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내패션제품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의 가격과 객관적 품질에 관한 비교 연구 - 1990년대를 중심으로 -

  • 백수경;황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50-51
    • /
    • 2001
  • 많은 소비자들이 가치지향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제품의 품질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며, 제품구매시 불완전한 정보 상황에서 빈번히 제품품질의 지표로서 가격을 이용한다고 한다(Peterson & Wilson. 1985). 이와 관련하여 시장에서의 실제 가격과 객관적 품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효율성을 파악한 연구가 각국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패션제품에 관한 가격과 객관적 품질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국내 외적으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객관적 품질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 패션제품의 품질수준을 비교해 보 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격이 제품품질의 지표가 될 수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 시장의 가격과 품질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의 가격과 객관 적 품질의 상관관계가 패션산업범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제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탐색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구매이득은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를 위한 내용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양국의 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중립적 정보원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의 <소비자 시대>와 미국의 에 개 재 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의 상품비교테스트 정보중에서 패션제품군에 관련된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한국의 36개 패션제품군, 470개 제품과, 미국의 40개 패션제품군. 692개의 패션 제품이었으며, 패션산업범주는 여성복, 남성복, 유니 섹스 의류, 스포츠 의류, 유.아동복, 언더웨어. 잡화. 제화류, 침장류, 섬유직물, 화장품. 학생복 등 11 가지 산업범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의 지난 십년간의 가격 과 품질의 상관관계는 매우 약한 정(+)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패션제품의 전체 서열상관계수의 평균은 0.091이었고, 미국의 상관계수 평균은 0.192였 다. 상관계수의 수치만으로 볼 때 한국보다는 미국 패션제품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관계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양국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한국 패션제품의 경우에는 제품군의 가격대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1만원 미만의 저가 제품군과 330만원이상의 고가의 제품군의 경우 부(-)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둘째.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제품군별. 산업범주별 로 상이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패션제품군별로 보 면, 한국의 경우는 가장 높은 '여행용가방(r = 0.707)' 에서 가장 낮은 '자외선 차단화장품(r = -0.58)'까지, 그리고 미국 패션제품군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팬티 스타킹'의 0.820에서 '남성용 런닝슈즈'의 -0.472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알 경우 얻을 수 있는 소비자의 구매이득 을 추산한 결과 패션제품시장에서 완전한 품질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현명한 사람'은, 최고가격의 제품만을 구입한다고 가정한 '부유한 사람들'의 구입방식에 비해 최고 좋은 품질의 상품을 총 지불액의 비율로 보아, 한국의 소비자는 약 50% 정도를, 미국의 소비자는 약 91%나 되는 액수를 절약하여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과 미국 모두 제품군별, 그리고 산업범주별로 상관관계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양국의 소비자들이 패션제품 의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오로지 가격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은 위험하고 비합리적인 구매의사 결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좀 더 합리적인 구매의사결정을 하여 재정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가격과 품질에 관한 신뢰있는 정보의 탐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신서란 섬유를 이용한 종이제조 및 물성평가

