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장산술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고대 그리스 수학과 동양 수학 (Ancient Greece Mathematics and Oriental Mathematics)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7-5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동양수학과 고대 그리스 수학을 비교한 결과, 동양수학은 엄밀한 논리적 체계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양적이고 계산적이며 어떤 원리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한 반면, 고대 그리스에서는 완전한 학문으로써의 공리적이고 연역적인 전개로 이루어진 수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는 동양과 고대 그리스의 수학적 특성과 장점들을 결합하여 연구하면 미래의 수학교육과 수학발전에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조선(朝鮮) 산학(算學)과 체적(體積) (Volumes of Solids in Joseon Mathematics)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1-110
    • /
    • 2014
  • Joseon is mainly an agricultural country and its main source of national revenue is the farmland tax. Since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assessment and taxation of agricultural land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the national administration. Consequently, the measurement of fields, or the area of various plane figures and curved surfaces is a very much important topic for mathematical officials. Consequently Joseon mathematicians were concerned about the volumes of solids more for those of granaries than those of earthworks. The area and volume together with surveying have been main geometrical subjects in Joseon mathematics as well.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history of volumes of solids in Joseon mathematics and the influences of Chinese mathematics on the subject.

구장산술을 활용한 수학 교육 -분수의 사칙 계산과 관련하여-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12
    • /
    • 2002
  • Gu-Jang-San-Sul is a book of Chinese ancient mathematics and has had an impact on Korean mathematics. The book is organized into nine chapters and each chapter is composed of problems, answers, and their computation algorithms. The contents reflect the practicality of Chinese mathematics. Especially the first chapter covers the computation of fractions for land surveying. This paper suggests how the computation methodology is used in teaching fraction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Five strategies for fractions related to the reduction,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re followed by: 1) developing the ability to apply rules to problems by practicing the compu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given algorithm; 2) developing the communication skill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various computation algorithms; 3) setting computation problems; 4)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erminology in mathematics; and 5) being exposed to new ideas in mathematics.

  • PDF

방정식(方程式)의 근사해(近似解) (Approximate Solutions of Equations in Chosun Mathematics)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4
    • /
    • 2012
  • 구장산술이래 동양의 전통 수학은 유리수체를 기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방정식의 무리수해는 허용되지 않으므로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은 방정식론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중국의 사료에 나타나는 근사해에 관한 역사를 먼저 기술하고, 이를 조선산학에 나타나는 근사해에 관한 사료와 비교한다. 조선의 근사해에 대한 이론은 박율(1621 - 1668) 의 산학원본 (算學原本) 과 조태구 (趙泰耉, 1660-1723) 의 주서관견(籌書管見)에 이미 정립되었다. 중국의 이론과 달리 두 산학자 모두 근사해의 오차에 관심을 가지고 더 좋은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을 얻어내었음을 밝힌다.

소강절의 수론 사상과 <구수략>에 미친 영향 (The thought of numerical theory of $Sh\grave{a}o$ $K\bar{a}ngji\acute{e}$ and it's influence on )

  • 정해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5
    • /
    • 2010
  • 본 논문은 소강절의 주저인 <황극경세서>를 토대로 그가 천지만물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구로 삼은 수론 사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최석정의 <구수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다. 또한 최석정이 소강절의 사상 중 어떤 측면을 계승하고 확장하였는가를 수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번적과 익적의 역사 (History of Fan Ji and Yi Ji)

  • 홍성사;홍영희;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54
    • /
    • 2005
  • 중국 산학에서는 구장산술의 제곱근과 세제곱근의 해법을 일반화하여 고헌이 도입한 증승개방법을 통하여 다항방정식의 해의 근사값을 구한다. 이 때 도구로 사용되는 조립제법에서 음수와 그 연산을 정확히 사용하지 않아서 번적, 익적이라는 개념이 나타나는데, 이는 조선 산학에도 그대로 사용되었다. 먼저 중국과 조선에서 번적, 익확에 대한 역사를 조사하고, 19세기 중엽에 조선 산학자 남병길과 이상혁이 번적과 익적에 대한 충분조건을 얻어내고 이를 증명한 사실을 밝혀낸다.

