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악원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coustic Properties of Yeacdang and its Modifications (국립국악원 예악당에 음향 특성과 개선방향)

  • 박경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65-68
    • /
    • 1998
  • 국악의 대중적 공연에 적합한 공연장에 대하여는 아직 그 주관적 객관적 기준이 설립되어 있지 않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있는 예악당은 국악을 위한 대중적 공연장의 기준이 되어야 하나 국악인들과 국악관계자들의 사이에서 국악의 공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국악원의 예악당을, Maximum Length Sequence, 무지향성스피커, dummy head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중요한 객관적 지표인 잔향시간, IACC, Initial-time-delay gap등을 측정하고 한 편으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객관적 지표의 추출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예악당의 음향특성을 개선방향과 국악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지표의 설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rediction of the Acoustic Performance of a Music Hall Considering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Sources (국악음원의 방사특성을 고려한 국악원의 음향 성능 예측)

  • 정철호;이정권;연철호;한찬훈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46-161
    • /
    • 2004
  • There have been always some difficulties in target setting and conditioning of acoustic performa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all due mainly to the lack of the information on the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sources. In this study,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four typical Korean traditional musical sources were investigated in precision and their usage was demonstrated: The selected musical sources were Gayageum (string), Daegeum (woodwind), Jango (drum), and Pansori Chang (vocal performance). Each sound source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a semi-anechoic chamber and the directivity was determined by the measured sound pressure levels in every 10° angular position, for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directivity pattern of Gayageum varies from a uniform to a complex pattern having many side lobes with the increase of frequency. The main radiation of Daegeum is toward the upward direction. The directivity pattern of Jango is clearly a side-oriented one and the left direction intensity is sharper than its right side at low frequencies. For the Chang, the directivity pattern change from a uniform pattern to a frontally directed one as the frequency goes high. Measured directional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ources were implemented into the computation of architectural acoustic measures for the Busan National Korean Traditional Music Hall which is under construction. Parameters such as RT, SPL, C80, IE, STI were calculated at two receiver positions by using a ray tracing techniqu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oustic measures at receiver posi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results in using the omni-directional source and the directional one. It is thought that the suggested source data and design method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in the future acoustic design of performance ha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tection technology for Korean Instrument Sampling VST Plugin from Piracy (국악 샘플링 신디사이저 VST 플러그인 프로그램 보호방법)

  • Lee Don oung;Choi Young J.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79-282
    • /
    • 2004
  • 국악 샘플링 신디사이저 VST 플러그인 프로그램 보호방법은 국내 최초로 한양대학교 뉴미디어 뮤직 전공에서 개발된 국악기 샘플링 신디사이저의 배포를 위하여 개발되었다.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의 고유인식 번호를 배포자의 서버로 전송, 암호화된 인증키를 최종 사용자에게 다시 부여하는 방식으로, 문화 컨텐츠 진흥원의 지정과제인 "국악연주 가상환경용 입체음향효과 및 국악기 음 합성기술개발"의 사업화에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국악기의 음향 방사 특성 조사 연구)

  • Jeong C. H.;Chang H. W.;Ih J. G.;Lee W. G.;Haan C. H.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51-554
    • /
    • 2004
  • 현재 국악기의 음향특성에 대한 상세 정보가 매우 부족하며, 이러한 점보의 부재는 국악당의 설계에 있어서 최적의 음향을 전달하는 공간을 형성하지 못하게 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각종 국악기의 음향특성을 측정하고 분류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 (1) 향후의 국악 및 국악기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활용들 수 있으며, (2) 국악전용 연주장의 설계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로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악기의 음향방사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제 2 단계의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 [1] 에 새로운 국악기 8 종을 추가하였다. 선정된 국악기는 현악기중에서 거문고와 해금, 관악기 중에서 피리와 태평소, 타악기 중 북과 꽹가리, 징 및 남성창으로, 원거리 (far-field) 음향 방사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A 3D Virtual Pavil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Personal Navigation Functionality (개인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3D 가상 국악 전시관 제작)

