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보건 지식.태도.행동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구강보건 지식과 실천이 우식경험치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Effects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s on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Index and Quality of Life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이영수;배성윤;지재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3
  •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구강건강의 관점에서도 구강질환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구강질환의 예방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실천 정도, 구강건강상태, 그리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치과, 치과병원 및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1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16일부터 한달간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실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치과의사 11명이 치경과 탐침으로 사랑니를 제외한 28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우식경험치아수(DMF index)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구강보건지식은 구강보건실천에, 구강보건실천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식경험치아수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구강보건지식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 아니라, 구강보건실천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구강보건실천 수준과 우식경험영구치아수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마련이 절실히 요구됨을 말해주고 있다. 즉 우식경험치아수는 구강보건실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변수이므로 단순히 구강건강관련 지식만을 전달하기보다는 태도의 변화와 실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구강질환의 예방과 조기치료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부지역 중학생의 구강건강 지식 및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A Descriptive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 Behavi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 류정숙;김정희;한수진;심상효;김윤신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5-97
    • /
    • 2008
  • 학교구강보건은 학생의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을 변화시켜, 일생동안 구강건강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학교구강보건의 목적은 학생의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초기에 치료함으로써,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켜 건전한 심신을 양성하여 교육 본래의 목표를 달성함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파악하여 대상에 알맞은 학습 목표와 교육방법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구강건강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 지역인 충청북도 OO군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학생의 구강건강 지식에 대한 항목 중 치과질환의 증상에 대한 인지율에 비해 부정 교합의 원인(51.5%)과 잇몸병 예방법(15.1%) 등 치과질환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한 인지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잇솔질 시기에 대한 지식과 행동을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인식 및 행동 모두 50% 수준 또는 그 이하였으며, 특히 점심식사 후에는 46.2%가 인식, 실천은 33.0%에 불과하였다. 3. 하루 잇솔질 횟수는 하루에 두 번 하는 경우(47.5%)가 가장 많았으나, 한 번 또는 한 번도 닦지 않는다는 응답(5.8%)도 있어 소수의 학생들이지만 잇솔질 실천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중학생들의 간식섭취 횟수는 일일 2회 이하가 68.8%였으나, 5회 이상 섭취하는 학생도 9.8%로 조사되었으며, 남학생은 5회 이상이 15.8%로 조사되어 성별의 차이가 있었다(p<0.01). 5. 전신건강 중 치아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30-40% 중요하다는 응답이 31.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0-60% 중요하다 30.6%, 60%이상 중요하다 29.9%고 응답하여 학생들은 전신건강 중 구강건강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치과내원은 이가 아플 때에만 간다 49.3%로 가장 많았으며, 이가 아팠지만 치과에는 가지 않았다 21.7%로 응답하여 치아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에 비해 치과에 내원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6. 현재 우리나라 학교구강보건사업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세부적인 프로그램과 국가의 지원은 있으나 청소년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및 지원은 미비한 상태이다. 건강에 대해 자기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시기인 청소년 시기의 학교구강보건사업은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며, 이 시기에 구강보건교육을 비롯한 구체적인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학교구강보건사업이 중 고등학교에도 확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상태의 변화 (The Change of the Oral Health Status after Applying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6-213
    • /
    • 2013
  •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진단해보고 실제적으로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3월 26일에서 2012년 6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51명으로 구성되었고, 구강지식과 인식을 사전-사후 조사했으며 인식에 변화가 있어 치과를 방문한 사람을 추후 조사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대응표본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구강상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영역에서 향상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에서는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불소, 구취영역에서 구강보건인식에서 향상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지수(DMFT index)변화 즉 우식경험 미처치 치아수 (DT index)가 줄어들고 우식경험 처치치아수 (FT index)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식의 변화는 행동의 영향을 주어 치주상태,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의 변화도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예방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되어야할 것이다.

일부 대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on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in some university students)

  • 임선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67-175
    • /
    • 2017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S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최종 29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강건강지식은 11.46점, 5점 척도인 구강건강 중요성은 1.71점, 구강건강 상태 2.78점, 구강건강 관심 2.52점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서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S대학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구강건강상태(${\beta}=-0.188$), 구강건강관심(${\beta}=-0.265$)이었다.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심이 높을수록 결국 구강건강증진행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지식을 높이고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게 하여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부산 일부지역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와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견해 (The Research on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of Health and Non-health Related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of Busan)

  • 김민지;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73-382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와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견해를 알아 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구강보건행태 중 학교내에서 칫솔질, 전문가 구강보건교육 경험 보건계열에서 많았다. 구강보건관련 정보를 얻는 경로는 남학생은 보건계열, 비보건계열 모두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가 가장 높았고, 여학생은 보건계열에서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 비보건계열은 치과 병(의)원에서가 가장 높았으며, 구강보건교육 필요는 남학생 중 보건계열은 76.4%, 비보건계열은 48.3%, 여학생은 보건계열은 80.3%, 비보건계열은 60.4%이었다. 구강보건교육 참여는 남학생 중 보건계열은 81.9%., 비보건계열은 68.1%, 여학생 중 보건계열은 84.8%, 비보건계열은 73.3%이었다. 선호하는 구강보건교육방법은 보건계열에서 칫솔질 시행 등 체험교육, 비보건계열은 치과의사 또는 치과위생사의 강의가 가장 높았다. 선호하는 구강보건교육 장소는 학교 내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전공과 성별에 따라 적절한 구강보건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하여 대학교 내 구강보건교육을 통하여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구강보건지식과 태도 및 행동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역사회 협의체 중심의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i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Community Child Center)

