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호처리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2초

변량계수모형을 이용한 체지방 실험자료에 관한 통계적 분석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at mass experimental data using random coefficient model)

  • 조진남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287-296
    • /
    • 2011
  • 36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체 지방 감소효과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 처리는 매일 섭취하는 식사종류 및 양에 대한 식사일지 작성과 카메라 폰으로 찍어 실험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매주상담을 받는 것이다. 실험관리자는 체 지방 및 관련된 자료를 일주일마다 측정하여 8주간의 반복측정자료를 얻었다. 이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혼합모형의 일종인 변량계수모형을 이용하여 추정 및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고정인자들은 처리 전체지방 값, 비만지수, 확장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및 시간이다. 처리 후 시간에 따른 체 지방 감소는 2차 함수의 관계가 성립된다. 변량인자인 개체효과와 개체와 시간과의 교호작용에서 1차 함수의 관계가 존재한다.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 지방 량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실험실시 8주 후에는 평균 2.1kg 감소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율무 시비량 차이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 (Effect of Fertilizer Levels on Mai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in Job′s Tears [Coix lachryma-iobi L. var. mayeur STAPF])

  • 권병선;이정일;박희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4-411
    • /
    • 1988
  • 율무 시비량에 따른 생태적 형질,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흑석종과 애원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분얼수, 엽수, 경직경의 모든 생육 특성은 혹석종, 애원종 모두 N-P$_2$O$_{5}$-K$_2$O=18-9-9 kg/10a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보다 비료량이 더 적거나 않은 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2. 백립중, 건경중, 종실중의 수량형질 역시 N-P$_2$O$_{5}$-K$_2$O=18-9-9 kg/10a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이보다 비료량이 더 적거나 않은 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3. 종실수량은 초장, 분얼수, 엽수, 경직경, 백립중 및 건경중과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4. 분산분석에서는 품종간, 시비량간, 품종과 시비량의 교호작용에서도 모두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냈다.

  • PDF

Aflatoxin과 비타민$D_3$ 급여(給與)가 브로일러 병아리의 증체(增体), 영양소이용율(營養素利用率), 경골무기물(脛骨無機物) 및 혈청성상(血淸性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eding Aflatoxin and Vitamin $D_3$ on Body Weight Gain, Nutrient Utilization, Tibia Mineral and Serum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 장윤환;전진석;여영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68-76
    • /
    • 1984
  • Alfatoxin과 비타민$D_3$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브로이러 병아리 336수(首)를 8구(區)로 나누고 aflatoxin $B_1$을 0 또는 0.5 ppm, 비타민$D_3$를 0, 500, 1,000 또는 1,500 IU/Kg 급여(給與)하는 3주간(週間)의 $2{\times}4$요인시험(要因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증체량(增體量),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 사료전환율(飼料轉換率), 정강이 색상(色相), 폐사율(斃死率) 및 각약증발생율(脚弱症發生率)에 있어서 각구간(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건물(乾物), 조단백질(粗蛋白質), 조지방(粗脂肪),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조회분(粗灰分)의 이용율(利用率)에 있어서 각(各) 구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조섬유(粗纖維)의 이용율(利用率)에 있어서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aflatoxin 급여구(給與區)가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P<.01). 그러나 비타민$D_3$ 첨가수준간(添加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aflatoxin과 비타민$D_3$간(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Ca, P 및 Na의 이용률(利用率)에 있어서 각(各) 구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보이지 않았으나 aflatoxin 급여구(給與區)의 Ca이용율(利用率)이 무급여구(無給與區)보다 약간 높았다. 탈지건조경골(脫脂乾燥脛骨)의 회분함량(灰分含量)은 각처리간(各處理間)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Ca함량(含量)에 있어서도 aflatoxin 0.5 ppm구(區)에서 무급여구(無給與區)보다 더 많았으며(P<.05), 비타민$D_3$를 더 많이 급여(給與)할수록 조금씩 높게 나타났다. Aflatoxin과 비타민$D_3$가 경골내(脛骨內) Ca을 가속적(加速的)으로 증가(增加)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P<.01). 그리고 P의 함량(含量)에 있어서도 aflatoxin 급여(給與)로 증가(增加)되었다(P<.05). 그러나 비타민$D_3$ 수준간(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없었다. Aflatoxin 급여(給與)는 Na함량(含量)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나 비타민$D_3$ 수준간(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나타나(P<.01) 1,000 IU/Kg수준(水準)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혈청중(血淸中)의 Ca농도(濃度)에 있어서 aflatoxin 급여구(給與區)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P<.01),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비타민$D_3$ 첨가수준(添加水準)이 높아질때 조금씩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이 인정(認定)되었다(P<.05). P의 함량(含量)은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역가(力價)에 있어서 aflatoxin 급여구(給與區)가 높은 값을 보였다(P<.01). 그리고 비타민$D_3$ 수준(水準)이 높아짐에 따라 조금씩 증가(增加)하는 추세(趨勢)를 보였으나 유의차(有意差)는 없었으며 Aflatoxin과 비타민$D_3$간(間)에는 교호작용(交互作用)이 없었다.

