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천상제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대순진리회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도교 보화천존(普化天尊) 신앙 비교

  • 위꿔칭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57-195
    • /
    • 2013
  • 대순진리회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이하 '구천상제')'를 주신(主神)으로 신앙하는 종교단체이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와 중국 도교에서 모셔지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하 '보화천존')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인가? 이런 질문을 토대로 본 글에서는 이 신들의 기원과 칭호, 도세법문(度世法門 : 세상을 제도하고자 펼친 법도) 등의 관점에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하나씩 비교해 보았다. 먼저 기원이라는 측면에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을 비교해보면, '구천상제'는 천지인 삼계의 최고신으로서 강씨 가문을 선택하여 인간의 육신으로 태어났다. 강씨 성은 상고 신농씨에서 시작되었는데, 고대 문헌에 근거하면 신농씨는 태양신, 남쪽, 불(火) 등으로 상징화된다. 이런 상징들은 '구천상제'가 인간으로 태어날 때 나타난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다", "큰 불덩이가 몸을 덮치다", "천지가 밝아지는도다" 등의 현상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은 뇌신의 특징을 가지면서 일신(日神), 월신(月神)과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런 면들은 신농씨로부터 분석한 '구천상제'의 신적 기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교에서는 신농씨가 다스리던 세상을 중국 상고시대의 가장 이상적인 사회형태로 보고 있는데, 이것을 '구천상제'가 건설하려는 후천선경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구천상제'가 신농씨의 후손인 강씨 종가에서 태어난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고, 조화로운 인간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것은 대순진리회 '구천상제'가 행한 대순의 목적과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은 칭호에서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구천상제'에는 '보화천존'에 비해 '강성상제'라는 칭호가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교에서는 '보화천존'을 최고신으로 모시지 않으며, '구천상제' 신앙에서는 '보화천존' 신앙에서와 달리 뇌신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의 도세법문을 비교해보면 첫째, 구천상제는 세상이 혼란, 불공평, 죄악에 빠졌기에 육신으로 인간 세상에 강림한 후 대순진리를 선포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보화천존도 천하와 인간세상을 순시하여 죄악과 겁액을 없앤다는 '순시천하(巡視天下)' 사상이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보화천존'은 순시할 때 인간의 육신으로 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보화천존'이 인간 세상에 창교의 방법을 통하여 선경을 건설하고자 하는 목표를 전해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화천존'은 교리를 가르치거나 신통을 발휘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구천상제'가 내린 가르침인 해원상생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수단과 과정이다. 도교의 '보화천존'도 인간이 지은 많은 죄악과 겁액은 세상 사람들이 맺은 원한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런 겁액과 죄를 해소하려면 해원부터 해야 한다는 것을 수차례에 걸쳐 언급하고 있다. 도교에서 말하는 '해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주로 인간의 시비, 질병, 겁액에 관한 것이며, 그 해결 방법으로는 주로 마음속으로 『옥추보경』을 읽는 것이다. 이를 '구천상제'의 '해원상생' 가르침과 비교하면 그 사상의 폭이나 깊이, 중요성, 이론적 측면 등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서 체계적인 면모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셋째, '구천상제' 는 곤경에 처한 사람이 신명의 호칭을 부르면 그에 상응하는 신명이 달려와서 구원해준다는 '소리감응'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구천상제'는 과오를 범한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면, 그 다음에 상제의 용서를 받음으로써 그 원한이 풀리게 된다는 참법(懺法 : 懺悔法)을 세인(世人) 교화에 자주 사용하였다. 물론 이것은 해원상생의 구체적인 적용이라 할 수 있다. 기능면에서 보면 이 방법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참(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懺)』의 참의(懺儀)와 공통되는 점이 있다. 참의는 수도자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수도에 정진하며,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 포덕에 힘쓰고, 악을 물리치고 선을 널리 펼친다는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양자는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필자가 생각하건대,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사이에는 공통점이 아주 많지만 동시에 차이점 또한 적지 않다. 만약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더욱 깊고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국 대순진리회와 중국 도교, 특히 도교의 뇌법종파(雷法宗派)와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Gucheon Sangje Faith and Its Relation to Jeongeup County, the Birthplace of Kang Jeungsan (강증산의 강세지(降世地)인 정읍시(井邑市)에 나타난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그 양상 - 전북 정읍시 망제봉·객망리·시루산의 암시 및 정읍 관련 천지공사와 관련하여 -)

