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절초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3초

옥상녹화용 초본식물의 순간 $CO_2$ 흡수 및 증발산량 분석 (The Analysis of Instantaneous $CO_2$ Uptake and Evapotranspiration of Herbaceous Plants for Artificial Roof Greening)

  • 안근영;한승원;이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101
    • /
    • 2011
  • 본 연구는 저토심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초본류 및 지피식물을 중심으로 식물의 광합성작용을 통한 $CO_2$ 흡수량과 증발산량을 정량화하여 도시미기후 관점에서의 옥상녹화식물의 환경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옥상녹화용 초본류 7종을 대상으로 적외선 $CO_2$ 가스 분석기에 의한 $CO_2$ 교환 속도 분석을 통해 각 식물의 $CO_2$ 흡수량과 증발산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은 생장이 활발해지기 시작하는 5월부터 11월까지 매월 2반복 측정하였고, 주변 환경에 예민한 초본류의 특성상, 환경변수가 고정된 실내에서 광도의 변화를 주어 실시하였다. $CO_2$ 흡수량과 증발산량을 산출한 결과 단위엽면적당 $CO_2$ 흡수량은 초본류 중 구절초가 $21.47{\times}10^{-6}g/cm^2/s$, 매발톱꽃이 $12.74\;g{\times}10^{-6}g/cm^2/s$로 높은 흡수율을 보였고, 켄터키블루그래스도 $16.20{\times}10^{-6}g/cm^2/s$로 비교적 높았다. 단위엽면적당 증발산량은 켄터키블루그래스가$8.75{\times}10^{-5}g/cm^2/s$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매발톱꽃 $8.66{\times}10^{-5}g/cm^2/s$, 구절초 $8.58{\times}10^{-5}g/cm^2/s$ 순으로 나타났다.

야생화 개발을 위한 전라북도 지역산 자원식물 조사 (A study on Resource Plant from Chollabuk-do Area for Developing Wild Flower)

  • 길봉섭;김영식;김창환;최성규;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3-49
    • /
    • 1999
  • 전라북도 지역내에 분포하고 있는 야생초목화를 개발하기 위한 자원식물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결과 봄철에 꽃피는 식물은 131종류(전체의 34.7%), 여름에는 219종류(58.1%), 가을에 25종류(6.6%) 그리고 겨울에는 2종류(0.5%)이었고, 봄부터 겨울까지 피는 꽃의 색깔은 모두 26종류로 다양했으며 가장 많은 꽃색은 백색으로 전체의 28.9%, 그다음은 황색 20.7%, 자주색 16.4%, 홍자색 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군지역별로 많이 심고있는 야생화는 애기똥풀, 원추리, 붓꽃, 산철쭉, 진달래, 할미꽃, 구절초, 민들레, 산국, 맥문동, 석산 등을 들 수 있다. 야생하고 있는 식물을 채취하여 그대로 시판하고 있는 식물은 26종류로 조사되었는데 보춘화, 원추리, 석산, 구절초가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우리나라 야생화를 외국에 반출당하지 않고 개량하여 우수상품으로 만들 대상으로는 총 343종이며 국화과 식물 41종류, 장미과 25종류, 백합과 20종류 그리고 미나리아재비과 18종류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는 창포, 광릉요강 꽃, 개불알꽃, 새우난초, 금낭화, 호랑가시나무, 노각나무, 송악, 미선나무, 산개나리, 자주꽃방망이 등이다. 이들은 식물수가 격감되어서 희귀상태이거나 멸종위기 또는 학술상 중요하기 때문이다. 전북지역에는 식물분포상 남방인자와 북방인자가 섞여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하고 다양한 야생화 자원식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PDF

구절초 추출물이 감마선 10 Gy에 조사된 암컷 SD Rat의 혈구 및 소장, 자궁에 미치는 방사선 방호효과 (Radiation Protection Effects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Extracts on Blood Cells, Intestine, and Uterus of Female SD Rats Irradiated with Gamma-Ray 10 Gy)