  • Choi, Ji-Ae;Shim, Jae-Sun;Kim, Yoon-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907-190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3D 가상 국악 전시관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가상 국악 전시관은 키보드와 조이스틱, 마우스 등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으로 이동 가능하며, 해당 국악기의 설명을 한국어와 영어로 들을 수 있다. 또한, 모든 국악기에 대한 소리를 들을 수 있고, 형태와 연주 기법을 3D로 볼 수 있으며, 해당 악기의 연주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가상 국악 콘텐츠는 7개의 악기와 상세설명, 그리고 한 개의 시청각 실을 포함한다. 또한, Virtools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이 원하는 정보만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개인화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하여 제공한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Acoustic Performance of Music Halls Using Measure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국악기의 음향방사특성에 따른 국악당의 음향성능조사)

  • Haan Chan-Hoon;Lee Wangu;Jeong Cheol-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8
    • /
    • pp.469-480
    • /
    • 2005
  • There have been always some difficulties in target setting and conditioning of acoustic performances 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all due mainly to the lack of the information on the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sources. As the 2nd experiment succeeding the previous study[1],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eight typical Korean traditional musical sources were investigated if precision. The selected musical sources were Geomungo, Haegeum (string), Piri, Taepyeongso (woodwind), Buk, Kwaengguari, Jing (drum), and male Pansori Chang (voc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directivity pattern of each instrument is different and has their own directivity characteristics. Measured directional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ources were implemented into the computation of architectural acoustic measur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oustic measures at receiver posi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results in using the omni-directional source and the directional 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s depending on the spatial variation four different shapes of halls were introduced including rectangular, fan. horse-shoe and geometrical shapes. Room acoustical parameters such as RT, SPL, C80, LF, STI were calculated at each type or hall. As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ectangular hall has the most high clarity. lateral energy and STI values among low shapes of halls. It is thought that the suggested source data and design method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in the future acoustic design of performance ha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 study on optimizing the acoustic properties of concert hall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국악 공연에 적합한 공연장의 음향특성에 관한 연구)

  • Kim Beom Soo;Park Kyoungsoo;Choi Chulmin;Sung Koeng-M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51-454
    • /
    • 1999
  • 서양음악의 연구는 음향학의 측면에서 수십년 동안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를 통해 콘서트홀의 음향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국악에 있어서는 공연장에 대한 음향학적인 지표가 공식화된 것이 없고, 게다가 지표를 찾기 위한 충분한 국악전용 공연장의 수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립국악원 예악당의 모델을 기초로 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가상 국악공연장을 바탕으로 RT, Warmth, IACC, ITDG 등의 4가지 지표를 가지고 각기 다양한 시료를 제작하여 청취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양음악과는 다른 경향의 RT, Warmth 선호도를 추출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Optimal Acoustic Parameter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국악 공연장의 음향 지표에 관한 연구)

  • 김범수;박경수;최철민;성굉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1b
    • /
    • pp.207-210
    • /
    • 1999
  • 서양음악의 음향학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진행되어왔다. 이를 통해 콘서트홀의 음향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국악에 있어서는 공연장에 대한 음향학적인 지표가 공식화된 것이 없고, 게다가 지표를 찾기 위한 충분한 국악전용 공연장의 수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립국악원 예악당의 모델을 기초로 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가상 국악공연장을 바탕으로 RT, Warmth, IACC, ITDG 등의 4가지 지표를 가지고 각기 다양한 시료를 제작하여 청취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양음악과는 다른 경향의 RT, Warmth 선호도를 추출할 수 있었다.

  • PDF

VR-based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for Education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국악기 연주 체험 프로그램)

  • Kim, Chae-Rin;Kim, Kyu-Won;Park, Hye-Jin;You, Yea-Won;Oh, U-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38-241
    • /
    • 2021
  • 가상현실은 시·공간을 초월하는 경험이 가능하며 아이들의 몰입감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어 교육 도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정부는 VR 기기를 전국의 초등학교에 보급하고 있지만, 양질의 교육용 실감형 콘텐츠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국악기 연주 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Unity의 물리 엔진과 Oculus의 햅틱 기능을 이용하여 전통 국악기 중 편경을 실감 나게 연주할 수 있도록 가상환경을 구현하였다. 리듬 게임 형식을 적용하여 아이들의 흥미 또한 유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국악기를 직접 연주하며 해당 국악기에 대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