  • Ko, Nam-sik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0
    • /
    • pp.187-242
    • /
    • 2022
  • This article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finding the religious meaning of Jeongeup (井邑) by paying attention to two areas of inquiry. The first examines religious interpretations of the place names of peaks, mountains, and villages that have already existed have existed since ancient times. The second area of inquiry looks into religious narratives about Jeongeup that appear in scriptural record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1901~1909) as performed by Kang Jeungsan. Looking at these to areas of inquiry together, the place names and topography inherent in Jeongeup and Kang Jeungsan's various Jeongeup-related Reordering Works, can be summarized as embodying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始)' and 'origin (本)' which can be further likened to the meaning of 'water (水)' in a 'well (井).' First, Jeongeup equates to the heavenly origin of the Gucheon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faith in Jeungsan Thought. Mangje (Emperor-awaiting) Peak is a peak that represent the wish for the Lord's descent to earth. Seonmang (Immortal-awaiting) Village is a village that was waiting for an immortal. Jeung (Steamer-on-Cauldron) Mountain (Jeungsan 甑山) is a mountain on the earth and also the honorific name later taken by Kang Il-Sun. In relation to Jeungsan, it is interpreted that Jeungsan was born and incarnated in the village as a human in response to a plea from all divine sages, buddhas, and bodhisattvas, who had existed since the dawn of time and came to wish for salvation of humankind. This is because both Mangje Peak and Seonmang Village are connected to the meaning of 'mang (望 to await).' Second, the Reordering Works of Jeungsan which related to Jeongeup show that Jeongeup has carries the meaning of 'beginning (始源)' and 'origin (本源).' The character, Jeong (井), in Jeongeup is seen as a place that contains water energy, and symbols and allusions referring to this can be found in various Reordering Works. As a symbol or allusion, the well can be seen as a new start, the lives of all people of the world, the purification of the world,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root everything. These symbolic images can be found in the life of Kang Jeungsan from his incarnation to his passing into Heaven. This is because Jeong can allude to the origin by the Ninth Heaven, the beginning of the Later World's paradisiacal land of immortals, and the end of the Former World (Seoncheon 先天).

A Study on the Divinity of 'the Supreme God and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Qualities of Being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Transformation' and 'the Lord God of Great Creation in the Ninth Heaven'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 신격 연구 - '보화천존'과 '구천대원조화주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

  • Park, Yong-cheol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9
    • /
    • pp.71-100
    • /
    • 2017
  •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Supreme God and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which Daesoon Jinrihoe believes in as the highest divinity. The name of this divinity was first found in Chinese Daoist scriptures. This study starts by considering the global propagation of virtue and then research connected to this topic. There are two alternative names for this divinity in relation to his human avatar, Kang Jeungsan, the subject of faith in Daesoon Jinrihoe. One is 'the Lord God of Great Creation in the Ninth Heaven' meaning the divinity before assuming a human avatar, and the other is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Transformation' the same divinity after he discarded his human avatar and returned to his celestial post. To understand how the belief system of Daesoon Jinrihoe differs from that of Daoism,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vinity's change from being 'the Lord God of Great Creation in the Ninth Heaven' to becoming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Transformation'. If this distinction is not made clear, it brings about confusing arguments concerning the term 'Supreme God (Sangje)' as used in Daoism and Daesoon Jinrihoe. In order to offer a specific explan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possible directions.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although these two names, 'the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from Daoism and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from Daesoon Jinrihoe, are similar, they actually have nothing to do with one another.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y are in fact the same divinity. Lastly, the third hypothesis is that they are closely connected, however, the former (the Celestial Worthy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is a position needed to fulfill the mission of Jeungsan, whereas the latter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Who Spreads the Sound of the Thunder Corresponding to Primordial Origin) is a name received after the human avatar passes and the deity returns to the Noebu, 'the department of lightning'. These hypotheses face certain problems such as arbitrary mixing, the need for the theoretical clarity, and argumental weakness. Therefore, by leaving some unresolved questions, this study encourages future follow-up studies.

A Study on the Future Prospect for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

