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aesoon Cosmology of th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Mugeuk and Taegeuk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대순우주론 연구

  • Kim, Yong-hwan (Department of Ethical Education Studi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9.10.28
  • Accepted : 2019.12.1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Daesoon Cosmology of the Correlative Relation between Mugeuk and Taegeuk. Daesoon cosmology is a cosmology based on the juxtaposition between the Gucheon Sangje and the world.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say that this theory in Daesoon Thought was developed in three stages: the phase of the Mugeuk Transcendence of Gucheon Sangje, the stage of the Taegeuk Immanence, and the phas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as a correlative gentle reign. First of all, the phase of the Mugeuk Transcendence of Gucheon Sangje has been revealed as a yin-yang relationship. The stage of the Taegeuk Immanence represents the togetherness of harmony and co-prosperity between yin and yang, and the phas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keuk and Taegeuk refers to the unshakable accomplishment of its character and energy.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due to the practical mechanism in the correct balance of yin-yang making a four stage cycle of birth, growth, harvest, and storage. In addition, the Daesoon stage of the settlement of yin and yang is revealed as a change in the growth of all things and the formation of the inner circle. The mental growt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everything in the world, each trying to shine at the height of their own respective life as they grow up energetically. The dominant culture of cerebral communion renders a soft and elegant mood and combines yin and yang to elevate the heavenly and earthly period through transcendental change into sympathetic understanding. The stage of the 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is one of the earliest days of the lunar month and also the inner circle of Taegeuk. It is in line with Ken Wilbur's integrated model as a step to the true degrees to develop into a world with brightened degrees. It is a beautiful and peaceful scene where celestial maidens play music, the firewood burns, and the scholars command thunder and lightning playfully. Human beings achieve a state of happiness as a free beings who lives as gods upon the earth. This is the world of theGrand Opening of the Later World between Mugeuk and Taegeuk. Daesoon Thought was succeeded by Dojeon in 1958, when Dojeon emerged as the successor in the lineage of religious orthodoxy and was assigned the task of handling Dao in its entirety. In addition, Daesoon is a circle and represents freedom and commonly shared happiness among the populous. Cosmology in the Daesoon Thought will enable us to understand deep dimensions and the identity of members as individuals within an inner circle of correlat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is present study tries to analyze the public effects philologically and also the mutual correlation by utilizing the truthfulness of literature and rational interpretation. The outlook for the future in Daesoon Thought also leads to the one-way communication of Daesoon as a circle.

