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치부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33초

Axenfeld-Rieger Syndrome 환자의 증례보고 (AXENFELD-RIEGER SYNDROME WITH DENTAL PROBLEM : A CASE REPORT)

  • 성민경;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3-117
    • /
    • 2012
  • 저자는 ARS를 가진 15세 여자 환아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환아는 Axenfeld-Rieger Syndrome의 안과적 증상인 전안부 형성부전을 나타낸다. 2. 환아의 구강 및 구개악안면 소견으로 다수의 영구치 결손 및 왜소치, 상악 형성 부전, 구치부의 반대교합이 관찰되었다. 3. 환아의 성장에 따른 주기적인 치과적 검진과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ressed ceramic technique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완전 도재관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pressed ceramic technique using provisional restorations)

  • 노현식;우이형;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7-51
    • /
    • 2013
  • 골유착성 임플란트의 등장으로 결손치의 수복이 가능하게 되어 전통적인 고정성 또는 가철성 국소의치가 임플란트로 대체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젊은 환자의 경우 보철물의 수명과 함께 심미적인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 임플란트는 장기간의 성공적인 치료 결과와 함께 기능적인 회복을 이룰 수 있으나, 치은 퇴축으로 인한 변연부 노출, 치간 유두 상실로 인한 비심미적인 연조직, 금속 지대주, 상부 도재관의 투명도 감소 등은 임플란트 수복 시 정상적인 저작 기능 회복은 이룰 수 있으나 심미적으로는 불리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최근 CAD/CAM technology를 이용한 지르코니아는 충분한 강도와 파절 저항성을 가져 정상적인 저작 기능이 가능하고, 뛰어난 굴곡강도로 고정성 보철물, 가철성 의치 보철물에 다양하게 응용되며,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색조 재현성에서도 금속에 비해 심미적인 결과를 보이며 전치부와 구치부의 보철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pressed ceramic technique을 이용한 전부 도재 보철 수복은 기존의 전통적인 도재 축성 과정보다 우수한 파절 저항성을 보인다. Pressed ceramic technique 은 상부의 도재 축성 과정이 왁스업을 통해 용융, 주조 되어 최종 보철물의 형태를 왁스업 단계에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임플란트를 포함한 본 증례의 보철 수복은 임시 보철물의 치경부 형태를 조절하여 심미적인 연조직을 재현하고자 하였고, 임시 보철물의 형태를 왁스업으로 복제하여 원하는 형태의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임플란트 치료에 있어서 지르코니아와 pressed ceramic technique을 적용하여 기능적이고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상악 구치부에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성공적인 보존적 수술 : 증례 보고 (Successful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of Ameloblastic Fibroma in the Posterior Maxilla : A Case Report)

  • 이영은;안효정;이수언;김은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1-327
    • /
    • 2013
  •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드물게 나타나는 진성 혼합 치성 종양으로 10~20대의 어린 환자의 하악에서 호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치료는 종양부위의 제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종양부의 제거는 보존적 방법과 광범위한 제거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는 아직 논쟁이 되는 사항이며 저자에 따라 주장하는 바가 다르다. 이는 법랑모세포섬유종의 재발률과 악성으로의 전이 가능성 때문이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4세 환아에서 발생한 법랑모세포섬유종에 대하여 묘사하고 있다. 법랑모세포섬유종을 적출술과 소파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 하였기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골에 발생한 화골성 섬유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A CASE REPORT AND RIVIEW OF LITERATURE ON OSSIFYING FIBROMA IN MAXILLA)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윤옥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29-39
    • /
    • 1989
  • 화골섬유종은 비교적 천천히 증식하는 종양으로 발견전 몇년간은 나타나지 않는다. 악골에서 화골섬유종의 잘 경계되어진 성질은 완전한 제거가 용이하여 이로인한 치료결과도 양호하다. 그러나 때때로 유년기 하악에서 이 종양의 골격적 양상을 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종양의 침윤적인 성장 때문에 건강한 조직을 포함한 절제가 적용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34세의 여성으로 약 두달전 우측 안모의 점진적인 팽윤을 인지하였으며 상악우측 구치부의 간헐적인 동통을 호소하였고 종물은 상악결절부위 및 우측 상악동의 전측방벽까지 팽윤되어 있었다. 방사선적 조사에서 우측 상악동의 후측방벽과 전방벽 그리고 우측 치조돌기와 경구개 까지의 파괴와 함께 다수의 치밀한 구형의 석회화물질을 함유한 종물이 관찰되었다. 종물은 최근의 빠른 침윤성 성장을 고려하여 부분적 상악골 절제술로 제거되었으며 6개월간 술후검사에서 환자는 특이한 술후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 PDF

