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소적 치아이형성증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국소적 치아이형성증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연구 : 5년 추적관찰 (A Clinical and Radiological Study of Regional Odontodysplasia: Five-year Follow-up)

  • 송지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2-327
    • /
    • 2014
  • 국소적 치아이형성증(Regional Odontodysplasia)은 드물게 발생하는 발육성 장애로, 이환된 치아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으로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 국소적 치아이형성증은 유치열과 영구치열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임상적으로 정상치아보다 크기가 작거나, 거칠고 불규칙한 치면을 가지는 등 형성부전, 석회화부전의 양상을 보인다. 방사선학적으로는 법랑질과 상아질이 얇고,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방사선불투과성이 명확하지 않으며, "ghost-like appearance"와 같은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 조직학적으로는 저석회화된 법랑질이 보이며, 법랑소주가 불규칙한 방향을 나타내고, 상아세관의 수가 감소되어 있다. 국소적 치아이형성증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상악 좌측에서 호발하고, 인종간의 유병률 차이는 존재하지 않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증례는 4세 6개월의 환아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상악 우측 악궁에 발생한 국소적 치아이형성증으로 진단하고, 5년간의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였다. 국소적 치아이형성증에 이환된 치아는 취약한 치면과 미성숙한 치근 때문에 예후가 불량할 수 있으므로 개개치아에 대한 주의깊은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한 시기적절한 치료계획 수립이 중요할 것이다.

어린이 영구치에 나타난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의 관리 (THE MANAGEMENT OF REGIONAL ODONTODYSPLASIA OF PERMANENT TEETH IN CHILDREN)

  • 이형숙;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7-743
    • /
    • 2008
  •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Regional Odontodysplasia)은 치아 경조직에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발육성 장애로 치열궁의 특정 사분악에 국한되어 나타나며 이환치 경조직의 모든 구성요소가 발육 부전이나 석회화 부전을 보인다.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에 대한 장기적 치료와 관리를 위해서는 여러 분야에 걸친 체계적 접근이 요구되며, 치료 계획은 환자의 저작기능과 심미성의 회복, 정상적인 수직고경과 공간의 유지, 악골의 정상적인 성장과 이환치의 맹출관리를 도모할 목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서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으로 진단받고, $2{\sim}5$년간 정기적인 관찰을 받아온 5세 8개월${\sim}$10세 9개월 어린이 3명을 대상으로 그 간의 치료 내용과 치아 발육과정을 검토해 보았다. 관찰 기간 동안 12개 이환치 중 심한 염증과 이형성으로 발거된 1개 치아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석회화의 진행 또는 치조골 상방으로의 맹출성 이동을 보이긴 하였으나 그 정도와 속도는 개개 치아마다 매우 다양하였다. 그러므로 치료는 악골의 정상 발육과 공간 유지를 도모하고 치아의 조기 상실에 따른 부작용을 차단하기 위해서 이환치에 대하여 최대한으로 보존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추천된다. 또한 치아마다 그 발육정도가 다양하므로 개개 치아의 맹출 관리를 위한 독립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소적 치아이형성증 환아에 관한 증례 (REGIONAL ODONTODYSPLASIA : CASE REPORT)

  • 김지희;최병재;이제호;손흥규;김성오;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6-101
    • /
    • 2009
  • 국소적 치아이형성증(regional odontodysplasia)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치아의 형성 장애로서 치아 발육이 국소적으로 정지되어 발생하며 이환된 유치와 영구치의 모든 경조직이 발육 부전이나 석회화 부전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하악 보다는 상악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종간의 차이는 없고, 여성에서 2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국소적 치아이형성증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국소적 혈액 순환 장애나 체성 돌연변이, 바이러스 침투, 치배 감염, 치아 외상, 이상고열, 방사선 조사, 영양 및 대사 장애, 유전 등이 보고되었다. 이환된 치아는 정상치아보다 크기가 작고, 저형성을 보이며, 노란색 또는 황갈색을 나타내고, 거칠고 취약한 치면을 가진다. 방사선학적인 특징은 법랑질이 정상의 경우보다 얇고 치밀하지 못하며, 상아질의 발육부전으로 치수강이 크고, 근관은 넓게 보이며, 치근은 짧고 불명확하게 보인다. 간혹 치관부가 너무 얇고 석회화가 불량하여 방사선사진에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 관한 증례로, 2세 3개월 남아에서 임상 구강검사 및 방사선사진검사 결과 하악 좌측 1/4 악의 유치열에 발육부전과 석회화부전 소견을 보이는 국소적 치아이형성증으로 진단되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Regional odontodysplasia)에 대한 증례 (REGIONAL ODONTODYSPLASIA : CASE REPORT)

