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tmospheric Aerosol Optical Depth measured at Kwangju, Seoul and Cheju using RSRs (Rotating Shadowband Radiometer)

광주, 서울, 제주의 RSR 측정을 통한 대기 에어로졸의 광학적 두께 비교

  • 류성윤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 김영준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 ;
  • 민희경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
  • Published : 2000.04.01

Abstract

대기 중에 있는 에어로졸의 농도가 증가하면 직접·간접적으로 지구 복사 평형에 영향을 주어 기후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직접적 효과로는 에어로졸이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빛을 산란 및 흡수에 의해 차단하여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감소시키게 된다. 간접적 효과로는 증가된 에어로졸의 일부가 구름 응결핵으로 작용하여 구름입자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구름의 알베도 값이 증가되고 또한 구름의 수명에도 영향을 주어 구름의 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또한 구름의 수명에도 영향을 주어 구름의 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따라서 지구복사 뿐 아니라 물의 순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