  • Kim, Yong-hwa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9
    • /
    • pp.1-3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prospects for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The True Donghak refers to 'the future prospect of having a true life, true thinking, and true living' in which enjoying the world in a state of good fortune became a true reality after the death of Suwun,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ding to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prospect of achieving the Daesoonist transformation into energy to gain true life and re-cre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Nourishing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Attending to Study and Attending to Law" in Daesoon show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reason into true thinking and renewing.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ity is Divine" in Donghak and "The Salvation of Humanity is the Will of Heaven" in Daesoon show transformation into the practice of Daesoon for the true living and renewing. This investigation utilize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generation theory of life-philosophy to examine revelations regar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Spirit and Mind. This is the future prospect for the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It consists of a threefold connection among life, thinking, and living. The "public-centered spirituality of Daesoon Truth" whic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he true life through the 'renewal of active, energetic power' bestowed by Gucheon Sangje.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thinking through the "renewal via freedom from delusion". Thir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newal of true mind". To bring about the creation of true Donghak, Gucheon Sangje incarn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Suwun and the salvation of the world salvation now centers on Korea with regards to the threefold connection future prospect. Gucheon Sangje's revelation addresses and solves the postscript problem of Chosun and further establishes a Utopia. Suwun established Donghak but failed later on due to his lankiness. At last the true Donghak has been opened for the future by Gucheon Sangje and Jeongsan's fifty years of religious accomplishments. In the long run, it has been developed further by Woodang's Daesoon Jinrihoe.

Sangje and Samkye: The Cosmology of Daesoonjinrihoe in East Asian New Religions (상제와 삼계: 대순진리회의 우주론과 동아시아신종교)

  • Kim, David W.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5_1
    • /
    • pp.189-229
    • /
    • 2015
  • 동아시아의 19세기는 근대화 물결 안에서 변화의 시대였다. 중국, 한국, 일본은 식민지적 압박가운데 정치적 위기를 대면하였고 선진 문물과 기독교는 사회, 문화, 종교, 사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신종교운동도 각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와 철학으로 등장하였다. 이들의 근본적인 사상은 일반적으로 불교, 유교, 도교, 신교, 샤머니즘과 연관되어 있었다. 근대한국이 정치적 혼란을 겪을 때 여러 신종교들이 1860년을 전후로 나타났다. 나중에 천도교가 된 동학, 증산계, 대종교, 원불교 가운데 증산계 계통의 대순진리회는 사회-종교적인 영향력 차원에서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신종교 운동이다. 그들은 상제가 스스로 구천에서 혼탁한 삼계를 회복하기 위해 직적 내려왔음을 따르고 있다. 그렇다면, 구천상제에 대한 가르침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을까? 대순진리회의 근본적인 우주관은 무엇일까? 또, 이것이 일본의 유명한 천리교와 중국(대만)의 대규모 일관도와 어떻게 구분될까? 이 논문은 청계탑의 상직적인 콘셉트 안에서 대순의 상제관과 우주관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대순의 경전격인 전경, 현무경, 예화들인 심우도, 사신도, 12지신도 등을 탐구할 것이면 이 한국의 대표적인 신종교의 우주관을 천지공사와 후천의 가르침과 연관하여 논리적으로 접근해석 할 것이다.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앙 연구

