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경지대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dustrialization Process in the Border Area of The U.S. and Mexico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산업화 과정)

  • 김학훈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1
    • /
    • pp.81-112
    • /
    • 1998
  • This study reviews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the United States-Mexico Borderlands and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Mexico and examines their impact on the borderlands. Main factor in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borderlands was the U.S. investment on the maquiladora program of Mexico since 1965. I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and population of borderlands and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ies. Low wage level of Mexico induced not only standardized labor-intensive industries but also the high-tech automated industries because they still use a lot of labor in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while the functions of management. R & D, and distribution remained in the U.S. This is a typical case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satellite industrial district. The rules of origin in NAFTA, however forced branch Plants of multinational companies to form the local linkages between firms.

  • PDF

A Study on the Economic Structure of Mexican Northern Borderlands in Relation to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멕시코 북부 국경지대의 경제구조 변화에 관한 고찰)

  • Lee, Jeon;Back, Jong-Go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2
    • /
    • pp.155-174
    • /
    • 1997
  • This paper's main objective is to present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NAFTA o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Mexican northem borderlands. The NAFTA is the strategy of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first mentioned by Salinas in June 1990 and established since January 1994. Mexican govemment permitted factories called maquiladoras at the northem borderlands for the first time in 1965. in the early 1980s Mexico was in a deep economic crisis and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was adverse to Mexico. Mexico began to move toward an open economy and abandoned the import-substitution industrialization model that characterized Mexico since the 1930s. Through the new economic reform, the market system was preferred to the regulation; the private ownership, to the public ownership; and the competition, to the protection. The most phenomenal urbanization in northem Mexico has occurred around the major crossing points along the Mexico-U.S. border. The rapid urbanization in northern Mexico has been much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brought about bv the maquiladora programs and, recently, by the NAFTA.

  • PDF

Gloria Anzaldúa's Borderlands/La Frontera: From the Border to the Borderland (글로리아 안살두아의 『경계지대/국경』: 경계에서 경계지대로)

  • Woo, Suk-Kyun
    • Cross-Cultural Studies
    • /
    • v.46
    • /
    • pp.63-84
    • /
    • 2017
  • This paper analyzes Gloria Anzaldua's borderland proposal through her work Borderlands/La Frontera (1987). One of the strong trends of US geographical imagination started from the concept of 'city upon a hill'. It left an important footprint in the American history.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political history, i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isolationism policy. But, this imagination is contradictory because it has exercised the bordering power that demarcates the border and overpasses it as needed. Anzaldua's geographic proposal consists of transformation of the border into the borderlands. This is a challenge to the bordering power and a challenge to the geographical imagination that has led to isolationism, and ultimately a history war. This is not only a nationalist war aimed at the Chicano's restoration but also a war that can measure the American society's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future.

The Korean Migration in Vladivostok, Russia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한인 1) 거주지 이동)

  • 장은영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90-90
    • /
    • 2004
  • 한인 13가구가 최초로 러시아로 이주한 1863년 이후 그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초기에는 국경지대를 중심으로 한인촌을 형성하였으나 점차 연해주는 물론 동시베리아 지역으로까지 확산되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도 도시의 건설 및 성장과 함께 한인 집단 거주지가 형성되었고, 두 차례 에 걸친 강제 이주와 한 번의 자발적 이주로 위치가 이동하였다. (중략)

  • PDF

Mexico IMMEX Program and the Changes of Maquiladora Industry (멕시코 IMMEX 프로그램과 마킬라도라 산업의 변화)

  • Kim, Hak-H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
    • /
    • pp.143-162
    • /
    • 2021
  • This study reviews the progress of maquiladora industry in Mexico and the development of the IMMEX program. The maquiladora program allows foreign-invested factories in Mexico to import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duty free and to export the finished products to the U.S. I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and population of border cities. Low wage level of Mexico induced not only standardized labor-intensive industries but also the high-tech automated industries requiring assembly process. In 2006, the Mexican government merged the maquiladora program and PITEX for Mexican export-oriented firms into a single new program, the IMMEX program, in order to promote exports more effici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distributions of the IMMEX firms by industrial sector and by region. It is revealed that transport equipment sector leads the export industries in Mexico, and Tijuana and Juárez accommodate largest agglomerations of the IMMEX firms.

카르스트(KARST)의 지형과 동굴보전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9a
    • /
    • pp.45-52
    • /
    • 1995
  • 카르스트라는 용어는 고대 인도-유럽어로 그 기원은 거슬러 올라간다. 암석을 뜻하는 칼라(Karra)로 부터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고, 그것의 파생어는 유럽과 중동의 많은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북부의 유고슬라비아에서 그 단어는 칼스(kars)를 거처 카라(Kra)로 발전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와 이태리의 국경지대인 트라에스트(Trieste)지방에서 그 지역에 대한 지역적인 명칭으로 이것이 '불모의 땅'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종종 이 지역의 자연적인 특징이 최초로 광범위하고 과학적인 연구로 받아들여진 지역으로 '고전적인 카르스트'로 언급된다. 로마시대에 지역적인 명칭은 '칼스서 혹은 칼소'(Carsus & Carso)였고, 그것이 오스트리아-헝가리(Austro-Hungarian)제국의 일부분이 되고 나서, '카르스트'(karst)라는 독일말로 정착되어진다. 뷔엔나(Vienna)의 지리학 또는 지질학술대회에서 국제적인 과학적 용어로서 그 단어가 정식으로 사용되었고, 그 용어의 기술적인 사용은 19세기 중반경에 확립되었다.(중략)

