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성놀이의 질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구성놀이 질의 차이 (Differences in Children's Constructive Play Quality by Teacher's Play Teacing Efficacy)

  • 유영의;신은수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1-126
    • /
    • 2005
  • Subjects were two teachers each with higher or with lower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111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they taught. Using naturalistic observation, children's constructive play was videotaped and transcribed for 60 minutes on ten consecutive days in each classroom. Play was analyzed by level of constructive play, continuous length of play, variety of materials, enrichment of activities, and coherence of content. Constructive play of children whose teachers had higher efficacy in teaching play showed longer continuous play, used a higher variety of materials, and their play had more creative integrity. Five-year-olds exhibited longer continuous play, used a larger variety of play materials, more enrichment of play activity, and more coherence in play contents than four-year-olds.

  • PDF

구성놀이 질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Relations Between Qualities of Constructive Play and Problem Solving)

  • 한석실;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43-159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problem solving. The subjects were 48 five-year-old children. Unit blocks were used to test the quality level of constructive play; a 40 piece puzzle and pattern blocks were used to test convergent problem solving; the pattern blocks also were used to test divergent problem solving. Children's block play was videotaped and pictures were taken of constructions made by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problem solving. Among the sub variables of constructive play, social play patterns affected convergent problem solving; diversity affected divergent problem solving.

  • PDF

3, 4, 5세 아동의 구성놀이 발달에 관한 연구 : 놀이의 질에 대한 분석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onstructive Play: An Analysis of Block Play)

  • 구현아;이종희
    • 아동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5-16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of the constructive play of 3, 4 and 5 year-old children. The researchers used unit blocks as the instrument because they ar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nstructive play materials. The subjects were 73 children enrolled in a half-da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he children's block play was videotaped 8 times, for a total of 330 minutes. The videotapes were transcribed and assessments were made on the children's 233 constructions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block play, the variety of materials used, play duration, and play intensit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wo-way ANOVA to check age and sex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of block play were low on the average and that girls did not show an active interest in block play. The results also implied that block play developed by play experience rather than by age.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rpre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achers' understanding, planning, and mediation of block play in order to induce high-quality constructive play.

  • PDF

구성놀이 전개 유형, 연령, 성별에 따른 구성놀이 질 및 가작화에서의 차이 (Proceeding patterns of block play, and differences on block play's quality and symbolic play' pretending elements)

  • 한석실;박주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46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eding patterns of constructive play with lego blocks, and the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symbolic play's pretending elements. The subjects were 132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64 three-year-olds (36 boy, 28 girl) and 68 five-year-olds (32 boy, 36 girl). The study found three proceeding patterns in the constructive lego play. First, children engaged in constructive and symbolic play simultaneously, or they switched back and forth between symbolic and constructive play. This pattern was termed as "constructive and symbolic play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type 3), and it was occurred most frequently. Secondly, children focused only on constructing structures. This pattern was termed as "constructive play only"(type 1), Thirdly, children engaged in symbolic play only after they completed building some structures. This pattern was named "symbolic play after constructive play"(type 2).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children who were categorized as type 1 and 2 showed higher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longer duration in play than children as type 3. Five-year-old children sustained play longer and showed higher quality in terms of elaboration, imagination, and variety (number of blocks, shape of blocks). Furthermore, children as type 3 showed a higher level of imaginative play than children as type 1 and 2, especially in terms of role, objet, and context of projection.

FGI 분석을 통한 놀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Play & Education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박혜진;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5-173
    • /
    • 2019
  • 최근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놀이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가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과 현재의 운영 현황을 토대로 놀이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놀이 전문가 및 학부모 대표 9명을 선정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FGI의 질문은 (1) 놀이 및 부모교육 지원 조직 설립과 공동운영, (2) 기존 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개선사항, (3) 놀이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4) 놀이교육 지원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5) 놀이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FGI 조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긍정적인 성장발달 도모 및 체계적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놀이교육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현장에서 놀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센터 설립과 동시에 놀이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예술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 지원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놀이교육에 대한 구체적 목표 달성 및 질적 제고를 위한 방향으로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실내 환경에서의 현재 및 미래 위치 질의를 위한 색인과 동적 히스토그램 기법 (An Index for Querying Current and Future Location and Dynamic Histogram Method in Indoor Environment)

  • 김미경;박현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59-62
    • /
    • 2004
  • 이동객체 색인에 관한 기존 연구는 실외 환경의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많은 이동객체들을 대상으로 과거 궤적과 현재 위치 및 미래 위치를 검색하는 색인 기법들이었다. 그러나 쇼핑몰이나 대형 박물관과 같은 건물의 실내나 놀이동산과 같은 한정된 영역의 이동객체들은 실외 환경에서처럼 빠른 이동속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이동객체들의 이동하는 영역이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 수용인원 등이 정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실내 환경에 적합한 색인 기법으로 현재 그리고 미래 위치 질의 처리를 위한 공간색인과 시간 색인을 분리한 두 개의 색인 구조를 갖는 새로운 색인 기법과 가까운 미래 시간의 특정 영역에 있는 이동객체들의 수에 대한 질의응답을 위한 시공간 히스토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한국 동남부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Mask dramas of Korea southeast region)