  • 이현철;김봉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14
    • /
    • 2001
  • 현재 제지용 펄프 및 펼프 원료의 국내 자급상태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원료 가격변동과 환율에 따라 수익성은 물론, 원료 수급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최근 버 진펄프의 가격상승은 재생펄프 사용량과 고지수입량을 더욱 늘리고 있으며, 이들의 사 용에 따른 품질저하 개선노력도 꾸준히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원가절감과 품질유지라 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며 그 효과 또한 점점 미 미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들을 펄프소재면에서 접근하여 해 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중국은 벗짚펄프를 제지용으로 적용하여 오랜 시행착오 끝에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남미에서도 수수 등을 이용한 제지용 펼프 개발에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는 제한된 원료의 사용만으로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가 힘들다는 언식에서 출발한 것이며, 새로운 원료개발 자체가 그 해결방 안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맥락에 따라 국내에서 적용이 가능한 소재를 조사하였으며 우선적으로 신서란을 선택하게 되었다. 신서란은 뉴질랜드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오래전부터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다년생 초본류이다. 수많은 경질섬유(hard fiber)중에서도 경제적으로 재배되는 유일한 작물로 선박용 로프, 그물, 범포 등의 원료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화학섬유로 대체되 어 그 사용이 전무한 실정이다. 선서란은 고강도와 우수한 유연성, 탄력성 및 양호한 광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척박한 땅에서도 생장이 왕성하여 재배가 쉽다 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본 연구는 펄프용 섬유로서 양호한 기본특성을 가진 신서란 을 이용한 펄프를 기존 제지공정에 일정량 투입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종이의 일반물성 개선 및 특수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제지용 펄프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이어서 몇십%의 현을 억제하지는 못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패션제품의 지난 십년간의 가격 과 품질의 상관관계는 매우 약한 정(+)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패션제품의 전체 서열상관계수의 평균은 0.091이었고, 미국의 상관계수 평균은 0.192였 다. 상관계수의 수치만으로 볼 때 한국보다는 미국 패션제품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관계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양국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한국 패션제품의 경우에는 제품군의 가격대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1만원 미만의 저가 제품군과 330만원이상의 고가의 제품군의 경우 부(-)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둘째.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제품군별. 산업범주별 로 상이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패션제품군별로 보 면, 한국의 경우는 가장 높은 '여행용가방(r = 0.707)' 에서 가장 낮은 '자외선 차단화장품(r = -0.58)'까지, 그리고 미국 패션제품군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팬티 스타킹'의 0.820에서 '남성용 런닝슈즈'의 -0.472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알 경우 얻을 수 있는 소비자의 구매이득 을 추산한 결과 패션제품시장에서 완전한 품질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현명한 사람'은, 최고가격의 제품만을 구입한다고 가정한 '부유한 사람들'의 구입방식에 비해 최고 좋은 품질의 상품을 총 지불액의 비율로 보아, 한국의 소비자는 약 50% 정도를, 미국의 소비자는 약 91%나 되는 액수를 절약하여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과 미국 모두 제품군별, 그리고 산업범주별로 상관관계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양국의 소비자들이 패션제품 의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오로지 가격에 대한

  • PDF

패션 기업의 e-Biz

  • 홍두표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2
    • /
    • 2003
  • 패션산업의 현황 - ① 외부환경ㆍ국내유통개방이후 세계적 유명 브랜드의 시장 잠식 심화 루이뷔통, 구찌 등 50여개 명품 브랜드 국내도입ㆍ국내 유통점(백화점 등)의 해외 브랜드 선호로 국내 브랜드 발전 위축ㆍ국내시장도 국제시장화 하여 해외 선진 브랜드와 무한 경쟁ㆍ신 유통팽창 : 할인점, 아울렛, TV 홈쇼핑, 인터넷 쇼핑 등 출현ㆍ좁은 내수 시장 (인구 4,500만명)ㆍ고객(소비자)의 반란 ② 내부환경ㆍ영업, 기획, 생산 등 인건비 상승에 따른 제품 가격 인하로 경쟁력 상실ㆍ국내봉제업체의 도산 (해외 생산기지 가속화)ㆍ비효율적인 경영 시스템ㆍ기업간 구매, 생산 정보부족으로 납기, 품질 등 고질적인 문제 내포 (중략)

  • PDF

Consumer need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n Clothing based on Digital Fashion System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섬유제품 수요 경향)