  • PDF

카르스트(KARST)의 지표지형과 동굴지형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05a
    • /
    • pp.89-96
    • /
    • 1994
  • 카르스트라는 용어는 고대 인도-유럽어로 그 기원은 거슬러 올라간다. 암석을 뜻하는 칼라(Karra)로 부터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고, 그것의 파생어는 유럽과 중동의 많은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북부의 유고슬라비아에서 그 단어는 칼스(kars)를 거처 카라(Kra)로 발전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와 이태리의 국경지대인 트라에스트(Trieste)지방에서 그 지역에 대한 지역적인 명칭으로 이것이 '불모의 땅'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종종 이 지역의 자연적인 특징이 최초로 광범위하고 과학적인 연구로 받아들여진 지역으로 '고전적인 카르스트'로 언급된다. 로마시대에 지역적인 명칭은 '칼스서 혹은 칼소'(Carsus & Carso)였고, 그것이 오스트리아-헝가리(Austro-Hungarian)제국의 일부분이 되고 나서, '카르스트'(karst)라는 독일말로 정착되어진다. 뷔엔나(Vienna)의 지리학 또는 지질학술대회에서 국제적인 과학적 용어로서 그 단어가 정식으로 사용되었고, 그 용어의 기술적인 사용은 19세기 중반경에 확립되었다.(중략)

  • PDF

A Development of a Color Tracking System based on the Central Value of the Object (객체 면적중심 기반의 색 추적 시스템 개발)

  • Ji, Yu-na;Kang, Yu-Kyung;Le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324-1327
    • /
    • 2013
  • 최근 무인로봇 시장이 커지면서 국방관련, 민간, 상업적으로 무인로봇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사람이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재난발생지역, 환경오염지역, 방사능위험지역, 국가 간 분쟁지역 등에 무인항공기나 무인지상로봇을 투입하여 실시간 원격으로 재난피해 정도를 관찰하고 인명구조작업, 생존자 위치파악, 국경지대 순찰 등에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제한적인 환경에서 가지고 있는 부품들이 기능을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 하나의 센서 또는 부품을 활용한 위치추적, 원격제어 및 자율주행 등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개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객체의 색을 인식하고 추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거리감지 센서 기반의 색 객체 추적 알고리즘에 비교하여, 면적중심 값의 변화량에 따라 객체추적의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쉽게 객체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DMZ의 지속 가능한 이용에 대한 전략에 있어서의 교육의 이용과 환경적 해석

  • Jones, Grant
    • Hwankyungkyoyuk
    • /
    • v.10 no.1
    • /
    • pp.115-128
    • /
    • 1997
  • MZ는 국제적 환경 생태 지대가 될 수 있으며, 황해의 한-임진 강어귀를 열곡 중심에 있는 철원 유역과 이으며, 동해안 바위투성이 해안에 있는 설악산과 금강산 사이의 태백산까지 잇는다. 이 통일의 자연 기념비는 인류의 희망의 성지와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은 국경 지대에서 평화의 상정이 된 멸종 위기의 학의 보호 구역이 될 수 있다. White-napped 학 (Grus vipio), Red-necked 학 (Grus japonensis), 아시아에서 충성의 상징인 Hooked 학 (Grus monacha)은 곧 멸종할 운명에 처해 있다. 임진강 어귀 근처에서 시작되는 귀중한 풍경은 여러분의 유산을 재발경하고, 풍경에 내재된 본질적인 자연?문화적 가치를 포착하고, 그리고 환경적으로 건강한 개발을 하면서도 다음 세대를 위해 그것들을 보존할 완전한 자원망이다. 환경교육은 '고객으로서의 장소'의 모델과 연계된 환경 교육은 DMZ의 미래를 위한 일치된 의견을 이뤄내는 관문이 될 것이다.

  • PDF

Globalization/Localization and Organization of Economic Space (세계화/지방화와 경제공간의 조직)

  • 박삼옥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1
    • /
    • pp.11-32
    • /
    • 1998
  • Globalization of econom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Spac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major trends of the changes in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space in the Pacific rim, and the major processes of the changes. Intra-regional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s have increased considerably in the Pacific region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during the last decade. Due to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of economy in the Pacific rim, some growth triangles have extended their agglomeration area beyond the national boundaries and several new industrial districts have developed. The reorganization of the economic space in the Pacific rim has been resulted from industrial restructuring of NIEs, spatial division of labor along the commodity chains, and the formation of industrial networks within the region. The ‘cooperative network strategy’has been suggested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glocalization an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acific ri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