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SHELL TEETH IN CHILD : A CASE REPORT

소아에서의 shell teeth의 치험례

  • Park, In-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Yoon, Jung-Hoon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박인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윤정훈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Shell teeth, a rare dysplastic condition of dentin, was first described by Rushton in 1954. It is characterized by normal enamel, extremely thin dentin, correspondingly large pulp chambers, and shortened roots. This case report is of a male 3 years old. He is refered to the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Pediatric Dentistry because of dental caries and dentin hypoplasia. Intra-oral examination showed attrition of all primary teeth. Radiographic examination showed that the pulps were extremely large with only a shell of surrounding hard tissue. The permanent premolars were missed congenitally. The diagnosis was shell teeth. Because of behavior problem, all dental treatment was undertaken with general anaesthesia. Extration, endodontic treatment and SS crown were performed. The patient has now been wearing the space maintainer and manages it well. The patient is seen intervals for supervision and follow-up care.

Shell teeth는 매우 드문 상아질 이상으로 상아질 이형성증의 한 형태로서 특징적으로 정상적인 법랑질, 매우 얇은 상아질, 비정상적으로 큰 치수강, 짧아진 치근 등을 보인다. Shell teeth는 1954년 Rushton이 21세 남자 환자에서 나타난 증상을 설명하여 처음 명명하였으며, 1984년 Kinirons이 8세 남아의 shell teeth에 대해 보고하였다. 1992년 Harrison과 Kennedy는 7세 6개월 된 남아에서 보인 shell teeth를 14년간 관찰하여 보고하였는데 이 환아는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 shell teeth가 관찰되었고, 일반적인 shell teeth와 달리 치관에서는 shell teeth의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치근에서만 나타났다. 매우 얇은 상아질과 큰 치수강은 국소적 이형성증에도 관찰되는 특징인데, shell teeth는 전치열에서 보이는데 반해 국소적 이형성증은 한정된 몇 개의 치아에서만 관찰되어 감별진단 할 수 있다. 본 증례는 3세 남아에 관한 것으로 구강내 소견은 모든 유치 치관이 파괴되어 상아질이 노출되어 있었고, 방사선 소견은 얇은 상아질로 둘러싸인 매우 큰 치수강과 확장된 치근관을 보였으며 다수의 소구치가 결손되어 있었다. 환아는 행동조절의 문제 때문에 전신마취하에 치료를 받았다. 현재 환아는 공간유지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