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 환경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19초

모바일환경에서의 치과환자 구강영상 관리체계 개발 (Development of Dental Ima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Computing)

  • 오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79-385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속히 보급이 확산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를 치료실과 기공소간의 정보공유체계와 연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최근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개발환경을 소개하고 안드로이드 기반의 환자정보 공유체계의 주요 기능을 정의하여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를 통해 구현 하였다. 이를 실무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스마트폰 등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정보화 기반기술을 치기공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 환자의 구강에 대한 영상촬영 시 카메라와 PC를 연결하여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서 치료 실내의 정보 활용성이 개선되었다. 3. 환자의 구강정보는 촬영 즉시 서버로 전송되므로 영상화일의 오류를 저감할 수 있었다. 4. 임상에서의 보철물 제작 시 스마트폰에 보철물 이미지를 표출한 상태로 작업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되었다.

칫솔질 교육의 치면 세균막 억제 효과 (PLAQUE CONTROL EFFECT OF TOOTH BRUSHING INSTRUCTION)

  • 유은규;손미연;최성철;김광철;박용덕;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25
    • /
    • 2012
  • 좋은 구강 위생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치태 조절은 필수적이며, 가장 보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올바른 칫솔질이다. 그러나 아동들은 올바른 칫솔질을 시행하기 어려워 칫솔질 교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칫솔질 교육의 치태 조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기본 정보를 조사하고 치면 세균막 지수와 치아 및 혀 세정도, 구취 관리도를 측정하는 조사를 총 4회에 걸쳐 시행하여 칫솔질 교육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치면 세균막 지수는 감소하였고(p<0.01), 치아 및 혀 세정도는 증가하였다(p<0.01). 구취관리도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1). 이러한 결과 칫솔질 교육은 구강 내 치면 세균막 제거에 뛰어난 효과를 보여, 아동들의 좋은 구강 위생 환경의 확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성인의 타액 내 구강세균 검출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Detection of Oral Bacteria in the Saliva and Risk Factors of Adults)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75-5682
    • /
    • 2014
  • 구강질환은 단독 진행만이 아닌 혼합감염증으로 발생하므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에 관여하는 원인 균주들의 명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의 원인균으로 잘 알려져 있는 세균을 검출하기 위해 타액을 채취하였다. 성인의 연령, 흡연 및 음주, 질병유무에 따른 구강세균분포 차이를 보고 구강세균의 위험요소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은 20대 이상 65세 미만 성인 12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5일 - 5월 10일까지 조사하였다. 타액 내 gDNA를 추출 후 PCR 방법을 이용하여 구강질환의 균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 mutans는 72명, P. intermedia 88명, S. mutans와 P. intermedia 균이 모두 검출된 성인은 54명, 구강세균이 검출되지 않은 성인은 14명으로 나타났다. 구강세균의 위험 요소 결과,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S. mutans 2.8배, P. intermedia 3.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S. mutans 검출 위험도가 3.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신질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P. intermedia 검출된 위험도가 4.1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음주, 전신질환은 구강 내 세균 검출위험도가 높은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 세균이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20대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공존하는 연령대인 만큼 구강세균의 분포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구강세균이 검출된 성인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에 이환될 위험도가 그만큼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구강환경을 청결히하고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통해 구강질환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모범 유치원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효과 - 인천 일부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Effect of Oral Healthcare Program of Exemplary Kindergartens for Prevent the Dental Caries in Incheon City, Korea)

