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름

검색결과 889건 처리시간 0.027초

실린더 모델을 이용하여 선정한 2000년도 자기 구름 이벤트 리스트

  • 최규철;이대영;이종혁;박영득;신대윤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38.1-138.1
    • /
    • 2012
  • 자기 구름은 자기 구조를 가지고 방출된 CME로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지구 자기장의 교란으로 발생하는 지자기 활동은 K 지수로 표현되는데 우주기상을 연구하는데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서 자기 구름은 우주기상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기존에 Lynch et al.(2005), Huttunen et al.(2005), Lepping et al.(2006), Feng et al.(2007) 등이 만든 자기 구름 리스트가 있지만 자기 구름에 적합하지 않는 이벤트가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어 이벤트를 지자기 활동 연구에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만의 자기 구름 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과 실린더 모델을 이용해 새로운 자기 구름 리스트를 완성하였다. 우리가 정한 자기 구름 기준은 (1)자기장의 벡터 성분이 천천히 회전하고 (2)자기장의 세기가 평균보다 세며 (3)자기 구름 지속시간이 7시간보다 짧은 이벤트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ACE위성과 WIND 위성이 2000년에 관측한 행성간 자기장 자료에 우리의 자기 구름 기준을 적용하여 자기 구름 이벤트 후보를 선정하였고, 마루바시 박사가 만든 실린더 모델을 자기 구름 이벤트 후보에 적용하여 자기 구름 이벤트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2000년도 자기 구름 이벤트는 총 63개이고 이를 리스트로 작성하였다. 우리가 만든 자기 구름 이벤트 리스트는 CME와 K 지수 등 지자기 활동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 PDF

한국산 꽃구름버섯속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Korean Stereum)

  • 임영운;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49-353
    • /
    • 1999
  • 현재까지 국내에 보고된 꽃구름버섯은 도합 5종으로서 그중 4종은 흰테꽃구름버섯(Stereum gausapatum), 꽃구름버섯(S. hirsutum), 갈색꽃구름버섯(S. ostrea), 및 배착꽃구름버섯(S. ochraceo-flavum)이며, 나머지 1종은 거북꽃구름 버섯속에 속하는 너털거북꽃구름버섯(Xylobolus spectabile)으로서 낭상체의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거북꽃구름버섯속(Xylobolus)에 속하여 왔으나, Boidin과 Chamuris는 배양학적 특징에 의하여 후자를 꽃구름버섯속(Stereum)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너털거북꽃구름버섯"(X. spectabile)을 꽃구름버섯속에 재분류하여 분류체계를 개선하고 우리말 이름을 "너털꽃구름버섯"(S. spectabile)으로 개칭하는 바이다. 또한 서울대학교 표본실(Seoul National University Fungal Collection, SFC)에 보관되어 있는 꽃구름버섯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종의 꽃구름버섯종들이 미기록종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 미기록종은 Stereum subtomentosum(갈색털꽃구름버섯, 신칭), S. peculiare(껍질 꽃구름버섯, 신칭), S. sanguinolentum(유혈꽃구름버섯, 신칭), S. striatum(줄무늬꽃구름버섯, 신칭), 및 S. complicatum(복합꽃구름버섯, 신칭)이었다. 이로서 한국산 꽃구름버섯 종들은 도합 10종에 이르며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꽃구름 버섯의 동정을 위하여 새로운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구름의 분류 (A Classification of Clouds Observed in Korea)

  • 소선섭;전삼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65-578
    • /
    • 1997
  • 구름의 생성 원인은 상승기류에 의한 단열 냉각인데 이에는 대류에 의한 상승기류와 전선에 동반되는 상승기류가 있고 또 복사냉각과 한냉공기와 온난공기의 혼합 등이 있다. 이러한 구름의 생성원인에 따라 대기 중에 떠 있는 구름은 고도와 모양이 다양하다. 구름모양은 L. Howard가 1803년에 제창한 것에 기초를 두고 분류되어 있으며, 분류의 기본은 가늘고 긴 섬유모양의 구름, 층모양의 구름, 뭉게뭉게 쌓인 구름의 3가지 형태로 크게 구분되고, 고도와 형태에 따라 다시 10 류(類)로 세분되어진다. 대부분이 유형은 구름의 외관상 특징이나 대류의 강도와 같은 구조상의 차이에 따라 종(種)별로 더욱더 세분된다. 때로는 구름은 어떤 모양의 모체의 그 일부가 전혀 별개의 유형으로 발생하거나 모체 전체가 별개의 유형으로 변화하는데 이 경우에는 원래 유형의 구름을 어미 구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층적운, 고층운, 권운의 구름들이 자주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고층운, 층운, 층적운과 같은 층운형에서 비나 눈이 내리고, 적운형인 고적운, 적운, 적란운에서는 소나기, 우박이 내리거나 모체 전체가 별개의 유형으로 변화하는데 이 경우에는 원래 유형의 구름을 어미 구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층적운, 고층운, 권운의 구름들이 자주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고층운, 층운, 층적운과 같은 층운형에서 비나 눈이 내리고, 적운형인 고적운, 적운, 적란운에서는 소나기, 우박의 강수현상이 있다.