  • 리웬구어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29-97
    • /
    • 2013
  • 뇌법은 도교의 중요한 법술로서 당송(唐宋)이래 매우 흥했는데, 북송의 임영소 등이 신소파(神霄派)를 개창한 이후에 도교 법문을 대표하는 영역이 되었다. 그로부터 각종의 뇌법이 천하에 성행하였고, 도교에는 새로운 뇌신들이 거듭 나타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뇌법신앙의 구진천존(九宸天尊)인데, 이 아홉 천존들은 도교의 최고신인 삼청성조(三清聖祖)의 통치 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옥추보경』은 북송 때 탄생하였는데 이 경전이 세상에 널리 발간되어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에 대한 신앙이 형성된 것은 남송 시기 백옥섬(白玉蟾) 이후이다. 『옥추보경』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의 법문(法門)을 선양하기 위한 방책으로 천존의 성호를 부를 것을 권장한다. 법문을 염송하는 것은 매우 쉽고도 간단하여 누구나 할 수 있었으므로 사회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특히 『봉신연의』와 『서유기』와 같은 문예소설에 뇌성보화천존이 등장함으로 해서, 민중들은 뇌성보화천존을 더욱 널리 숭배하게 되었다. 현재도 중국의 민간에서 이 신격에 대한 신앙은 매우 보편적이다.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은 옥청진왕(玉清真王)의 화신(化身)이다. 뇌성보화천존은 시방에 그 형체를 나타내고, 중생들을 고뇌로부터 구제하고 이끈다. 36천을 주재할 권능이 있으며, 자비로운 모습으로 모든 겁에 응한다. 또 뇌성보화천존의 주변에는 뇌공(雷公), 우사(雨師), 풍백(風伯)을 비롯한 십대원사(十大元帥)와 등백온원사(鄧伯溫元帥), 신한신원사(辛漢臣元帥) 등의 신장들이 보인다. 이러한 신장들은 양송(兩宋) 시대에 출현하였으며 대다수가 뇌부의 제신들이다. 뇌성보화천존 신앙을 구현하기 위한 재초 의식에는 천지 제신(諸神)이 강림하기를 청하는 뇌정사과(雷霆謝過)와 죄를 뉘우치고 복을 비는 참의(懺儀) 또는 참회문식(懺悔文式) 등이 있다. 이런 법식들은 매우 전문적인 것이고, 일반인들에게는 법문을 염송하는 간편한 방법인 십자천경법(十字天經法)이 널리 퍼졌다. 즉 늘 경건한 마음으로 천존의 성호를 오랫동안 염송하게 되면 공덕원만(功德圓滿)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옥추보경』은 민중의 세계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광범위하게 알려져 그 주해나 주석본만도 이십여 종에 이르렀고 송원 이래의 핵심적인 도교 문헌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옥추보경』은 일본과 한국 등지에도 급속히 전파되었다.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신소뇌법(神霄雷法)이 전해졌는데, 특히 고려 예종 13년(1118년) 7월에 중국 도교 의학이 고려에 전승되었을 때의 도교 의학이 『옥추보경』을 위주로 한 치료법이었다. 그리고 그 흔적은 조선의 허준이 주편한 『동의보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의 민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옥추보경』을 송독하였고 거기에 수록된 부록(符籙)을 운용하였으며 이로써 병을 몰아내고 잡귀를 물리쳐 생명을 지키기를 바랐다. 현대 한국에서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에 대한 신앙이 크게 성행하고 있으니, 그 종단이 바로 대순진리회이다. 대순진리회는 증산 성사께서 인세에 강림하시기 전에 구천대원조화주신이며, 화천 후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의 위에 임하였다고 신앙한다. 즉 증산이 천존상제의 화신이라 믿는 것이다. 이것과는 좀 다르지만, 인간이 신의 화신이 되는 신성한 변화를 뇌법에서는 '변신(變神)'이라고 부른다. 변신은 내련(內煉)을 행할 때나 시법(施法)시에 도인들이 필히 진입해야 할 특이한 정신 상태로서, 자아의 존재를 망각하고 신진(神真)으로 변화하여 인신합일(人神合一)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신은 대순진리회의 수도 목적인 도통과도 한편으로는 유사한 면이 있다고 생각된다. 대순진리회가 목적하는 지상신선실현이 의미하는 것은, 사람이 도를 깨닫는 노력을 통해 신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과 천성을 회복하여 이에 상응하는 신과 합일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뇌법의 변신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 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전경』의 숫자 부호 '삼(三)'의 의미에 대하여