  • PDF

남병길(南秉吉)의 방정식논(方程式論) (Nam Byung Gil and his Theory of Equations)

  • 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8
    • /
    • 2007
  • 19세기 조선(朝鮮) 산학자(算學者) 이상혁(李尙爀), 남병길(南秉吉)은 구장산술(九章算術), 술리정온(數理精蘊) 등을 연구한 후 송(宋), 원대(元代)의 수학을 구조적으로 연구하여 조선(朝鮮) 산학(算學)이 크게 발전하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남병길(南秉吉)의 저서 집고연단(輯古演段)과 무이해(無異解)를 조사하여 그의 방정식논(方程式論)을 연구한다. 남병길(南秉吉)은 이상혁(李尙爀)과 공동 연구를 통하여 송(宋), 원대(元代)와 서양(西洋) 수학(數學)의 방정식논(方程式論)을 함께 구조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

수학 교실에서 동아시아 수학사 활용하기 (Using History of East Asian Mathematics in Mathematics Classroom)

  • 정해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31-146
    • /
    • 2022
  •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use the materials of East Asian history in mathematics classroom. Although the use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classroom is gradually considered advantageous, the usage is mainly limited to Western mathematics history. As a result, students tend to misunderstand mathematics as a preexisting thing in Western Europe. To fix this trend,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more East Asian history of mathematics in mathematics classrooms. These activities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y are organized in the context of students' real life or includ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discussions. Here, the study suggests a way to utilize the mathematical ideas of Bāguà and Liùshísìguà, which are easily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and some concepts presented in 『Nine Chapter』 of China and 『GuSuRyak』 of Joseon. Through this activity, it is also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mathematics in a more everyday context, and to recognize that the modern mathematics culture has been formed by interacting and influencing each other, not by the east and the west.

영뉵(盈朒)과 영부족술(盈不足術)에 관한 최근 동서양의 연구 분석 (AN ANALYSIS OF RECENT RESEARCH ON THE METHOD OF EXCESS AND DEFICIT (Ying NÜ and Ying Buzu Shu))

  • Lee, Sang-Gu;Lee, Jae Hwa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0권1호
    • /
    • pp.137-159
    • /
    • 2012
  • 영뉵 또는 영부족(盈不足)은 그 글자의 의미에서 보듯이 넘치는 것과 부족한 것에 관계된 '과부족'문제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유용한 개념으로, 영부족술(盈不足術)은 과부족문제를 푸는 일종의 산법이다. 본 논문은 먼저 지금까지 영부족에 관하여 소개된 최근의 모든 논문을 분석하고, <구장산술 九章算術> 권칠(卷七) "영부족" 장의 대표문제를 통하여 영부족술의 내용과 산법으로써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서술하였다. 그리고 서양에서 이중가정법(rule of double false position)으로 알려진 영부족에 관한 최근의 동서양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영부족술과 Cramer's Rule과의 관계 및 <산학보감 算學寶鑑>에 소개된 진화된 영부족술의 특징에 대하여 논하였다. 더 나아가 영부족술의 기원과 중국의 영부족술이 아랍을 거쳐 유럽으로 전파된 배경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안종화(安鍾和)의 <수학절요(數學節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An abridged version of the Joseon Mathematics (Su-Hak-Jeol-Yo), a mathematics book written by Jong-Hwa AN)

  • 이상구;이재화;변형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41-651
    • /
    • 2011
  • 한말 국학자이며 애국계몽운동가인 안종화(安鍾和, 1860. 11. 9-1924. 11. 24, 본관은 경주(廣州)-경능(廣陵), 호(號)는 함재(涵齋), 자(字)는 사응(士應))는 조선의 마지막 과거인 1894년 식년 문과에서 이상설(李相卨, 1870-1917)과 같이 합격하였으며, 두 분 모두 수학책을 저술하였다. 대만의 수학사학자인 홍만생(洪萬生)은 규장각의 조선 산서를 비교 검토하던 중 안종화의 <수학정경절요괄집(數學正徑節要括集), 약칭(略稱) 수학절요(數學節要)>을 처음 발견하고, 이 책의 잠재적 가치에 대하여 크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종화가 1882년에 저술한 현재까지 발굴된 조선의 마지막 전통수학책인 <수학절요>에 대하여 최초로 소개한다. <수학절요>의 목록을 살펴보면 이 책이 기본적으로 <구장산술(九章算術)>의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며, <산학정의(算學正義)>와 <수리정온(數理精蘊)>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는데, 특히 승법은 포지금(鋪地錦)이라 불리는 방법으로 계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