  • PDF

구름-장파복사 상호작용이 아시아 몬순 순환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raction between Cloud and Longwave Radiation In Asia Monsoon Circulation)

  • 유근혁;손병주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 /
    • pp.112-125
    • /
    • 2003
  • 구름의 몬순의 활동에 있어서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몬순의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ISCCP 구름자료와 GAME 재분석 자료를 입력자료로한 장파 복사 모델을 수행하였다. 모델 수행의 결과로 얻어진 대기 상부에서의 플럭스는 CERES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구름에 의한 가열율은 몬순활동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구름이 몬순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맑은 대기의 가열율과 구름을 포함한 평균 대기의 가열율의 차이를 구하였으며, 이를 수평과 연직분포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가열율의 지리적 분포는 수평적으로는 인도양에서 장파 복사 가열율의 최대가 나타났으며, 가열의 최저 (냉각)은 티벳고원에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분포는 구름이 남북방향으로 차등가열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구름의 분포가 열적인 몬순순환을 강화시켜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차등가열의 강화는 동서방향으로도 나타나 구름이 동서방향 순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름에 의한 복사 가열의 연직구조는 운정에 의한 냉각과 운저에 의한 가열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기의 불안정성이 높아져 연직 운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몬순순환에 의해 생성된 구름은 구름 생성의 원인이 되었던 순환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 PDF

근적외 영상과 퍼지 퍼지 논리를 이용한 구름 분석 (A Cloud Analysis Using Near Infrared Image and Fuzzy Logic)

  • 황진근;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1-26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퍼지 기법을 이용하여 구름의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각각 영상에 대해 R채널의 임계치를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며, 잡음 영역이 제거된 각각의 근적외 영상과 가시 영상의 반사 특성 및 근적외 영상과 적외 영상의 방출 특성의 특징을 구한 후, 각각의 임계치를 적용하여 1차적으로 구름을 판별한다. 1차적으로 구름 판별에서 제외된 영역에 대해서는 가시 및 적외 영상의 R 채널 값을 퍼지 기법에 적용하여 2차적으로 구름의 종류를 판별한다. 1차적으로 판별된 구름 영역과 2차적으로 판별된 구름 영역을 합성하여 최종 구름 영역을 도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실험한 결과, 기존의 구름 분류 방법보다 제안된 방법이 구름 분류의 성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구름 제거한 일별 식생지수 (Cloud Masked Daily Vegetation Index)

  • 강용균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86
    • /
    • 2009
  • 원격탐사 근적외선(NIR)과 Red 밴드의 반사도로부터 계산되는 정규식생지수(NDVI)는 구름에 오염된 곳에서는 실제보다 낮은 값으로 계산된다. 식생지수에서 구름오염 문제를 극복하는 기존의 대표적인 방법에는 보름 정도 장기간 식생지수 값 중에서 최대인 값을 취하는 MVC(Maximum Value Composite) 방법이 있다. 하지만 MVC 방법으로는 식생지수의 단기간 변동을 파악할 수 없으며, 장기간 계속 구름으로 오염된 곳은 잘못된 식생지수 값으로 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시광 RGB 자료로부터 snapshot 영상자료의 구름을 마스크(mask)하는 새로운 방법인 CIM(Color Index Manipul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snapshot 영상자료에서 구름에 오염된 곳은 제외하고 오염되지 않은 곳에 대한 식생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RGB 자료에 대한 정규색상지수 NCI (Normalized Color Index) 3개 성분을 $120^{\circ}$ 간격으로 벌어진 3개 축상의 좌표로 나타낸 후 이들 3개 값의 벡터합(vector sum) 정보를 이용하여 구름을 식별하는 CIM 방법으로 위성영상에서 두꺼운 구름과 않은 구름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 구름식별 기법을 MODIS snapshot 위성영상 자료에 적용하여 한반도의 일별(daily) 식생지수 자료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수년간의 일별 식생지수 자료로부터 한반도 식생지수의 계절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 PDF