  • 주성현;김해숙;정상현;최제경;진성옥;민병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6권1호
    • /
    • pp.23-2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radiation protection effect of the oral injected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extracts on the small intestine and uterus of female SD Rat as a natural radiation protection ag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group (NC group), Injected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extracts group (DZ group), irradiated group after injecting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extracts (DZ+IR group). The whole body of SD Rat was irradiated with gamma-ray 10Gy, and the administration of oral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Extract was 2 cc (71.56 mg/day/kg) once a day for 2 weeks. For this study, chages in blood cell levels, SOD assay, small intestine and uterus were observed. In the 21st white blood cell level, the DZ+IR group recovered to a normal level, and the IR group didn't. The IR group villus length was lower than other groups on Day 1. IR group was partially recovered, and DZ+IR group was recovered like the NC group on Day 21. In the case of the first-day endometrium, the IR group was thin and the boundary was cloudy, and the DZ+IR group was thicker and the boundary was clearer than the IR group. Day 21 IR group still did not recover, and DZ+IR group recovered like NC group. This is believed to have radiation protection effects in the blood cells and small intestine and uterus of the irradiated female SD Rat,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study of natural radiation protection materials.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및 산국(D. boreale (Makino) Ling ex Kitam.)의 종판별 분자마커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 for species authentication of 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and D.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 변지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66
    • /
    • 2018
  • 국화과(Compositae) 다년생 초본인 산국속(Dendranthema)은 국내 약 13여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감국(D. indicum (L.) Des Moul.)과 산국(D.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구절초(D.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가 주로 차 또는 한약재 등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차로 이용되는 꽃은 산국이 감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서 구분이 가능하지만 시중에는 건조된 형태로 가공 유통되므로 육안으로 구분이 쉽지 않고, 산국 유래 제품들은 국내에서 감국 또는 국화로 혼용해서 표기되어 유통되고 있어 그 기원을 명확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국과 산국의 분자유전학적 판별을 위해 DNA 바코드 후보 유전자를 활용하여 염기서열분석으로 확보된 SNP 및 InDel 정보를 바탕으로 CAPS 마커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감국과 산국 모두 trnL-trnF intergenic spacer 구간에서 약 1kb의 PCR 산물이 확인되었고, 이들 염기서열에서 분석한 2 SNP 및 3 InDel을 대상으로 CAPS 마커 개발을 위한 제한효소 사이트를 탐색하였다. Gap을 포함한 774bp (감국/산국=A/G) 위치의 SNP에서 BstUI(GC^GC)처리로 CAPS 마커로 전환 가능함이 확인되었고, 이에 감국과 산국의 PCR 산물에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제한효소 인식 사이트가 존재하는 산국에서 두 개의 DNA 단편이 확인되었다. 위 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 유통되는 감국과 산국의 판별을 위한 마커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 활용된 기술은 추후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원료표준화 확립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담배연기응축물로 유도된 돌연변이와 구절초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Extracts against Mutagenicity of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

  • 이진희;임흥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0-17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Chrysanther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C. zawadskii) extracts ha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mutagenicity by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 C. zawadskii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 yield was 18.5%. We further fractioned 70% ethanol extract sequentially to diethylether, chloroform, dichloromethane, and aqueous water, and gained the yield of 17.5%, 5.6%, 5.8%, 32.8% and 35.5%, respectively. In the Ames test, there was no mutagenic effect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up to 2 mg/plate toward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with or without S-9 mix metabolic activations. On the contrary, the crude extract showed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mutagenicity of CSC in the presence of S-9 mix metabolic activation. Diethyl ether layer among five solvent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The inhibitory activity of diethyl ether fraction was also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inhibitory rate was about 97.7% at the concentration of 1 mg/plate. I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crude extract of C. zawadskii itself is potentially safe for mutagenicity, and the diethyl ether fraction ha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mutagenicity of CSC.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소재로서 수종의 생약성분 추출물에 관한 항균, 항염, 항산화 효능 연구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as Anti-gingivitis Ingredients)

  • 이동재;한일민;김우정;조인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29
    • /
    • 2010
  •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수 종의 천연물을 이용하여 P. gingivalis에 대한 항균력과 IL-$1{\alpha}$ 생성 억제율을 평가하여 1차 선별한 후 MMP-1 활성 억제율 평가와 SOD 활성평가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 gingivalis에 대한 항균력 평가 결과 은행엽, 육두구, 대황, 후박, 구절초, 용아초, 목향, 세신, 산초, 회향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2. 인터루킨-$1{\alpha}$ (IL-$1{\alpha}$) 생성 억제율 평가 결과 은행엽, 작약, 육두구, 하고초, 후박, 과루, 산약 추출물이 우수한 IL-$1{\alpha}$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3.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제-1(MMP-1)의 활성 억제평가 결과, 육두구, 은행엽 추출물이 우수한 MMP-1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4. 슈퍼록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평가 결과 은행엽, 산약, 육두구 추출물서 우수한 SOD 활성을 나타내었다. 5. 구강용 제품에 적용 시 은행엽 추출물은 우수한 잇몸질환 예방 및 치료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국내산 약용식물의 항산화물질 탐색 및 분리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 송정춘;박남규;허한순;방면호;백남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4-101
    • /
    • 2000
  •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산화물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약용작물 38종을 수집하여 항산화 활성물질을 탐색한 결과 가시오갈피, 구절초, 건강, 목단, 시호, 산수유, 삼백초, 산사, 유근피, 작약, 천궁, 홍화씨, 및 황금등 13종이 항산화 활성이 높은 생약재로 선발되었다. 선발된 13종의 생약재중 홍화씨에 대한 활성물질을 추적, 분리하여 NMR로 물질구조를 동정한 결과 N-feruloylserotonin이 항산화 물질이라는 것을 처음 밝혀냈다. DPPH radical소거 활성에 의한 기존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BHA 및 BHT를 N-feruloylserotonin과 항산화력를 비교한 결과 N-feruloylserotonin이 $6.6{\mu}g/ml$로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식물성 생약재 열수추출물이 어병 원인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in vitro 효과 (In vitro Effect of Water Extract of Medicinal herbs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nd Superoxide Production of Kidney Phagocytes in Olive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승희;손영찬;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0
    • /
    • 2001
  • 식물성 생약재의 항균력과 활성산소(superoxide anion, $O_2^-$)의 생산에 미치는 in vitro 효과를 조사하여 금후 in vivo 실험에 적용할 때, 어류 체내 자연 저항성 증진을 꾀할 수 있는 식물성 생약재를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식물성 생약재는 고삼, 귀전우, 구절초, 박하, 방풍, 연교, 약쑥, 지유, 삼백초, 삼지구엽초, 상백피, 소회향, 편축, 팔각 등 14종류로 이들을 열수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력 시험에는 어병세균 Listonella anguillarum(Vibrio anguillarum), Vibrio sp., Vibrio alginolyticus,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Lactcoccus garvieae를 대상으로 disk법을 사용하였으며, 활성산소의 생산능은 넙치 신장 대식세포를 이용한 nitroblue tetrazolium(NBT) 반응으로써 조사하였다. 그 결과,약쑥이 다른 생약재에 비하여 시험에 사용된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월등히 뛰어났으며, 또한 넙치 대식세포의 활성산소 생산능을 크게 자극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구절초 chrysanthemum sibiricum FISCHER의 성분 연구 (Studies on the consituen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FISHER)