  • 안세연;황윤숙;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1-509
    • /
    • 2013
  •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모범 유치원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2012년 4월 구강보건 교육 전, 후 유아의 구강보건행태 변화에 대해 부모를 통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유아를 대상으로는 치면세균막관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교육 전, 교육 직후, 교육 3주 후에 PHP index를 측정하였다. 전체 156명의 유아 중 참여에 동의하지 않았거나, 해당일 결석으로 구강보건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유아와 설문지 회수가 되지 않은 유아를 제외하고 총 13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교육 시행 후 자녀의 시기별 칫솔질 실천율과 칫솔질 빈도, 소요시간, 칫솔질 행동에는 변화가 없었다(p>0.05). 치아건강교육에 대한 관심은 변화 없었으나(p>0.05), 칫솔질 방법 인지와 칫솔질 권유 시 반응, 치아의 중요성 인지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p<0.05). 2. 유아의 구강환경관리능력(PHP index)은 교육 전 3.87, 교육 직후 2.71, 교육 3주 경과 후 3.27로, 교육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3. 보호자의 자일리톨 급식 인지율은 90.0%, 충치예방효과 인지율은 75.3%, 권유의사는 50.8%였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할 경우 보호자의 76.9%는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부모의 관찰 결과 유아의 33.1%는 자일리톨 급식후, 60.7%는 구강보건교육 후 충치예방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충치예방 모범 유치원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교사와 부모, 유아를 대상으로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유아의 구강건강행동이 습관화되고 칫솔질 능력이 완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부 성인의 타액요인과 구강환경 요인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aliva factors and oral hygiene factors in adults)

  • 홍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9-196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va factors and oral hygiene factors in adul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12 adults from April 1 to June 15, 2014. The selected salivary factors included stimulated/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pH, and the selected oral hygiene factors included halitosis, wet weight of tongue plaque and oral humidity in dorsum and inferior surface of tongu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imulated/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oral malodor and wet weight of tongue plaqu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stimulated/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s,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wet weight of tongue plaqu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et weight of tongue plaque.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and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al humidity of inferior surface of tongu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halitosis. Oral humidity of inferior surface of tongu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livary buffering rate, pH and halitosis. Salivary buffering capac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 and p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litosis. Conclusions: The salivary factors were linked to the oral hygiene. As there may be great changes in salivary flow rate and oral hygiene due to various factors, the salivary factors seem to be one of the major factors to ensure oral hygiene and to promote oral health.

치주병원균의 성장에서의 heme의 영향 (Heme effects of hemin on growth of peridontopathogens)

  • 유현준;이성훈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1호
    • /
    • pp.31-38
    • /
    • 2021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치주병원균에 대한 헴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치주낭에 존재하는 7종의 혐기성세균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균을 혐기환경에서 배지를 이용하여 hemin의 있고 없음으로 하여 배양을 하였다. 세균의 성장은 매 6시간마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헤민의 존재여부에 따른 성장의 차이는 Porphyromonas gingivalis에서만 관찰되었다. Treponema denticola를 제외한 치주병원균의 성장은 헤민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T. denticola의 성장은 헤민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결론: 헴은 치은연하 치태의 미생물 생태계에서 미생물분포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치주염을 유발하는 환경을 조장할 것이다.

의료인을 위한 구강점막욕창 시각적 감별도구의 신뢰도 (Reliability of the Visual Discrimination Scale on Oral Mucosa Pressure Ulcer for Healthcare Providers)

  • 엄주연;김명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43-450
    • /
    • 2020
  • 본 연구는 구강점막욕창의 시각적 감별도구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절차는 개발단계와 평가단계로, 개발단계에서는 자료수집, 자문단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최종도구개발이 수행되었으며, 평가단계에서 대상자들에게 9장의 사진도구를 평가하게 하였다. 세 군에서 측정자 간 신뢰도를 구한 결과, 상처 전문간호사군에서는 Krippendorff's alpha 가 .75이었고, 중환자 전문간호사군에서는 .70이었다. 치과의사군에서의 Cohen's weighted kappa값은 .78 로 나타났다. 측정자 내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중환자실 일반간호사군들의 intra-rater reliability는 .73으로 나타났다. 신뢰도가 입증된 9장의 사진은 실제 중환자실과 같은 구강점막욕창 위험을 가진 환자를 돌보는 임상환경에서 교육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통해 조사된 재택근무와 수면장애 간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rom home and sleep disturbances among workers: using the 5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 김현중;박서연;권형진;방일흠;이예의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8-8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s among domestic workers using data from the 5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in 2017. Out of the total 30,108 wage workers, 818 employees work from home and 4,090 work in an office. A random sample of 1:5 pairs, considering gender and occupational group, was selected from these employees as the study subjects. The analysis included person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ork-from-home arrangements, and sleep disorders. Ag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years in the workforce, weekly working hours, work-life balance, self-perceived health,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ll adjusted as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from home (independent variable) and sleep disorder (dependent variable). This analysis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working from home was associated with sleep onset latency disorder OR=3.23 (95% CI=2.67~3.91), sleep maintenance disorder OR=3.67 (95% CI=3.02~4.45), and non-restorative sleep OR=3.01 (95% CI=2.46~3.67),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three types of sleep disorders. Factors influencing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rom home and sleep disorders included work-life balance, social isolation, and anxiety.