  • Cho, Ha-Kyung;Kim, E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99-99
    • /
    • 2012
  •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대량 맞춤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 및 디지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는 최근 의류 분야에서 주요한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량 맞춤화 의류 제품의 수요는 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최근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인터넷 맞춤서비스를 기반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CAD 등의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하여 디자인, 패턴제작, 재단 등의 자동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을 통해 3차원 바디 스캔,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3차원 Simulation, DID, DTP, 맞춤주문형 제품의 대량 생산기술 등의 단위 기술이 기업단위로 활용되는 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가상쇼핑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섬유패션 산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 전체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 공정을 단축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날염 방식으로, 대량 맞춤형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 중 하나의 단계로 소비자의 수요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대량 맞춤형 의류 제품에 있어 소비자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대량맞춤형 섬유제품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적용 섬유제품에 대한 기초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기초 소비자 태도를 반영하여,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의류 제품의 선호도, 인지도, 수요도 및 구입의향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 적용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의류 제품의 수요 경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f Creative Strategy of Luxury and Domestic Fashion Advertisement (해외명품광고(海外名品廣告)와 국내(國內)패션광고(廣告)의 크리에이티브 전략(戰略)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Seung-Hee;Yoo, Seon-Ae;Lee, Ju-Ye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1 no.2
    • /
    • pp.113-12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advertisements of prestigious products and domestic fashion brands through fashion magazines. Especially, a comparative analysis of creative advertising strategies of prestigious products and fashion brands will be vital in establishing advertising strategies and marketing planning of domestic fashion brands. This study targeted and analyzed all the advertisements of prestigious fashion products and domestic career women's high-end casual brands printed in VOGUE KOREA and ELLE KOREA in 2005 and 2006. Descriptive statistics and x2-test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estigious product advertisements accounted for 197 (57.9%), and domestic fashion 143 (42.1%) out of a total of 764. Except for duplicates, the 340 advertisements analyzed,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Luxury fashion brand advertising accounted for more than domestic fashion brands in the magazines studied. That is luxury fashion brands have greater exposure to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drawn in this study for fashion products, various and unique advertising strategies utilizing visual factors that most effectively delivered to consumers are imminently needed as creative strategy measures in domestic fashion advertising.

Fashion Category Oversampling Automation System

  • Minsun Yeu;Do Hyeok Yoo;SuJin Ba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1
    • /
    • pp.31-40
    • /
    • 2024
  • In the realm of domestic online fashion platform industry the manual registration of product information by individual business owners leads to inconvenience and reliability issues, especially when dealing with simultaneous registrations of numerous product groups. Moreover, bias is significantly heightened due to the low quality of product images and an imbalance in data quant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sNet50 model aimed at minimizing data bias through oversampling techniques and conducting multiple classifications for 13 fashion categories. Transfer learning is employed to optimize resource utilization and reduce prolonged learning times. The results indicate improved discrimination of up to 33.4% for data augmentation in classes with insufficient data compared to the basic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model. The reliability of all outcomes is underscored by precision and affirmed by the recall curve. This study is suggested to advance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online fashion platform industry to a higher echelon.

New! 안전시설 & 보호구 - 첨단 기술에 멋까지 더한 안전.보건 신제품 대거 선봬 -제29회 국제안전보건전시회 큰 관심 속 성료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64
    • /
    • pp.24-25
    • /
    • 2011
  • 2011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에 주요 해상 가운데 하나로 '국제안전보건전시회'가 7월 4일부터 7일까지 서울 코엑스 전시홀A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9회째를 맞이한 이번 전시회는 국제 최대 규모의 종합 안전 보건 전시회라는 위상에 걸맞게 우리나라를 필두로 미국, 독일, 일본 등 15개국 200여개 업체가 1만여점의 안전보건 최신장비와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올해 제품들은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안전성이 기존보다 높아졌을 뿐 아니라 패션감각까지 더해져 관람객들과 국내 외 바이어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주요 안전보건제품들의 특징과 장점을 살펴봤다.

  • PDF

해외 유명 패션브랜드들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국내 패션브랜드의 세계화 방안

  • 배혜진;정인희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43-44
    • /
    • 2003
  •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수입 브랜드들이 유통되고 있고, 큰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신진경(1997)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제품의 품질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판매촉진 효과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1979년부터 수입자유화 정책화 함께 외국 유명브랜드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정부의 도입조건 완화로 인해 1984년 7월 1일부터는 허가제가 신고제로 바뀌어 외국 브랜드 도입이 더욱 용이해졌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