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 연구개발

Search Result 5,016,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Service System to promote the Use of National R&D Technical Information (국가연구개발 우수유망기술정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 Joo, Won-Kyun;Choi, Ki-Seok;Kim,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45-148
    • /
    • 2011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제고가 과학기술계 주요 이슈로 부상되면서 사업의 경제적 성과창출에 초점을 둔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 하는 NTIS는 국가연구개발성과를 부가가치 창출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우수유망기술정보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우수유망기술정보는 국가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최종평가 결과가 우수한 과제의 연구성과(기술) 중 기술이전·사업화의 가능성이 있거나 후속연구를 통해 기술이전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을 칭한다. NTIS에서는 2008년부터 우수유망기술정보 DB를 구축하였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유망기술정보서비스와 관련된 국내외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대내외 환경변화 및 공익적인 사업성격을 고려하여 NTIS 우수유망기술정보서비스의 활용과 관련한 현황을 파악하였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서 향후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Comparative study of the food Instrument design for the Design Preference and Creativity between Korea and Malaysia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선호와 창의성평가요소에 대한 비교 - 말레이시아와 한국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사례연구 -)

  • Hong, Jeong-Pyo;Lee, Se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27-130
    • /
    • 2009
  • 국가 간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생활습관이나 방식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음식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난다. 특히 음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음식도구 중 디자인요소가 동일하고 유사한 것이 있거나 다른 요소와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국가 간의 음식도구를 유니버설 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대한 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국가 간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도구의 디자인요소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음식에 대한 소비자행동 분석 프로세스의 개발 및 관찰을 통하여 행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동분석을 접목하여 음식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둘째로,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 간 음식의 주문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나타난 현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각 국가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국가별 개발된 디자인 안을 대상으로 선호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선호요소와 창의성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별, 음식별, 행동별, 식당형태별로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음식도구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간 동일 아이템을 디자인 교육시간에 진행시켜 대학의 디자인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간에 협력과 상호보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아이디어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dicators (국가기술사업화지표 개발 방안 연구)

  • Choi Sung-Ho;Moon Hye-Seo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1
    • /
    • pp.26-51
    • /
    • 2006
  • Recentl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has been the focus of technology Promotion Policy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develop a composite indicator for measuring trends and prospects of nat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rough integrating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to easily understood formats. The indicator is composed of five sector indicators including activity, cooperation or networking, performance, environment, and psychology indicators, each of which aggregates five individual variables. The statistical method of standardizing and weighting variables in the aggregation process are also mentioned. This indicator is expected to be a useful monitoring and policy tool for the Korean technology market.

  • PDF

A Comparison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lanning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수자원개발 계획 특성 비교)

  • Heo, Jae-Young;So, Jae-Mi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7-237
    • /
    • 2016
  •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가용 수자원의 부족과 물 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자원 및 물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세계 수자원 시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어 공공기관 및 국내기업은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외 수자원산업의 진출을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수자원 현황파악과 수자원개발 계획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며, 물수지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수자원개발 계획과 특성을 비교하고 물수지 분석을 위한 자료의 가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아시아 개발도상국인 3개 국가(베트남, 이란, 파키스탄)를 선정하였으며, 각 국가의 수자원개발 계획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사례와 비교하기 위해 국가수자원 장기종합계획과 국가 간 이수 및 치수부문별 계획의 차이점과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국가별 수자원계획에 활용한 수요 및 공급부문별 자료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해외 수자원산업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물수지 분석 및 평가를 통해 수자원개발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a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Levels(TRLs) for a Large-Scal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 자제를 위한 기술준비수준 모델 개발)