  • 양옌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3
    • /
    • pp.293-344
    • /
    • 2014
  • 본 논문은 『전경』에서는 나타나는 숫자 부호 '삼(三)'의 의미와 나아가 '삼'과 『주역』 그리고 도교 신선신앙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화의 문화에는 예부터 '삼'을 숭상하는 풍속이 있고, 도교문화도 '삼'을 숭상한다. 이는 주로 『주역』, 『도덕경』 및 도교 신선신앙과 관련이 있다. 한국문화는 전체적으로 중국문화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대순진리회 또한 이러한 배경 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순진리회에서는 '삼' 이라는 숫자를 반복해 사용하고 있는데,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주역』에 나타나는 부호 상징 사유의 확장된 표현이라 할 것이다. 또한 대순진리회의 교의(敎義)와 부도(符圖)에서도 '삼을 숭배하는(尙三)' 도교 신선신앙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대순진리회에서 볼 수 있는 '삼'의 의미는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렇게 말하는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대순진리회의 상제와 종도들이 중국의 서적을 이해하고 중시했기 때문이며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께서 많은 종교를 통섭하였기 때문이다. 공사(公事) 활동, 부주(符呪) 문건, 상제와 도주의 행적 사료, 신령신앙 등의 내용 곳곳에서 '삼'이라는 특별한 숫자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삼'은 생명과 시작을 나타내며 또한 완성과 완결을 의미한다. 대순진리회 신앙의 특징을 보면 그 배후에는 아주 깊은 중국문화의 영향이 있으며, 『주역』사상의 구체적인 표현이고, 도교신선신앙의 흔적이기도 하다. 물론 대순진리회는 자신만의 독창적이 재해석으로 이러한 문화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삼'이라는 숫자의 근원을 탐구하고, '삼'이 지니고 있는 철학적 사상을 파헤쳐 그 속의 오묘함을 발견한다면 대순사상의 깊을 뜻을 이해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Tao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에서의 도(道) 개념과 사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 Lee, Jee-young;Lee, Gyung-wo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3
    • /
    • pp.219-255
    • /
    • 2019
  • 'Dao'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as it is the main term for 'ultimate reality' in East Asian religious though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ao' is essential to reach the state of 'Perfected Unification with Dao,' the ultimate aspiration in Daesoon Thought. The meaning of 'Dao' can vary such as 'Dao' meaning 'way',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Jinwen. There is also the 'Dao' of yin and yang, and Dao used to mean human obligation, or Dao meaning the way of Heaven. These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Constant Dao, Heavenly Dao, Divine Dao, Human Dao, and the Dao of Sangsaeng. Every natural phenomenon of birth, growth, and death in the universe operates under the patterns of Heaven and Earth. Therefore, Constant Dao in Daesoon Thought is the ultimate pattern underlying human action and the operations of Heaven and Earth. These apply not only to the natural and the divine world but also to the human world. It can be said that 'Rather than natural law or moral symbol of the world, 'Heavenly Dao' means the great Dao that saves the world through the Daesoon Truth of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Divine Dao can be said to be 'the Dao by which man must complete his work according to the law and the will of God,' that is, 'the Dao by which God and man are united together by Sangje's heavenly order and teaching, which aims for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When the world is in a state of calamity and crisis, the request for the saint's Dao can symbolized by the kings, Yao and Shun,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The saint's Dao saves the dying world and people's lives and is called 'saving lives by curing the world (濟生醫世)'. It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Human Dao in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human obligation to follow Sangje's order, the great Dao to save the world. The Dao of Sangsaeng is the true dharma that rectifies the world full of mutual conflict through the ethics of the Later World, which is to promote the betterment of others and to practice the human Dao that saves the world and rebuilds the Constant Dao. Thus, The concept of Dao in Daesoon Thought is Daesoon Truth which applies to and operates throughout all realms of Heaven, Earth, Humanity, and the Divine world. Dao in Daesoon Thought was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and this can be seen in its ideological features. It embrac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Dao, which refers to the Chinese classics and represents the main schools of thought in East Asia: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nd it is unique in that it implies the will of Sangje as a religious object, a supreme being. It can be seen that Daesoon Thought h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the concept of Dao by harmonizing both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odern Korean religious thought.

A Study on the Daesoon Cosmology of th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Mugeuk and Taegeuk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대순우주론 연구)

  • Kim, Yong-hwa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3
    • /
    • pp.31-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Daesoon Cosmology of th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Mugeuk and Taegeuk. Daesoon cosmology is a cosmology based on the juxtaposition between the Gucheon Sangje and the world.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say that this theory in Daesoon Thought was developed in three stages: the phase of the Mugeuk Transcendence of Gucheon Sangje, the stage of the Taegeuk Immanence, and the phas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as a correlative gentle reign. First of all, the phase of the Mugeuk Transcendence of Gucheon Sangje has been revealed as a yin-yang relationship. The stage of the Taegeuk Immanence represents the togetherness of harmony and co-prosperity between yin and yang, and the phas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keuk and Taegeuk refers to the unshakable accomplishment of its character and energy.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due to the practical mechanism in the correct balance of yin-yang making a four stage cycle of birth, growth, harvest, and storage. In addition, the Daesoon stage of the settlement of yin and yang is revealed as a change in the growth of all things and the formation of the inner circle. The mental growt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everything in the world, each trying to shine at the height of their own respective life as they grow up energetically. The dominant culture of cerebral communion renders a soft and elegant mood and combines yin and yang to elevate the heavenly and earthly period through transcendental change into sympathetic understanding. The stag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is one of the earliest days of the lunar month and also the inner circle of Taegeuk. It is in line with Ken Wilbur's integrated model as a step to the true degrees to develop into a world with brightened degrees. It is a beautiful and peaceful scene where celestial maidens play music, the firewood burns, and the scholars command thunder and lightning playfully. Human beings achieve a state of happiness as a free beings who lives as gods upon the earth. This is the world of the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Daesoon Thought was succeeded by Dojeon in 1958, when Dojeon emerged as the successor in the lineage of religious orthodoxy and was assigned the task of handling Dao in its entirety. In addition, Daesoon is a circle and represents freedom and commonly shared happiness among the populous. Cosmology in the Daesoon Thought will enable us to understand deep dimensions and the identity of members as individuals within an inner circle of correlat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is present study tries to analyze the public effects philologically and also the mutual correlation by utilizing the truthfulness of literature and rational interpretation. The outlook for the future in Daesoon Thought also leads to the one-way communication of Daesoon as a cir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