본 연구는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대순우주론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대순우주론은 구천상제께서 세상에 펼친 대순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우주론이다. 이 글에서는 대순우주론이 구천상제의 무극초월, 도주정산의 태극내재,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후천개벽의 삼단계로 전개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구천상제의 무극초월은 생장염장과 무위이화로 드러난다. '생장염장(生長斂藏)'의 사의(四義)는 우주순환 원리를 표상하며, 무위이화는 그 성품을 바르게 하고 기운을 올곧게 함은 꾸밈이 없이 성취함을 일컫는다. 이는 상생진법의 정음정양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주정산의 태극내재는 만물생장과 생성변화로 이루어진다. 만물생장은 세상의 모든 것들이 저마다 생명을 틔워 생장하면서 각각 생애 절정을 향해 빛내려고 하는 특징을 드러낸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뇌성보화의 지배자양에 의해 선천의 상극기운과 습관을 버리고, 음양이기(陰陽二氣)를 결합하여 동정진퇴(動靜進退)의 내재변화(內在變化)로 천기(天氣)와 지기(地氣)를 승강(昇降)하게 한다. 그리고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후천개벽은 무극초월과 태극내재 상관연동의 대순일원으로 일상에서 도를 체화하는 단계로서 켄 윌버의 통합모델과 상통한다. '도통진경(道通眞境)'은 참된 도를 체화하는 경지이고, '도지통명(道之通明)'은 도를 밝혀 후천개벽의 새 세상을 전개함을 의미한다. 선녀들이 음악을 연주하고, 불로초가 피어나고, 학들이 노니는 안온하고 평화로운 모습이다. 인간은 지상신선이 되고, 후천개벽의 실화기제가 되어 마침내 시공(時空)을 넘나드는 대자유인으로서 행복결실을 맺는 형상이다. 대순사상은 대순진리의 사상으로 도주께서 50년간 각고의 고초를 겪으시며 '태극내재'를 새 밝힘으로 함으로 진법(眞法)을 완성시킨 것에 근거한다. 도주께서 1958년, 도전께 종통을 물려주시면서 도의 전반을 맡아가도록 하명함으로 대순사상은 도전에 의해 대순사상으로 계승되었다. 또한 도전께서 '대순(大巡)'을 크게 순찰하는 의미로 새겨서, 구천상제의 삼계대순(三界大巡) 개벽공사(開闢公事) 뜻을 담보했다. 아울러 '대순(大巡)이 원(圓)으로, 무극과 태극의 상관연동 우주론을 나타내고 있다고 새 밝힘 하였다. 결국 대순사상 우주론은 대순사상의 심층차원을 이해할 수 있게 하면서, 무극초월과 태극내재 상관연동으로 대순일원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새 밝힘 할 수 있다. 대순우주론은 대순일원으로서 생활실천으로 원융회통 성격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학의 진정성과 해석학의 합당성을 활용하여, 대순우주론의 무극과 태극 상관연동의 공공작용을 규명하게 된다. 다양·다중·다층 해석학으로 후천개벽의 생활실화에 접근함으로, 후천개벽의 실천담론을 실화기제로 밝히고자 한다. 대순사상 미래전망은 무극초월과 태극내재 상관연동으로 대순의 '일원회통(一圓會通)' 원만구족으로 생명살림에 관건이 있다고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무극대도교개황』,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번역본, 1925.
  5. 『周易』
  6. 『太極圖說解』
  7. 김용환, 「동학 무극대도에 나타난 공공작용 연구」, 『동학학보』 23, 2011. http://uci.or.kr/G704-001606.2011..23.004
  8. 김용환, 「생장염장(生長斂藏)ㆍ무위이화(無爲而化)의 상관연동 연구」,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77
  9. 김용환, 『장수시대 장수윤리』, 청주: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9.
  10. 박재현, 「대순사상에서의 무극과 태극 그리고 대순의 의미 고찰」, 『대순사상논총』 22,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2.0.433
  11. 아놀드 비틀링어, 『칼 융과 차크라』, 최여원 옮김, 서울: 슈리 크리슈나다스 아쉬람, 2010.
  12. 오강남, 『종교, 심층을 보다』, 서울: 현암사, 2011.
  13. 오구라 기조,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조성환 옮김, 서울: 모시는 사람들, 2017.
  14. 장윤수, 「한국 성리학에서 '무극태극'논쟁」, 『철학연구』 61, 1997.
  15. 차선근, 「종단 대순진리회의 변천 과정과 무극 태극의 관계」, 『대순회보』 94, 2009.
  16. 최치봉,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385
  17. 켄 윌버, 『켄 윌버의 신』, 조옥경. 김철수 옮김, 서울: 김영사, 2016.
  18. Arendt, H., The Origin of Totalitarianism,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67.
  19. Cahill, L. S., "Toward Global Ethics," Theological Studies, Vol.63, No.2, 2002.
  20. Hawkins, R. D., Transcending, Philadelphia: Veritas Publishing, 2005.
  21. Panikkar, Raimond, Mysticism and Spirituality, New York: Orbis Books, 2014.
  22. Panikkar, Raimond, The Cosmotheandric Experience, New York: Orbis Books, 1993.
  23. Paul Ricoeur, Hermeneutics and the Human Science, edited and translated and produced by John B. Thomson, Cambridgesh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24. White, P., Civic Virtues and Public Schooling: Educating Citizens for a Democratic Societ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