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기상

Search Result 4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of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Operation Plan based on HPC for Flood Forecast System (홍수예보시스템을 위한 HPC 기반 분포형 유역유출모형 운영방안 설계)

  • Lee, Young-Jun;Bae, Sang-Young;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103-105
    • /
    • 2019
  • 오늘날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하절기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돌발홍수로 매년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돌발홍수는 작은 지역에서 빠르게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홍수예보로는 대비하기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렇게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돌발홍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집중호우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신속 정확한 기상정보 분석을 위하여 고성능컴퓨터(High Performance Computer) 기반의 홍수예보모형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articular Wind Field simulation use of LAPS Data Assimilation (LAPS 자료동화 기법을 이용한 상세바람장 모의)

  • 문보영;이한세;오재호;김영태;박흥목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69-170
    • /
    • 2003
  • 우리 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전국토의 70%정도가 산지로 되어 있으며 북쪽과 동쪽이 높고 서쪽과 남쪽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경동지괴'의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에서 대규모의 공단이나 대도시들이 연안지역과 내륙 저지대에 많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안지역은 국지 순환인 해륙풍의 영향이 잘 나타나고, 지형의 경사가 복잡한 지역의 경우는 산곡풍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주요 공업지역의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해륙풍ㆍ산곡풍과 같은 국지순환은 단순한 기상현상이 아닌 대기오염의 수송과 관련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게 되었다(이화운, 2000). (중략)

  • PDF

해운항만청의 파랑 관측 시스템 현황과 천해 국지 파랑 산출 시스템 구축 방안

  • 연영진;박광순;이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99-99
    • /
    • 1992
  • 해운항만청은 1986년 파랑관측업무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표준 파랑관측망과 국지 파랑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표준파랑관측망은 1987년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설치하여 1991년에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이 표준파랑관측 시스템은 넓은 해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서 원칙적으로 파향스펙트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현장관측 기기와 실시간 자료전달 시스템과 중앙자료센타로 구성되어 그 자료는 해운항만청, 기상청, 수산청, 해양경찰청, 해군, 내무부, 대하 및 연구기관과 해양산업체에서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중략)

  • PDF

Spatial distribution and Short-range transport of ozone in coastal urban environment (연안도시지역 오존의 수평분포와 단거리수송)

  • 김유근;이화운;오인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73-74
    • /
    • 2001
  • 도시지역의 오존농도는 배출원 환경 및 지형과 국지 기상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내 공단과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다량의 NO 배출에 의한 오존의 감소가 일어나는 반면 도시플륨의 풍하측의 지역에서는 오존의 축적과 함께 고농가 발생하게 된다 (Wang et al., 2001; Bower et al., 1994; Mckendry). 특히 연안도시의 경우 여름철 주로 발생하는 국지순환인 해풍에 의한 고농도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수면의 낮은 오존침적으로 인해 소멸의 영향이 적고 (Entwistle, 1997), 해풍역전으로 인한 연직혼합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Lu and Turco, 1994). (중략)

  • PDF

국지풍이 소규모만의 해수유동에 미치는 영향

  • 이충일;김동선;조규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44-245
    • /
    • 2001
  • 육상 환경과 인접해 있는 연안해양환경은, 그 변화 특성이 매우 독특하며 복잡하게 나타난다. 해양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중에는 해류와 조류 등과 같은 유체의 운동의 역할이 크다. 특히 바람과 같은 기상환경인자는 해표면의 유체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체내의 입자물질(적조생물, 유류 등)의 집적 및 확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우리 나라는 계절풍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이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주변 지역과의 기압배치 및 지형적인 요인등에 의해서 그 특성이 충분히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적인 국지풍은 만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 PDF

기상-수문 결합 모델을 활용한 수문기상정보 산출기술 개발 연구

  • Ryu, Young;Ji, Hee-sook;Kim, Yoon-jin;Kim, Yeon-Hee;Kim, Baek-J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8-238
    • /
    • 2016
  • 토양수분, 증발산량, 유출량 등의 고해상도 수문기상요소 산출을 위한 지면모델 활용 기술은 기상 및 수문분야에서 널리 활용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NCAR)에서 개발된 기상-수문 결합모델 WRF-Hydro(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Hydrological modeling extension package)을 활용하여 낙동강 유역에서 발생한 돌발홍수 사례 실험에 적용하여 강우량 및 수문기상요소 전체를 모의함으로써 기상-수문-지면 결합모델을 활용한 수문기상요소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존의 기상모델로부터 입력강제자료를 제공받아 Off-line 형태로 결합된 지면모델(TOPLATS, TOPmodel-based Land Atmosphere Transfer Scheme) 결과와 비교하였고 기상-수문 결합모델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상-수문-지면 결합모델(WRF-Hydro)의 초기장 및 경계장은 기상청 현업 모델에서 생성된 국지예보모델자료 1.5km 자료(LDAPS,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를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적분기간은 돌발홍수 사례에 따라 24~36시간을 수행하였다. WRF-Hydro 모델의 물리모수화 방안은 작년까지 기상청에서 현업운영되는 KWRF의 방안들을 준용하였으며, WRF-Hydro 수행을 위해 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and Reflection Radiometer(ASTER)에서 제공되는 30 m 해상도의 수치표고자료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활용하여 지표유출방향을 설정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Local Atmospheric Circulations in the Valley of Gwangneung KoFlux Sites (광릉 KoFlux 관측지 계곡에서의 국지순환 수치모의)

  • Lee, Seung-Jae;Kim, Joon;Kang, Minseok;Malla-Thakuri, Bindu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6 no.3
    • /
    • pp.246-260
    • /
    • 2014
  • A 90-m horizontal-resolution numerical model was configured to study the micrometeorological features of local winds in the valley of Gwangneung KoFlux (Korea Flux network) Sites (GDK: Gwangneung Deciduous forest site in Korea, GCK: Gwangneung Coniferous forest site in Korea) during summer days. The U. S. Geological Survey (USGS)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data were employed for high-resolution model terrain height.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comparing observed and simulated near-surface temperature and winds. Detaile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model-simulated wind field was carried out for two selected cases which are a clear day (Case I) and a cloudy day (Case II). Observed winds exhibited that GDK and GCK, as well as Case I and Case II, had differences in timing, duration and strength of daytime and nighttime wind direction and speeds. The model simulation results strongly supported the existence of the drainage flow in the valley of the KoFlux tower sites. Overall, the simulated model fields realistically presented the diurnal cycle of local winds in and around the valley, including the morning drainage-upslope transition and the evening reversal of upslope wind. Also, they indicated the complexity of local winds interactions by presenting that daytime westerly winds in the valley were not always pure mountain winds and were often coupled with larger-scale wind systems, such as synoptic-scale winds or mesoscale sea breezes blowing from the west coast of the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