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합 변화

검색결과 566건 처리시간 0.027초

Micro thread를 포함한 GSII RBM임플란트(Osstem)의 후향적 임상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GS II Implant(Osstem) with an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 지영덕;이재환;오상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417-429
    • /
    • 2009
  • 골유착성 임플란트가 소개된 이후로 부분 및 무치악 부위에서 사용되어 높은 성공률과 함께 예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는 치료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개발된 임플란트에 대해서는 임상적이고 객관적인 연구 자료가 불충분하다. 본 연구에서는 31명의 환자에게서 임플란트 경부에 미세나사를 지닌 임플란트 식립 후 평균 21개월의 기간 동안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한 조사를 시행하였고 부하가 가해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12개월 간 변연골의 변화를 파노라마사진을 이용하여 측정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총 96개의 임플란트에서 3개의 임플란트가 실패하여 96.9%의 생존율을 보였다. 50대 환자에서 85.7%로 가장 작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생존율 및 변연골 흡수량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았다. 상악에서는 95.7% 하악에서는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골이식 여부, 보철물의 종류, 매식체의 길이 및 직경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능 부하 후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은 단일 금관 보철물이 연결 고정 보철물에 비해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나 임플란트의 직경, 길이, 골이식의 유무, 식립위치에 의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경부에 미세나사를 지닌 임플란트 식립 후에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은 비교적 적게 일어났으며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관찰될 수 있었고 이에 따른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잇몸 박피술 없는 치은 미백을 위한 비글에서 365 nm LED 레이저 치료 (365 nm LED laser treatment on beagle for gingival whitening without gum dermabrasion)

  • 이성호;김륜경;서나리;임호경;변수환;임영준;김성민;이종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2호
    • /
    • pp.117-122
    • /
    • 2016
  • 목적: 치은 미백은 치과치료의 목적으로 심미적 장애를 위한 치료에 가깝다. 기존의 치은미백술은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박피술에 의한 치료를 했왔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시술 후 감염 및 통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우리는 저출력 LED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은미백술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돼지고기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출력전력, 온도변화, 피부 변성 등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15 - 20 kg 비글의 구강내 점막 색소에 비손 365 nm LED 레이저를 15분씩, 1 - 2주간 1, 2회씩 각각 조사하였다.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하여 색소의 손실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365 nm LED 레이저 조사 부위의 멜라닌 색소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65 nm LED 레이저는 수술적 기술 및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탈색화 효과를 대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양악 수술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BIMAXILLARY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홍주;최홍란;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284-29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oft tissue changes using twent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ho treated with bimaxillary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dentofacial deformitie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impaction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1), the other was downward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2).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ne year cephalometric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s to UI, Li to LI, sPog to Pog were 1:0.60, 1:0.79, 1:0.47, 1:0.63 in group 1 respectively, and 1:0.59, 1:0.48, 1:0.83, 1:1.09 in group 2 respectively. Soft tissue changes were highly predictable at the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area. 2. The ratio of vertic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i to LI were 1:0.72, 1:0.06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s to hard tissue movements at LI(h) was 1:-0.82 in group 1 and at UI(h), LI(h) were 1:0.48, 1:0.01 in group 2. These ratios of group 1 were greater than those of group 2. 4. The direction of horizontal change of Li was the same as that of hard tissue change.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i to LI was 1:0.47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changes of upper lip thickness and length were -1.6mm, -1.4mm in group 1, and -1mm, -2.7mm in group 2. 6. The ratios of thickness of upper lip to ANS, UI, LI were 1:-0.83, 1:-0.37, 1:0.11 in group 1. There was similar trend in group 2,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iction of changes in soft tissue of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were 79%, 47%, and 63% in group 1, and 48%, 83%, and 109% in group 2. There was a tendency to decrease in thickness and increase in length of the upper lip.