  • 염종화;김혜진;권명화;신선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4-222
    • /
    • 2014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건강생활 실천 활성화를 위해 일부 지역사회의 보건소와 지역사회 내 치위생학과 및 지역아동센터를 바른 구강건강생활 실천 을 도모할 수 있는 협의체로 구성하여 운영한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아동들의 구강건강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 고학년에 비해 저학년의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이는 프로그램 운영 후에서 동일한 양상을 나타냈다(p<0.05). 또한 프로그램 운영 후 저학년과 고학년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2.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구강보건인식 변화를 비교한 결과, '내가 무엇을 하든지 치아우식증은 생길 것이다'에 대한 인식은 프로그램 운영 전후 모두 긍정적인 태도가 높았다(p<0.05). 3. 탄산음료 섭취 비율은 프로그램 운영 전 저학년과 고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과자섭취 비율은 저학년의 경우 프로그램 운영 후 먹지 않는 비율이 높아졌고, 고학년의 경우 주 1~2회 먹는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4. PHP index의 변화는 프로그램 전에는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이 치면세균막 관리 능력이 우수하였으나(p<0.05), 프로그램 운영 후에는 학년별의 차이가 없이 모든 학년에서 관리능력이 향상되었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지역사회 협의체를 통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구강보건지식, 인식, 행동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므로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생활을 실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과 연계하여 지역사회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자원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문화가정 모친의 자녀 구강건강관리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management for child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김미;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07-81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behavior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were 303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ing children in childhoo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outcome, a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outcom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one-way ANOVA was used,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severity, self-efficacy,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disability that show attitud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Moreove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sensitivity, and the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that show attitud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ldren's oral health manage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erest in mother-and-child oral health, developing a mother-and-chil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argeted toward the oral health of the mother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oreover, it is essential to educat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ir children's oral health management, aiming to promote knowledge and to change attitudes and behavior.

경주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in Gyeong-Ju)

  • 최성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64
    • /
    • 2007
  •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의 구강관리를 위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점점 강조될 것이며, 보건의료 분야에서 학업을 하고 있으면서 미래에 구강업무를 담당할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조사 연구를 2007년3월부터 5월까지 3개월동안 경주지역 한 대학 치위생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스스로 답변을 기재하는 자기 기입방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노인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정도는 총점 $8.39{\pm}2.80$이였다. 2. 노인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총점 100점 만점에 $55.1{\pm}8.66$으로 중립적인 범위(50점에서 70점)내에 있었다. 3. 노인에 대한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평균 점수는 총점 85점 만점에 $28.7{\pm}6.17$으로 중립적인 범위(43점에서 60점)보다 낮아 부정적인 행동을 보였다. 4.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태도에서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경험의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행동에서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경험의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노인들에게 자원봉사 활동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행동을 하고 있었다.

  • PDF

중·고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태도·행동 및 교육요구도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 최혜숙;황선희;안세연;심수현;최부근;공영미;한수진;황윤숙;장기완;정영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33-546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mong 918 secondary students and their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oongbuk Province. Methods :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s,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Results : The girls proceeded the boys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head of the middle schoolers i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hose who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surpassed the others who didn't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p<0.01). The students hoped to be provided with oral health education by dental hygienists during regular classroom hours once per semester, 30 minutes to one hour at a once, and their favorite ways of oral health education were videotape watching and practice. As for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needs for that than the high schoolers, and the former's needs scores were above the average(p<0.05). Conclusions :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i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ir school system, gender an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but oral health education was provided without taking their differences into account. It was recommended, efficien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focusing on how to take care of and prevent oral diseases, and videotape watching and practice that were preferred by the secondary stud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grams.

부산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in Busan)

  • 강현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9-225
    • /
    • 2006
  •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의 구강관리를 위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점점 강조될 것이며, 보건의료 분야에서 학업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구강업무를 담당할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약 5개월동안 부산지역 한 대학 치위생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평균 연령은 20.9세 였으며, 종교는 무교가 52.6%였다. 2. 대학생의 노인관련특성에서 조부모님(외조부모님)생존여부에 있어서 살아계신다는 대학생이 69.2%로 많았으며, 노인과의 거주경험은 대학생들의 57.1%,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경험은 65.4%, 노인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은 34.6% 였다. 3. 노인에 대한 대학생의 지식정도는 총점은 $14.53{\pm}2.35$으로 전체 정답율은 69.9%였다. 4. 대학생들의 태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총점은 100점 만점에 63.12점(${\pm}7.22$) 으로 중립적인 범위(50점에서 70점)내에 있었다. 5. 대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평균 점수는 총점 85점 만점에 39.09점(${\pm}13.43$)으로 중립적인 범위(43점에서 60점)보다 낮아 부정적인 행동을 보였다. 6. 대학생들의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태도 점수의 차이에서는 노인과의 거주경험과 자원봉사활동경험의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7. 대학생들의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노인과의 거주경험 유무였고,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대학생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행동을 하고 있었다. 8. 대학생들의 지식과 태도는 아주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과 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행동과 태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들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으면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나 행동은 긍정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