하악 구치부에서 임플랜트 배열방식에 따른 임플랜트지지 고정성 국소의치의 광탄성 응력 분석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F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ES WITH DIFFERENT PLACEMENT CONFIGURATIONS IN MANDIBULAR POSTERIOR REGION)

  • 조혜원;김난영;김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0-131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More than 70% of patients who need the implant supported restoration are parially edentulous. The principles of design for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in mandibular posterior region are many and varied. Jurisdiction for their use is usually based on clinical evaluation. There are several areas or interest regarding the design of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in mandibular posterior region. 1) Straight and tripod configuration in implant placement, 2) Two restoration types such as individualized and splinted restoratio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mount and distribution of stress around the implant fixtures placed in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with two different arrangem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plinting using the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Material & methods. 1) Production of study model: Mandibular partially edentulous model was waxed-up and duplicated with silicone and two models were poured in stone. 2) Fixture installation and photoelastic model construction: Using surveyor(Ney, USh), 3 fixtures(two 4.0 $\times$13 mm, one 5.0$\times$10 mm, Lifecore, USA) were insta)led in straight & tripod configurations. Silicone molds were made and poured in photoelastic resin (PL-2. Measurements group, USA). 3) Prostheses construction: Four 3-unit bridges (Type III gold alloy, Dongmyung co., Korea) were produced with nonhexed and hexed UCLA abutments and fitted with conventional methods. The abutments were tightened with 30 Ncm torque and the static loads were applied at 12 points of the occlusal surface. 4)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 The polarizer analyzer system with digital camera(S-2 Pro, Fujifilm, Japan) was used to take the photoelastic fringes and analysed using computer analysis program. Results. Solitary hexed UCLA restoration developed different stress patterns between two implant arrangement configurations, but there were no stress transfer to adjacent implants from the loaded implant in both configurations. However splinted restorations showed lesser amount of stresses in the loaded implants and showed stress transfer to adjacent implants in both configurations. Solitary hexed UCLA restoration with tripod configuration developed higher stresses in anterior and middle implants under loading than implants with straight configurations. Splintied 3 unit fixed partial dentures with tripod configuration showed higher stress development in posterior implant under loading but there were no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wo configurations. Conclusions. The tripod configuration of implant arrangement didn't show any advantages over the straight configuration. Splinting of 3 unit bridges with nonhexed UCLA abutments showed less stress development around the fixtures. Solitary hexed UCLA restoration developed tilting of implant fixture under offset loads.

하악 구치부에서 ITI SLA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임플란트를 이용한 단일 치아 수복의 후향적 임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ITI SLA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implant for mandibular posterior single tooth replacement)

  • 이승문;채경준;정의원;김창성;최성호;조규성;김종관;채중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661-67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 of mandibular posterior single tooth implants replaced with ITI SLA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implant system and compare the CSR between first and second molar. The findings fro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of 158 implants were inserted into 147 patients. 68 patients were males, 79 patients were females and their mean age was 47.8 years. 98 implants were placed in first molar area and 60 implants were placed in second molar area. In terms of diameter, implants with wide diameter over 4.8mm dominated (91.1%). Implants with length over lOmm were used (96.2%). 2, In the two cases, there was a slight transient numbness which recovered within 1-2 months. Nine SynOcta screw type abutments demonstrated screw loosening, There were ten cases of crown fallen-out from decementation. 3. Only one failed out of 158 implants. The CSR was 99.4%. The CSRs fo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were 99% and 100%,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single tooth replacement implant in the mandibular posterior area, might be considered as the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crown and bridge.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가 하악 수직, 수평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 전후방 및 좌우 이동 (Effect of Head Positioning in Panoramic Radiography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agnification : Displacement along the Sagittal and Transverse Plane)

  • 김용건;이영균;안서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49-25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머리 위치에 따른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수평 및 수직 확대율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직경 4 mm인 금속구를 건조 두개골의 하악 전치부와 우측 대구치부의 치조골 상방에 위치시켰다. 수평 및 수직적 위치의 변화를 재현하기 위해 수직, 수평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두개골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OP-100D를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DICOM 형식으로 저장되었고, INFINITT PACS software를 이용하여 금속구의 폭과 높이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적절한 위치에서 촬영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금속구의 수평 확대율은 1.224-1.439였고, 수직 확대율은 1.286-1.345였다. 건조 두개골의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확대율은 0.798-6.2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P<0.05), 수직 확대율은 1.245-1.418 정도로 수평 확대율에 비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과 임플란트에서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의 응력분석 및 피로파절에 관한 연구 (Stress Analysis and Fatigue Failure of Prefabricated and Customized Abutments of Dental Implants)