  • 정상박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7-30
    • /
    • 2016
  • 한국의 동남부 지역의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을 따지고 그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우리 민속 탈놀음은 전통사회에서 공동체 구성원이 잘 살기 위하여 행하고 즐기는 문화행위였다. 21세기에 탈놀음을 공연하더라도 전통사회의 삶의 양상이 담겨져 있을 뿐 아니라 전통사회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 기법과 기능도 현대의 것이 아니라 전통사회의 유산이다. 탈놀음의 예능과 놀이양상이 비교적 온전히 전승된 것 중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는 것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인위적으로 전승시키고 있다. 한국 동남지역, 즉 경상도지방은 여러 장르의 탈놀음이 전승되었다. 즉, 지역공동체가 행하는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의 굿탈놀음,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통영오광대 등 토박이오광대,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수영야류 등 토박이 탈놀음인 들놀음, 밤마리 대광대패 등 연희공동체가 행하던 떠돌이오광대 등이 전승되고 있었다. 광대패, 사당패, 남사당패 등 지역공동체와 관계없이 유랑하는 연희집단은 인적 결합을 한 특수한 공동체다. 이들은 먹고 살기 위하여 연희를 하면서 떠돌며 사는 특수집단이다. 이들은 생산적 활동과 집단적 생활을 공유하는 연희공동체다. 한국 동남지역의 탈놀음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각광을 받으니까, 합천밤마리오광대, 김해오광대, 마산오광대, 거제영등오광대 등 소위 복원하는 것이 생겨났다. 탈과 대사가 전하고 있어도 과거에 놀았던 사람이 없으면 행위 전승, 즉 예능의 전수가 이루어 질 수가 없으므로 놀이가 전승되었다고 볼 수 없다. 공연물의 동영상을 보고 그대로 모방하여도 예능의 전승이 아니고 복원이다. 이런 복원은 이미테이션(imitation)이다. 과거의 놀이 양상을 알 수 없어서 다른 탈놀음을 참조하여 만들면 창작을 한 것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복원이라고도 할 수 없다. 이런 것들은 전통사회의 공동체와는 무관하여 무형문화재의 범주에 들기 어렵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가 지난 예술을 복원 혹은 모방한 것이라도 성행하면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것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모의 평일여가에서 나타난 변화(2004-2019) (Trends in the Workday Leisure-Time of Dual-Income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2004-2019))

  • 서지원;이정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4호
    • /
    • pp.39-52
    • /
    • 2022
  • 최근 한국사회에서 출산율이 급락하면서 부모의 자녀돌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취학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별 사용시간에 초점을 맞추어 성차와 시간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과 2019년의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가 근무일인 평일에 작성한 시간일지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활시간 구성(필수시간, 의무시간, 여가시간)의 변화, 여가활동 유형(자원봉사, 교제, 참여, 종교, 의례, 문화·관광, 스포츠·레포츠, 게임·놀이, 미디어, 휴식, 기타 여가)에 따른 사용시간의 성차와 조사시기별 차이, 여가활동별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n=2,697).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조사시기 모두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경우 전체성인집단에 비해 필수시간은 짧고, 의무시간은 길며, 여가시간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별 시간사용량을 비교한 결과, 성차가 유의한 활동 가운데 2004년에는 종교활동을 제외한 모든 여가활동에서, 2019년에는 모든 여가활동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총 여가시간이 2004년에 비해 2019년에 감소하였는데, 여가활동별로는 교제, 의례, 미디어 시간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감소하였고, 종교시간은 어머니 집단에서, 휴식시간은 아버지 집단에서만 감소하였으며, 참여와 게임·놀이 시간은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맞벌이부모의 여가활동 유형 중 전체성인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 3가지 여가활동(스포츠·레포츠, 게임·놀이, 미디어)을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생활시간 변수가 서로 다른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맞벌이부모의 초기양육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정책과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고력 신장을 위한 웹 기반 수업방식의 학습자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Learners' Satisfaction in Web-based Instructional Development for Expanding Thinking Power)

  • 김미량;이정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75-283
    • /
    • 2003
  • 본 연구는 학습자의 창조적인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교과교육에서 구성주의에 기초한 웹 기반 교수과정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가운데, 학습자의 사고력이 신장될 수 있도록 돕는 웹 기반 수업방식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 비해 웹 활용 수업 방식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가 매우 높아 교과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킬 수 있었으며 웹을 통한 학습자의 다양한 상호작용 및 협동학습을 통해 질 높은 교육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과 함께 실시한 웹 기반 수업방식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에는 놀이와 유용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이성은 만족도에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용이성뿐이며, 용이성은 다시 효능과 지원, 그리고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역사회기반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주관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on Cognitive Fincion and Subject Memory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미영;박우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67-7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주관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G시 D치매안심센터에서 2021년 4월부터 2021년 8월까지 3개월 이상 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5명으로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3 개월 동안 주 3회 총 36회 인지자극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인지자극프로그램은 지남력 강화, 인지훈련, 회상과 음악, 미술, 신체 놀이 등 다양한 활동으로 인지 기능을 자극하고, 사회기능 향상 목적으로 동용. 민요, 타악기, 국민체조, 춤, 게임, 전래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인지자극 프로그램 진행한 결과 인지기능은 인지자극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이 26.33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28.46점으로 2.13점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주관적 기억은 인지자극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이 7.13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3.60점으로 3.53점 감소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이 결과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자극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치매로 인한 비용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나 인지기능 저하는 노인의 삶의 질이 떨어지고 그로인한 다양한 부담을 가져온다. 앞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는 인지자극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