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 호감도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한·일 대학생의 국가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미디어 접촉도와 문화 콘텐츠 소비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Determinants of National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edia and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

  • 조윤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67-67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국가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206명과 일본 대학생 164명, 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양 국의 대학생들에게 동일한 설문을 제시하여 상대국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의 해외 거주 여부와 외국인 친구의 유무와 같은 일반적인 해외 경험과 다문화수용성, 그리고 상대국 방문이나 상대국 출신의 친구의 유무와 같은 직접적인 경험, 그리고 미디어를 통한 상대국의 문화 콘텐츠 접촉과 같은 간접 경험 등의 설문과 국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상대 국가의 문화 콘텐츠에 대한 인식 등의 개방형 설문 응답의 질적 분석을 통해 국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한국과 일본의 응답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일본 대학생 모두 상대국의 문화 콘텐츠 접촉 빈도가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한국 대학생은 일본의 문화 콘텐츠 중에서 노래와 출판물의 접촉 빈도가, 일본 대학생은 한국 드라마의 접촉 빈도가 국가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학술 및 실무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가 국가이미지와 국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Public Diplomacy with Social Media on Country Image and Country Brands -Focusing on Cultural Contents-)

  • 최용석;김효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26-438
    • /
    • 2016
  • 본 연구는 공공외교가 이루어지는 소통의 채널에 관심을 두고,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의 특성이 공공외교 콘텐츠 호감도와 국가 이미지,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실증분석을 위하여 7개 대륙 42개국 외국인 301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신속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 호감도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공외교 문화콘텐츠 호감도는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국가 이미지는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21세기 공공외교 정책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소셜 미디어가 가지는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공공외교를 수행하는 주체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래 공공외교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는데 시사점이 있다.

일본 문화 접촉 유형 및 빈도가 일본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Form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Japanese Culture on an Individual's Impression of Japan)

  • 유하연;이지영;김민지;도지혜;이재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9-482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일본이라는 국가에 갖는 국가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인들이 갖는 일본에 대한 이미지에 일본문화접촉의 유형 및 빈도 등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밝힌다는 점에서 이전의 대중문화 그리고 국가호감도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들과의 차별된 결과를 도출한다. 또한, 접촉에 따른 일본에 대한 호감도의 양상과 더불어 이와 일본어 학습의 연관성, 일본문화에 대한 이미지의 연관성 등을 밝힌다.

  • PDF

한식콘텐츠 이용 경험자에게 형성된 한식호감도가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2030세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Favorability of Korean Food on the Favorability of Korean Wave,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 Focused on Young Vietnamese)

  • 이지선;정라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20-331
    • /
    • 2017
  • 본 연구는 한식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에 대한 호감도가 한류호감도, 한국의 국가이미지, 그리고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식콘텐츠를 '한국 음식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내용물'로 정의하고, 한식 레시피 콘텐츠, 한식 식문화 콘텐츠, 한식 레스토랑 가이드, 한식 미디어 콘텐츠의 4가지 콘텐츠 유형으로 제시한 뒤 한 가지 이상의 한식 콘텐츠 이용 경험이 있는 2030 베트남 젊은 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LS-SEM 기반의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한식 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호감도는 국가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한류호감도를 매개로 한국의 국가이미지나 한국 방문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식 콘텐츠의 이용경험은 한식호감도,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방문의도 등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따라서 한류 콘텐츠로서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독립적이며 전문적인 질적 성장까지 체계화시키고 고도화시켜 나간다면, 한식 세계화의 미래 방향성을 견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Impact of K-pop on Positive Feeling Towards Korea, Consumption Behaviour and 1Intention to Visit from other Asian Countries)

  • 김주연;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16-524
    • /
    • 2012
  • 최근 K-pop은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전세계적인 인기를 구사하고 있다. 드라마를 중심으로 확산되던 한류는 2005 이후 아이돌그룹 가수들을 위시로 한 K-pop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한류 팬들의 한류 소비행태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서서 한류스타의 모방뿐 아니라 한글을 배우는 등 보다 발전된 행동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의 아시아 4개국을 대상으로 하여 K-pop 이용행동을 파악하고, K-pop을 좋아하는 이유를 파악하였다. 또한, K-pop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 한국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국가별 K-pop 이용행동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K-pop 선호요인과 국가호감도과 한국방문의도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K-pop의 해외진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콘텐츠 만족도 및 호감도가 글로벌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 (Consumer Attitude on Global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to Global Products: The Moderating Role of Ethnocentrism)