  • 이용주
    • 약학회지
    • /
    • 제11권1_2호
    • /
    • pp.7-16
    • /
    • 1967
  • A yellowish microneedles, $C_{28}$ H$_{32}$ $O_{14}$ ${\cdot}$ I$_{1}$/$_2$, H$_{2}$O, m.p.262-$4^{\circ}$ , [${\alpha}$$_{D}^{20}$= -71,$43^{\circ}$(C = 0.42, pyridine), its acetate m.p.123-5.deg., were obtained in 0.3% yield from the leaves of Chrysanthemum sibiricum F$_{ISCHER}$. This substance is insoluble in water and the usual organic solvents except pyridine and ethylene glycol and, is not decomposed by dilute mineral acids but undergoes decomposition on being boiled in 60% H$_{2}$SO$_{4}$ or 35% HCl, giving one moel each of acacetin, glucose and rhamnose. It was not hydrolysed with a rhamnodiastase preparation obtained from the seeds of Rhamnus koraiensis. After permethylation of it, the uncrystallized product was hydrolysed and apigenin-5,4'-dimethyl ehter, m.p.$262^{\circ}$ was obtained, indicating that the disaccharide residue is at the 7 position of acacetin. Partial hydrolysis of this acacetin-7-rhamnoglucoside in cyclohexanol with formic acid gave acacetin-7-glucoside, m.p.246.deg. and rutinose, identifying them with authentic specimen on a paper chromatography. It was thus identified as linarin(acacetin-7-rutinoside) by means of mixed fusion, of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and of its derivatives. Zemplen and Bognar suggested that the glucosidic linkage of linarin is .betha. by means of synthesis of this substance. But there is no evidence whether it is hydrolysed by emulsin or maltase or not. Linarin itself was not hydrolysed by an emulsin existing in the seed of Apricot or a maltase, but acacetin-7-glucoside(tilianin) which obtained from linarin gave acacetin and glucose on hydrolysis with the same emulsin and accordingly the glucosidic linkages of linarin and tilianin are thus regarded as ${\beta}$.

  • PDF

구절초와 쑥부쟁이 정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e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and Aster yomena Makino)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8-387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and Aster yomena Makino.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the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pla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GC-MS). One hundred (95.04%)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the C.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The major compounds were valencene (10.82%), ${\delta}$-cadinol (9.77%), hexadecanoic acid (8.70%), 2-methyl-4-(2,6,6-trimethylcyclohex-1-enyl) but-2-en-1-ol (3.67%), and 2-(2,4-hexadiynylidene)-1,6-dioxaspiro[4,4]non-3-ene (3.57%). Ninety-eight (93.83%)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from the Aster yomena Makino. The major compounds were and 3-eicosyne (13.61%), 9,10,12-octadecatrienoic acid (7.8%), ${\alpha}$-caryophyllene alcohol (6.83%), 9-octadecynoic acid (6.03%), and ${\alpha}$-caryophyllene (5.74%). Although the two plants are apparently very simila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quality and quantity. In the case of C.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the sesquiterpene, valencene was found to be 10.82%, but it was not identified in A. yomena Makino. ${\delta}$-Cadinol appeared higher in C.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than in A. yomena Makino. A clear characteristic of A. yomena Makino essential oil is that it has a high content of caryophyllene derivatives. The ${\alpha}$-caryophyllene alcohol contained in A. yomena Makino was relatively high at 6.83%, although the compound was not identified in C.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Also ${\alpha}$-caryophyllene was shown to be higher in A. yomena Makino than in C.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