  • Hong, Jin-Won;Park, Seung-Wook;Suh, Woo-Jong;Park, Ji-M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3
    • /
    • pp.58-75
    • /
    • 2009
  • As practic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ies invented from the national R&D(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the need for a tool for R&D project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Technology Readiness Levels model(TRL) has currently been used for R&D project management because it provides distinctive definition of the nine levels in the progress of technology development starting from the basic research level to the utilization lev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opt the model for a large-scale national R&D project in which multiple research projects are involv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RL demands evaluation of research projects done by relevant experts and offers no specific measures determining the level of technology development. This study uses Delphi method to develop the measurement system helping to determine technology readiness levels for the technologies invented in a large scale national R&D project. The proposed model includes definition and measurement scles for each level in TRL.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 방안 연구: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 Jo, Seong-Do;Lee, Cheon-Mu;Hyeon, B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345-362
    • /
    • 2011
  • 국가 성장동력의 밑거름이 되는 R&D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의 R&D 투자는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 R&D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동시에 R&D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그 동안 R&D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R&D 전주기 Plan-Do-See 관점에서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가 기획(Plan)과 성과확산 및 사업화(See)의 문제해결을 통한 생산성 향상 전략 마련에 국한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그 사업의 목표, 추진방법, 추진주체, 연구성과, 사업규모, 사업기간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성공적인 사업운영을 위해 차별화된 관리 지원 시스템(Do)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R&D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R&D 지원시스템 관련 논의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보유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연구기간과 연구비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R&D 특성을 고려한 R&D 지원시스템을 도출하고 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eta Evaluation for Self-Evaluation of National R&D Programs (국가연구개발 프로그램의 메타평가에 관한 연구)

  • Kim, Eunjin;Hahn, sun-wha;Lee, 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7-338
    • /
    • 2011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조사 분석 평가를 받게 된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소속된 연구회 체제 안에서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성과를 평가받게 된다.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을 통해 국가연구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에 제기되고 있는 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Development of Cross Reference R&D Information Model using Topic Map (Topic Map을 활용한 연구개발정보의 연계 모델 개발)

  • Kim, Jae-Sung;Yoon, Cho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4
    • /
    • pp.155-174
    • /
    • 2005
  • Recently, under the pressure of national necessity, the national S&T information system(NTIS) for collecting, managing and distributing various R&D information is under discussion. The close inter-connections and cooperations among elements in R&D process, activity, information and data levels are the basis of national S&T information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cross reference model of R&D information. The proposed model includes research project, person and output information which are essential in the R&D activities. By using the proposed model, a cross navigating and referencing among R&D information is possible. And various queries on the models from various viewpoints are also possible. XML Topic Map, ISO13250 Standard, is used for development of the proposed model. The efficiencies and further practical usages of proposed model are discussed by demonstrating the proposed model with an exampl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R&D Knowledge Information -Mainly Focused on the Research Planning and Management- (국가 R&D 지식정보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연구기획 및 관리를 중심으로-)

  • You, Neom-Jeong;Choi, Ki-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8 no.1
    • /
    • pp.281-301
    • /
    • 2004
  • The national investment versus research result management ratio is very low as we compare to those of other advanced countries. Also the system of efficient usage of research result is insufficient. It results inefficient R&D investment when we drive national R&D program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generalized information system for efficient planning and management of national R&D programs. And we developed a efficient system of the R&D information support and a system of a smoothly circulating R&D information. Also we apply those systems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of Korea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This application system can provide a total R&D information of whole life cycle of the national R&D programs.

Review on the Australian Curriculum: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 So, Kyung-Hee;Jang, Ju-Kyung;Lee, Sun-Young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1 no.2
    • /
    • pp.51-73
    • /
    • 2011
  • In Australia, school education had maintained a state-based curriculum for a long time. However recently, Australia developed national curriculum and plans to implement it from 2011. It is meaningful to review why Australia tries to break with the tradition kept for many years and hand over the right to decide school curriculum from the states or territories to the nation, which is opposite from the Korean situation. Especially, because in Australia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one of the education revolutions, we need to investigate how the fundamental change corresponding to the 'revolution' is revealed in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through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t features about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Australia implements for the first time. To achieve the purpose, the article analyzes national curriculum of Australia in three ways. First, it reviews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rticle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focused on the structure of it. Finally, it discusses several implications that the case of Australia gives to the system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