  • 김병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81-587
    • /
    • 2022
  • 일반적으로 국가, 지역 혹은 문화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콘텐츠 시장이 팬데믹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이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진 글로벌콘텐츠에 대한 태도가 글로벌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의 조절효과와 함께 살펴보았다.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 소비자들이 글로벌콘텐츠에 대한 만족도와 호감도가 높아질수록 글로벌제품에 대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소지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에 의해 부(-)의 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열해진 국내 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은 물론,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에 대한 경쟁의식과 문화유입수용성이 중국인들의 자국방어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의 매개효과와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Effect of Chinese's Sense of Rivalry toward Korea and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on National Defense Respond: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iking for Korean Wave)

  • 이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77-28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들의 한국인에 대한 경쟁의식과 문화유입수용성이 국가 간에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중국인들의 자국방어적 대응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영향에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의 매개효과와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가 어떻게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11개 도시(7개 성소재)에 거주하는 30세 미만의 695명의 중국인들을 설문조사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한류호감도가 높은 경우에는 국가간 경쟁의식이 한국과의 분쟁의 합리적 해결에 부적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한류호감도가 낮은 집단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류호감도가 높은 경우에는 문화유입수용성은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자국방어적 대응 성향을 완화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된 반면 한류호감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가 입증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강화도의 수리와 지형 (Irrigation and landforms of Ganghwado in Central West Korea)

  • 범선규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35
    • /
    • 2004
  • 본 발표의 주요 내용은 강화도의 수리와 지형에 관한 것이다. 강화도의 면적은 302㎢로 91㎞의 해안선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농경지면적은 약 120㎢(논이 86㎢)이다. 강화도는 한반도가 전장으로 유린당하거나 왕도나 수도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그 존재가 크게 부각되었다. 반면에 국가가 평온한 시기에는 크게 주목을 끌지는 못했던 것 같다. 이것은 강화도가 '삶의 터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호감을 줄 수 있는 여건이 많지는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일 수도 있다. (중략)

  • PDF

2006년 월드컵 경기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4대 매체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Analyzing Media Effect in 2006 Worldcup Match With Four Major Media Vehicle)

  • 문성준;성지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0권
    • /
    • pp.321-348
    • /
    • 2007
  • 본 논문은 국내의 수용자들이 2006년 독일 월드컵 당시 한국의 매스미디어를 통해 관람한 월드컵 경기가 그들의 월드컵 후유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6년 한국과 16강 예선전을 펼쳤던 3개 국가와의 경기와 관련한 보도에 대한 응답자들의 미디어별 노출을 측정했으며, 직 간접적 차원의 월드컵 후유증에 대해 조사했다. 또한 순수한 미디어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스포츠 및 월드컵에 대한 호감도와 같은 가외 변인을 상정하여 측정했다. 계층 회귀 방법을 사용하여 일부 효과가 검증되었는데, 4대 매체 중 라디오가 간접적 후유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국력요소 중, 소프트파워로서의 문화경쟁력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power as a soft power among national power)

  • 최창현;박정배;김종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5-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문화력이 국력요소인 소프트파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문화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국력요소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자원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이의 활용을 통해 자원이 필요할 때 필요한 질과 양만큼 개발 생산하여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그런 자원들을 개발 생산, 확보하는 제반주체들의 활동이 원활히 발휘되도록 돕는 제반지원능력, 즉 복합지원역량으로 나타나야 한다. 문화력의 지표는 국민호감도, 문화호감도, 문화산업 경쟁력 지수, 체육경쟁력 지수, 관광 경쟁력 지수 등을 포함한다. 각 국가들의 문화력을 분석한 결과, 각 국가들의 문화산업 경쟁력과 여행 및 관광 경쟁력의 요소들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파워로서의 문화력' 부문에서 한국 중국 미국 간 문화산업과 여행 및 관광 경쟁력 측면에서 요소 지표를 분석하여보고 문화차이 등 자원의 발휘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