광주, 서울, 제주의 RSR 측정을 통한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두께 비교 (Comparison of Atmospheric Aerosol Optical Depth measured at Kwangju, Seoul and Cheju using RSRs (Rotating Shadowband Radiometer))

  • 류성윤;김영준;민희경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6
    • /
    • 2000
  • 대기 중에 있는 에어로졸의 농도가 증가하면 직접·간접적으로 지구 복사 평형에 영향을 주어 기후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직접적 효과로는 에어로졸이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빛을 산란 및 흡수에 의해 차단하여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감소시키게 된다. 간접적 효과로는 증가된 에어로졸의 일부가 구름 응결핵으로 작용하여 구름입자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구름의 알베도 값이 증가되고 또한 구름의 수명에도 영향을 주어 구름의 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또한 구름의 수명에도 영향을 주어 구름의 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따라서 지구복사 뿐 아니라 물의 순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략)

  • PDF

퍼지 기법을 이용한 구름 분류 (A Cloud Classification Using Fuzzy Method)

  • 조현학;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5-35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퍼지 기법을 이용하여 구름의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 영상과 적외 영상을 대상으로 육지 영역은 RGB 컬러 정보 중에 G 채널 값의 수치가 높고, 바다영역에서는 B 채널 값의 수치가 높다는 정보를 이용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육지 영역에서는 R과 B 채널 값을 적용하고, 바다 영역에서는 R과 G 채널 값을 적용한다. 가시 영상과 적외 영상에서 임계치를 적용하여 잡음(구름 이외의 영역)을 제거하고, 잡음을 제거한 영상에서 육지 영역과 바다 영역을 구분한 후, 각 R, G, B 채널 정보를 퍼지 기법에 적용하여 구름 영역을 판별한다. 그리고 가시영상과 적외 영상에 모두 포함된 구름 영역에 대해서는 두 영상을 합성하여 구름을 판별한다. 제안된 기법을 구름 분류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양자화를 적용한 방법보다 구름의 분류 성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MODIS 구름 산출물을 이용한 영동대설 관련 구름 특성의 분석 (Analysis of Cloud Properties Related to Yeongdong Heavy Snow Using the MODIS Cloud Product)

  • 안보영;조구희;이정순;이규태;권태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87
    • /
    • 2007
  • 본 연구는 NASA/GSFC에서 제공하는 MODIS 구름 산출물 자료를 활용하여 국지적 현상으로 나타난 영동지역의 14개 대설 사례를 분석하였다. MODIS에 의해 특정시간에 관측된 영동지역의 구름은 운정 온도(CTT), 광학 두께(COT), 유효 입자 반경$(r_e)$, 입자상(CP)과 같이 구름 내 속성의 특징에 따라 A, B, C 형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구름 형태에 대한 강수량과 구름의 속성 사이의 연관성 분석에서 COT는 A와 B형에서 상당히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성을 보였으며, CTT는 A형에서만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그렇지만, C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성이 구름의 특성물에 대해 나타나지 않았다. A형 구름은 작은 크기의 물방울과 함께 주로 낮은 층운형 구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해에서 종관적으로 유도된 하층 한기 이류 하에서 발생할 수 있다. B형 구름은 발달하는 적운형 구름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름은 동해상에서 발달하는 저기압 중심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렇지만, C형 구름은 다층 구름들로써 영동대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하층 구름을 상층구름이 덮고 있어 위성 관측이 어렵다. 따라서 MODIS 구름 산출물은 영동대설의 경우에 다층 구름을 제외하고 위성 자료로부터 강수량 추정과 대설 기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물리의 세계 - 뭉게구름의 신비

  • 김제완
    • 과학과기술
    • /
    • 제32권7호통권362호
    • /
    • pp.23-23
    • /
    • 1999
  • 여름이 다가오면 나뭇잎이 하룻밤 사이에 색깔이 진해지고 하늘을 쳐다보면 뭉게구름이 두둥실 떠있다. 그런데 뭉게구름의 윗부분은 뭉실뭉실 하지만 밑부분은 거의 곧게 퍼진 직선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다. 왜 구름의 모양이 이렇게 요술을 부리는지 뭉게구름의 신비를 풀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