  • 김희은;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3
    • /
    • 2013
  • 하악 제 1대구치에 티타늄과 지르코니아 소재의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해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경우를 3차원 유한요소법을 통해 응력 분포를 분석해 보고, 피로 파절 강도 및 파절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정상교합자의 CT scan을 재구성한 하악골 모형상에 제 1대구치 임플란트 지지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6가지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고, 협측 교두 중앙에 수직과 30도 각도로 100 N의 하중을 가하는 조건으로 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지대주를 이용하여, 군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고, ISO 14801에 따라 피로파절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대주나 고정체의 재질에 따른 응력분포의 차이는 없었고 형태에 따른 응력크기의 차이만 보였다. 맞춤형 지대주 군이 전반적으로 낮은 크라운 응력을 나타내었으며, 지대주 일체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는 계면 골조직의 응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피로수명의 평균값은 7군이 가장 높았고, 1군, 2군, 3군의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기성 지대주 군은 피로수명의 편차가 적게 나타났다. 구치부의 임플란트 수복 시에는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이 상부 보철물의 파절저항성 향상에 유리하며, 심미적 요구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정체와의 접합부를 티타늄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을 고려해 볼 만 하다.

하악 구치부에 식립한 sintered porous surfaced implants의 후향적 다기관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f Sintered Porous-surfaced Dental Implants in Restoring the Edentulous Posterior Mandible: Up to Eight Years of Functioning)

  • 김우성;안경미;손동석;정희승;신임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12호
    • /
    • pp.823-829
    • /
    • 2009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of sintered porous-surfaced implants placed in the edentulous posterior mandibles, in relation to implant length and diameter, crown-to-implant ratio, and types of prostheses, for a maximum of eight years of functioning. Material and Methods :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43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ho visited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of Daegu and one private dental clinic. A total of 122 sintered porous-surfaced implants n $Endopore^{(R)}$ (Inn ova Life Sciences, Toronto, Ontario, Canada) -- were placed in the edentulous posterior mandibles, Two diameter sizes (4.1 mm and 5.0 mm) and four lengths (5.0 mm, 7.0 mm, 9.0 mm, and 12.0 mm) were used. One hundred and three implants were splinted and 21 implants were nonsplinted. The survival rates of the implants in relation to length, diameter, crown-to-implant ratio, and types of prostheses were investigated.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Ver 14.0 software with the Chi-square test. Results : The survival rate of the 4.1mm diameter implants was 100% and 91.2% for the 5.0mm diameter implants. The survival rates of the implants of differing diamete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p=0.005). The survival rates of both the 5.0mm and 7.0 mm length implants were 100%. The survival rate of the 9.0mm length implants was 97.9% and for the 12.0mm length implants was 95.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for the differing lengths of implants. Of the 103 prostheses that were splinted, the survival rate was 98.0%. The survival rate of splinted prosthes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splinted prostheses, but was found to b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re were no failed cases when the crown-to-implant ratio was under 1.0. When the crown-to-implant ratio was between 1.0 and 1.5, the failure rate of the implants was 6.7%. No failure was recorded with the ratio range of 1.5 to 2.0. Relative to the crown-to-implant ratio of 1.0, the failure rat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p=0.048). Discussion and Conclusion :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the porous-surfaced implants placed in the edentulous posterior mandibles was 97.5%. Short porous-surfaced impla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fter a maximum of nine years of functioning in the edentulous posterior mandibles.

  • PDF

치과의사에 의해 보고된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후 지각이상에 대한 분석 (Dysesthesia after Tooth Extraction and Implant Surgery Reported by Dentists)

  • 유지원;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63-27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이후 발생하는 지각이상을 분석하여 추후 지각이상의 평가 및 처치시 예측 가능한 지침을 확립하기 위함이다.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이후 지각이상의 경험여부를 묻는 설문조사에 응답한 276명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지각이상이 발생한 환자의 연령 및 성별, 지각이상이 발생한 위치, 동반증상, 회복율 및 회복기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각이상은 환자의 성별, 연령과 상관성이 없었다. 2. 지각마비의 발생부위는 하악 구치부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이는 발치 및 임프란트 시술시 지각마비가 발생한 경우에 모두 적용되었다(발치군: 93.2%, 임프란트군: 100%). 3. 가장 많이 동반된 증상은 동통으로, 발치의 경우 46.5%, 임프란트의 경우 44.8%로 지각마비 이후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4. 회복율은 발치의 경우 72.3%, 임프란트 수술 후 71.8%로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지각이상이 6개월 이내에 해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발치 및 임프란트 수술 후 발생한 대부분의 지각이상은 발병 후 약 1년내에 해소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영구적인 지각이상의 발생가능성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임상가는 환자에게 신경손상의 가능성을 미리 고지하고, 동의서 양식에 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각이상이 발생한 후, 객관적으로 예후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각이상의 경과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하며, 보다 효과적이고 비침습적인 처치를 위하여 조기에 구강안면통증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