  • PDF

체중감량자료에 대한 적정 공분산형태모형 산출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covariance pattern model for the weight loss data)

  • 조진남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2호
    • /
    • pp.377-385
    • /
    • 2009
  • 서울시에 거주하는 25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식이요법에 대한 체중감량 효과를 비교하고자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는 그룹과 식이요법만 실시하는 그룹으로 나누어서, 8주간에 걸쳐서 2주 간격으로 측정을 실시하여 각 그룹별로 4회 반복측정실험자료를 얻었다. 이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반복측정에 관한 혼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처리별 Toeplitz 공분산형태가 가장 적절한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처리별 Toeplitz 공분산형태를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 식이요법 이전의 체중값과 시간의 차이에 따른 효과는 대단히 유의하지만, 처리와 시간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한 그룹의 학생들이 식이요법만 섭취한 그룹의 학생들보다 좀더 효과적인 체중감량의 효과가 있었음이 판명되었다.

  • PDF

잔디용 제초제 Flupoxam 과립수화제의 생물특성 소개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upoxam under Registration)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문병철;이관섭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2-219
    • /
    • 2011
  • 플루폭삼(flupoxam) 과립수화제는 새포아풀, 바랭이 등의 일년생 화본과 및 광엽잡초에 대해 95%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약효는 $2kg\;ha^{-1}$에서 3~4월 처리의 경우 120일 이상, 9~10월에 처리할 경우 180일 이상 지속된다. 또한 토양흡착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한 처리층이 형성되고 예초후 잔디 찌꺼기(thatch) 유무에 관계없이 잡초방제 효과가 100%이었다.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디니트로아니린계, 피리딘계, 카바메이트계) 등과는 다른 새로운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어 약제의 교호살포에 효과적이다. 주변 조경수에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상증상이 없었다.

염 스트레스에 따른 감자 품종 (Solanum tuberosum L.) 간 생육, 수량 및 proline 함량 변이 (Effect of Salinity Stress on Growth, Yield, and Proline Accumulation of Cultivated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 임주성;조지홍;조광수;장동칠;진용익;유홍섭;김화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18-829
    • /
    • 2016
  • 염처리(electrical conductivity, EC 1.0, 4.0, $8.0dS{\cdot}m^{-1}$)에 따른 감자 품종들의 생장, 수량성 및 염 저항성을 이해하고자 국내외 감자 18품종을 각 처리 수준별 염상토 및 염수로 관수 재배하였다. 경, 엽, 뿌리 및 chlorophyll, 수량성, proline 함량을 조사하여 ANOVA 및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경수와 경두께는 염처리의 영향이 없었던 반면, 경장과 지상부 무게는 염에 매우 민감하였다. 특히, 지상부 무게는 대부분 품종에서 고염일수록 감소하였으나 일부 품종('대지', '고운', '하령', 'LT-8')에서는 오히려 더 증가하여 품종 간 차이가 컸다. 엽수, 엽면적, 엽중은 염처리 및 품종${\times}$염의 교호작용에 의해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았으며, 뿌리 생장은 염처리 단일 요인에 대해서는 유의성이 높았으나 품종${\times}$염의 교호작용에 대한 유의성은 없었다. 총 chlorophyll과 chlorophyll a 함량은 염에 민감하였던 반면 품종${\times}$염의 영향은 없었으며, chlorophyll b는 이와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괴경수, 평균괴경무게, 괴경수량 모두 염에 매우 민감하였으며, 괴경수량의 경우, '수미', '크로다', '로마나', '두백'이 지상부 생장이 왕성했던 품종들보다 더 양호하였다. Proline 함량은 염처리로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생장이 양호한 품종에서 함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염 저항성 평가 지표로써 엽수, 엽면적, 엽중 및 뿌리길이는 괴경수량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어 유용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proline 함량은 염수준이 높을수록 괴경수량과 부의 상관성이 높아 활용 지표로의 효용성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감자 품종들 간 염 저항성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염수준이 높을수록 지상부 생장과 괴경 수량성 간 상관성이 낮아 수량이 중요한 농업적 측면에서는 염 저항성 판단 시 지상부 생장보다 상대적인 수량감소율을 활용하는 것이 더 실용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수미', '크로다', '로마나', '두백' 등이 염 저항성 감자 육성을 위한 교배재료 및 염이 문제되는 경작지에서 감자의 지속생산을 위하여 유망할 것으로 생각된다.

혐기 및 2단 교호(交互) 간헐포기조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에 관한 연구: 파일럿 규모의 실험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using the Combination of Anaerobic and Two Intermittent Aeration Tanks Operated Alternately: A Pilot-scale Study)

  • 최용수;홍석원;권기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9-274
    • /
    • 2004
  • The performance of a newly design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equipped with an anaerobic and two intermittent aeration tanks operated alternately was investig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several types of cyclic operating schedules with different aeration and non aeration time were examined for the optimization. At all modes, the removals of organic matter and SS were highly achieved. With respect to T-N removal, however, the cycle length for aeration on/off affected the efficiencies. At the optimal operating mode, the ORP bending point indicating the disappearance of nitrate was observed. Considering the influent wastewater characteristics and cyclic operating schedules, it can be suggested that T-P removal is much more BOD/T-P ratio and/or its load dependant rather than the aeration on/off time. The results obtained from pilot-scale test showe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is alternating process through an omission of nitrate recycle and operational flexibility against influent load variations when comparing with other continuous flow processes.