  • 이제호;조재현;김기덕;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5-179
    • /
    • 2001
  •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이란 드물게 나타나는 치아발육장애로서 치아발육이 국소적으로 정지되어 발생되며 이환된 치아의 모든 구성요소가 발육부전이나 석회화 부전을 나타낸다. 국소적 혈액 순환 장애, 체성 돌연변이. 바이러스 침투, 치배 감염, 치아 외상, 이상고열, 방사선조사, 영양, 대사 장애, 유전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여성에 많이 발생하고(1.4 : 1) 하악보다는 상악(특히 좌측)에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환 받은 치아는 크기가 작고, 저형성을 보이며, 노란색 또는 노란 갈색을 띄고, 소와와 구(pitting & grooving)를 보이기도 한다. 방사선적으로 "ghost like appearance" "fuzzy appearance"등을 보이고 치수강 내에 치수석회화물이나 상아질석이 보이기도 한다. 본 증례의 2세 남자 환아는 하악 우측 치아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하악 우측 유중 절치의 부분 맹출과 유측절치, 유견치, 제 1유구치가 미맹출을 보였고, 방사선 검사소견에서 해당부위의 치아는 "Ghost like appearance"와 짧은 치근, 개방된 치근첨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임상, 방사선 검사결과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보고를 하는 바이다.

  • PDF

소아에서의 shell teeth의 치험례 (TREATMENT OF SHELL TEETH IN CHILD : A CASE REPORT)

  • 박인호;윤정훈;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9-54
    • /
    • 2005
  • Shell teeth는 매우 드문 상아질 이상으로 상아질 이형성증의 한 형태로서 특징적으로 정상적인 법랑질, 매우 얇은 상아질, 비정상적으로 큰 치수강, 짧아진 치근 등을 보인다. Shell teeth는 1954년 Rushton이 21세 남자 환자에서 나타난 증상을 설명하여 처음 명명하였으며, 1984년 Kinirons이 8세 남아의 shell teeth에 대해 보고하였다. 1992년 Harrison과 Kennedy는 7세 6개월 된 남아에서 보인 shell teeth를 14년간 관찰하여 보고하였는데 이 환아는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 shell teeth가 관찰되었고, 일반적인 shell teeth와 달리 치관에서는 shell teeth의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치근에서만 나타났다. 매우 얇은 상아질과 큰 치수강은 국소적 이형성증에도 관찰되는 특징인데, shell teeth는 전치열에서 보이는데 반해 국소적 이형성증은 한정된 몇 개의 치아에서만 관찰되어 감별진단 할 수 있다. 본 증례는 3세 남아에 관한 것으로 구강내 소견은 모든 유치 치관이 파괴되어 상아질이 노출되어 있었고, 방사선 소견은 얇은 상아질로 둘러싸인 매우 큰 치수강과 확장된 치근관을 보였으며 다수의 소구치가 결손되어 있었다. 환아는 행동조절의 문제 때문에 전신마취하에 치료를 받았다. 현재 환아는 공간유지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국소적 치아이형성증(regional odontodysplasia)에 대한 증례보고 (REGIONAL ODONTODYSPLASIA : A REPORT OF TWO CASE)

  • 손덕일;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1997
  • Odontodysplasia is a rare developmental anomaly of tooth formation in which hard tissue are affected. Odontodyplasia affects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s in the maxilla, mandible, or both jaws. The maxilla is involved twice as often as the mandible. The condition is more common in female than in male patients and in the anterior than in the posterior regions.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odontodysplasia are hypoplasia and hypocalcification of the enamel and dentin of affected teeth. Teeth tend to be small and discolored, with short roots and widely open pulp canal. Delayed eruption of affected teeth with abscess formation is common. Radiographically teeth assume a faint radiolucent image ("ghost teeth"). enamel and dentin appear thin and are similar in radiodensity. The pulp chambers are often larger than normal, calcifications(pulp stone and denticle) are found within them. The etiology of regional odontodysplasia is unknown. However, several causes have been discussed, including somatic mutation, local circulatory disorders, local trauma, failure of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eural crest cells, local infection.

  • PDF

단골성 섬유성이형성증 환아에서 나타난 맹출지연 (A CASE OF DELAYED ERUPTION IN A CHILD WITH MONOSTOTIC FIBROUS DYSPLASIA)

  • 민수영;이제호;김성오;최병재;최형준;김승혜;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0-275
    • /
    • 2011
  • 섬유성이형성증은 골격 계통의 국소화된 양성 발육장애로서 해면골 내에서 섬유조직이 증식되며 불규칙한 골소주가 형성되는 질환이다. 섬유성이형성증의 두개안면부 병소는 안면동통, 두통, 두개비대칭, 안면기형, 치아이동, 부정교합, 시각이상, 청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는 섬유성이형성증으로 진단된 혼합치열기 환아로서 이환 부위에서 영구치의 맹출지연이 관찰되었다. 병소에 이환되지 않은 환아의 하악 좌측 측방 치열군은 교합위까지 맹출을 완료하였으나 병소에 이환된 하악 우측 측방 치열군은 현재 치조골 내에서 느린 속도로 맹출 중이며 치근 형성이 완료되지 않아 계속 경과 관찰 중이다. 맹출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될 시 상부 치조골 제거를 통한 맹출유도나 교정적 정출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