차량용 에어컨에 대한 쾌적감과 생체간의 관련성 (Relations between biological status and feeling for car conditioner)

  • 노태정;서유진;박영만;황진수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1-424
    • /
    • 2000
  • 열적 쾌적감은 각 개인간의 대사작용의 차이, 실행중인 작업 의복의 종류나 계절의 영향, 환경순응, 습관이나 전통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열적 쾌적감을 조절하는 기기중 하나인 에어컨은 특히 열적 쾌적감을 고려해서 제품설계를 해야 하는 아주 민감한 제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에어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서 차량용 에어컨이 작동 중일 때 피 실험자의 신체 부위별 주관적 쾌적감과 피부온, 구강온, 맥박, 혈압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실험은 1 인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9 회에 걸쳐 chamber 에서 1 회에 약 90 분간 실험했다. 차량용 에어컨에 대한 주관적 쾌적감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소로서는 머리 부위의 피부온과 구강온이 선택되었으며, 다른 부위의 피부온, 맥박, 혈압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itch hazel(Hamamelis virginiana)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 (The Anti-Bacterial Effect of Witch Hazel(Hamamelis virginiana) on Oral Pathogens)

  • 류성용;안형준;권정승;박주현;김재영;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59-166
    • /
    • 2008
  • 이상적인 구강항균제로는 구강환경 내에서 정상 세균총보다는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주 및 치주염이나 구취 유발세균에 대한 선택적인 항균력이 우수하면서도 인체 및 환경독성이 낮은 물질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천연항균제 개발을 위해 천연물질인 Hamamelis virginiana의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최근 식물 추출물이나 정유(essential oil)의 항균 효과를 관찰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치아우식증이나 구취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 항균제 후보 물질들이 속속 보고 되고 있으며, Hamamelis virginiana가 여기에 속한다. Hamamelis virginiana는 치주질환을 야기하는 세균을 포함하는 여러 세균 종, 즉 Porphyromonas gingivalis, Fusobacterium nucleatum, Capnocytophaga gingivalis, Veilonella parvula, Eikenella corrodens, Peprostreptococcus micros, Actinomyces odontolyticus 등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이 실험에서는 구강감염질환에 중요한 Streptoccoccus mutans, Haemophylus actinomycetemcomitans, 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Hamamelis virginiana의 항균 효과를 이용하여 구강위생용품 등 치과영역 임상에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Hamamelis virginiana의 항균 효과를 보기 위해서 Hamamelis virginiana 알콜 추출액을 처리하여 종이 원판 항생제 감수성 검사, 최소발육저지농도 그리고 최소살균농도를 결정하는 연구를 한 결과, 모든 실험 병원균주에 대해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Hamamelis virginiana의 항균력은 구강 감염질환에 중요한 Streptoccoccus mutans, Haemophylus actinomycetemcomitans, Klebsiella pneumoniae 모두에게 유효하게 작용하며, Hamamelis virginiana의 직접적인 살균작용까지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천연물질인 Hamamelis virginiana를 이용하여 구강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한 직접적인 항균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항균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