오이에서 살충제 계열내 교호처리에 의한 온실가루이 방제 체계 (Control System of Whitefly, Trialeuodes vaporariorum, in Cucumber by the Alternate Application of Insecticides within Each Conventional Group)

  • 정부근;손경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7-335
    • /
    • 2001
  • 원예작물 중 온실가루이의 발생이 가장 심한 오이를 대상작물로 선정하여 온실가루이에 대한 기존의 살충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체계를 수립하기 위하여, 중후기에 방제효과와 잔효독성, 엽중 농약 잔류량 조사, 방제횟수 절감, 농약 저항성 발달 및 오이의 수량 등 온실가루이 방제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온실가루이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살충제는 furathiocarb였고 특히 이 약제는 carbofuran으로 더욱 강력한 활성화 과정을 거치면서 온실가루이의 저항성 발달이 비교적 더디게 나타났고 따라서 방제효과가 길고 결과적으로 방제횟수도 줄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는 달리 기존의 다른 약제들에 대해서는 합성피레스로이드계의 약제, deltamethrin, etopenprox, zetacypermethrin 등에 대해서는 저항성 발달이 빨리 나타났고, 일부 유기인계 약제, methidathion, phenthoate, profenofos 등의 경우에는 살포 후 분해가 빨리되어 약효의 상실이 빨라짐으로 인해서 결과적으로 살포회수를 늘여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존 살충제들에 대한 저항성 온실가루이의 발생으로 방제가 곤란한 경우에 acetamiprid가 대체 약제로서 유망하였다.

  • PDF

내화처리(耐火處理) 파티클보오드의 COMPLY접착(接着)이 휨강도(強度)와 전단강도(剪斷強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onding on Bending and Shear Strength of COMPLY Composed of Fire Retardant Treated Particleboard)

  • 이필우;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26-32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COMPLY의 core에 사용(使用)되는 파티클보오드를 내수처리(耐火處理)파티클보오드로 사용(使用)하였을 때 COMPLY의 강도적(強度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하고져 실시(實施)하였다. Ammonium sulfate의 경우 COMPLY의 MOR은 약액농도(藥液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약액농도(藥液濃度)가 10%까지는 증가(增加)하나 그 이후(以後)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으며 Minalith의 경우는 ammonium sulfate의 경우와는 반대경향(反對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COMPLY의 MOE는 약액농도(藥液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지만 약액농도간(藥液濃度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COMPLY의 전단강도(剪斷強度)는 약제(藥劑)의 처리농도증가(處理濃度增加)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으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으며 ammonium sulfate보다는 Minalith가 더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COMPLY의 목피율(木破率)은 15%농도(濃度)까지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이고 있으나 그 이후(以後)는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고 있다. 평행(平行) 및 교호적층재(交互的層材)의 결과(結果)는 COMPLY 결과(結果)보다 대체로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으나 무처리(無處理)파티클보오드의 결과(結果)는 저조(低調)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약제처리(藥劑處理) COMPLY의 MOR, MOE는 무처리(無處理) 파티클보오드의 결과(結果)보다 136%, 170%로 각각(各各) 증가(增加)하였다. 따라서 내수처리(耐火處理)로 인(因)한 파티클보오드의 강도감소현상(強度減少現像)은 COMPLY를 제조(製造)함으로서 강도적(強度的) 특성(性質)을 개선(改善)시킬 수 있다.

  • PDF

방목초지에서 우분 퇴비 시용이 목초생산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Forage Productivity and Soil Characteristics of Pasture)

  • 황경준;고서봉;박형수;박남건;고문석;김문철;송상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2
    • /
    • 2007
  • 본 연구는 2003년 8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의 기존 혼파 방목초지(해발 200m)에서 실시하였으며 방목 혼파초지에 우분퇴비 시용에 따른 사초생산성 및 토양 개선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화학비료 단용구, 우분퇴비 단용구, 화학 및 우분퇴비의 시용수준, 화학비료와 퇴비의 연차별 교호시용 등의 처리를 두어 우분퇴비 시용이 혼파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토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간 총건물수량을 비교해보면 시험1년차에는 T1처리구가 11,342 kg/ha, 시험2년차에는 T5처리구가 13,468kg/ha, 3년차는 T6처리구가 10,724kg/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평균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가 11,486kg/ha으로 가장 높은 건물생산성을 보였지만 처리 간 유의성은 없었다. 처리별 토양성분 변화는 퇴비구에서 화학비료구 보다 유효인산, 유기물 함량 등이 증가를 보임으로서 토양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목초의 식생구성율은 처리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봄철에는 화본과가 다소 높다가 여름철이 지나면서 두과와 잡초의 비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