 제어규칙을 제어 대상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조종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ANFIS를 사용하여 탄천 하류에 위치한 대곡교의 수위를 예측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탄천 유역의 관측 강우자료와 수위 자료 중 강우강도와 지속시간, 강우 형태에 따라 7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학습자료 및 보정자료의 변화에 따른 예측 오차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과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입력자료 구성의 경우 해당 시간의 강우량 및 수위자료와 10분 전 강우자료를 이용한 모델이 가장 우수한 예측을 보였고, 학습자료의 경우 자료의 길이가 길고, 최대홍수량이 큰 경우 가장 우수한 예측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적용결과 가장 우수한 모형의 경우 30분 예측 첨두수위 오차는 0.32%, RMSE는 0.05m 이고 예측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오차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in a Fruit-Growing Farming Community and the Role of a Community-Based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 the Case of Nulmi-Ri, Chungdo-Kun, Kyongbuk Province (과수재배지역의 생산유통체계와 내생적 영농조직의 역할 - 청도군 눌미리 복숭아 재배 커뮤니티의 작목반을 사례로 -)

  • Woo, Jong-Hyeon;Park, Soo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4
    • /
    • pp.1-17
    • /
    • 2001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ole played by the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sustaining rural community's competitiveness. Nulmi-Ri, Chungdo Kun in Kyongsangbuk-do chosen as a case study area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competitive rural communities, making a living with a peach farming. This community maintains its competi- tiveness by operating a community-based filming organization which was organised in an endogenous way. Most of individual farmers in this community belong to the farming organization and they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the processe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is respect, the exchange and circulation of knowledge, and collective learning, tend to be significantly taken place between the organization memb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Nulmi-Ri's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we propose some constructive comment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PDF

Conceptualizing the Engagement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과 지역발전의 관계: 진화론적 관점)

  • Nam, Jae-Geol;Lee, J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19-38
    • /
    • 2010
  • Following the emergence of a knowledge-based economy, the role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re-evaluated through considering localized interactive learning processes.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role of univers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variables effecting on their localized engagement in regional development. We argues that universities cannot be viewed as a single angle, because the behaviors of a university ar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their independence from regional and national governments. Likewise, the contributions of universities to their regional development can be differential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contexts of a given region and nation, and complex relations between and within universities and other regional stakeholders. These variables can be both the drivers and barriers when each university responds to regional nee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suggest that the explanatory factors of shaping the engagement of universities in regional developmen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e national context, the local and regional context, and the policy contex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