  • PDF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동반한 악교정수술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하악기능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 이형식;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88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Lateral cephalogram, M.K.G., E.M.G. recordings were obtained immediately before surgery, and 2 months and 8 months after surgery. Among the patients who received orthognathic surgery, 19(13 men, 6 wom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time interval differences were performed with the SPSS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opening 349.7mm/sec, closing 313.1mm/sec),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in the skeletal Class III surger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opening 232.9mm/sec, closing 206.9mm/sec), but the values tended to increase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opening 280.9 mm/sec, closing 319.1mm/sec). 2.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61.7 mm/sec),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erminal tooth contact increased in the 2 months (72mm/sec) and 8 months (105.7mm/sec) postoperative groups. 3. In the mean value of vertical freeway spa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4. In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the maximum anterio-posterior movement from centric-occlusion, and the lateral deviation from centric oc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the pre-operative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s). 5. The mature swallowing pattern was 58% in the pre-operative group, but 90%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group, and 63%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6. In th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during the rest position. However, during cotton roll clench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 PDF

기능 노출 기간에 따른 골 유착성 임플란트의 촉각 감지도와 최대 교합력의 변화 (OCCLUSAL FORCE AND ORAL TACTILE SENSIBILITY MEASURED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ITH BR NEMARK IMPLANTS AND NATURAL TEETH: A CLINICAL STUDY)

  • 정복영;전영식;한동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3-41
    • /
    • 1999
  • During the previous several decades the osseointegrated implant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ideal therapy for the fully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lthough the research on the biocompatibility of osseointegration, the oral tactile function, and the histo-neurologic study had been performed, the change of the oral tactile sensibility and maximal occlusal force according to the postinsertion time of implant prostheses has not been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ral tactile sensibility and maximal occlusal force of implant pros-theses to natural teeth according to the specific postinsertion time intervals. The fifty seven patients treated with $Br{\aa}nemark$ implants during the recent seven yea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oral tactile sensibility and maximal occlusal force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postinsertion time (${\leqq}6\;months,\;{\leqq}12\;{\leqq}\;18\;months\;{\leqq}\;24\;months,\;and\;{\geqq}20\;months$) 1. The passive tactile threshold of implants was higher than 6-7 times when comparing to natural teeth(P<0.05) 2. The absolute pressure threshold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for the passive tactile sensibility had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 insertion time 13-18 months group and ha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 insertion time over 25 months group (P<0.05) 3. 50% limit thickness and 100% absolute thickness for the active tactile sensibility had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insertion time 7-12 months group ($AT_{50}:P<0.005,\;AT_{100}:P<0.05$) 4. The maximal occlusal force of the implants prostheses had decreased when comparing with natural teeth in the postinsertion time 1-6 months group(P<0.05) and after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lant prostheses and natural teeth(P<0.05) 5. Maximal occlusal force according to the postinsertion time ha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3-18 months group (P<0.05) after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6.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oral tactile sensibility test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P_{H:r}=0.39,\;P_{v:r}=0.41$)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maximal occlusal force, age and active tactile sensibility 7. According to the results or the questionnaire, 76.6%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unction and 96.7%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nsibility. In conclusion oral tactile sensibility and maximal occlusal force of implants have changed with the postinsertion time. Oral tactile function of implan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 teeth, but for the maximal occlusal forc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mplants and natural teeth.

  • PDF

치주재생 치료를 받은 치아의 동요도와 다른 치주임상적 지표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ooth Mobility and other Periodontal Clinical Parameters of Teethhaving Periodontal Regenerative Treatment)

  • 손병찬;김성조;최점일;이주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37-46
    • /
    • 2012
  • 치주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치주질환으로 상실된 치주조직의 재생이라고 볼 수 있다. 치주재생술식 후 회복을 평가하는 단계에서, 탐침과정이 초기 회복기의 신생조직에 위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치아동요도는 치주조직이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아동요도와 다른 임상지표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치아동요도를 측정하는 Periotest$^{(R)}$가 재생술식 후 초기 회복기에 탐침의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치주재생수술을 받은 25명의 환자, 29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착수준, 치주낭 심도, 치아동요도 (Periotest$^{(R)}$ value PTV)등의 임상지표를 연구시작단계, 시술 후 6개월, 12개월에 측정하였다. 재생수술 후 모든 임상지표들이 개선되었고 (p<0.05), 각각의 시기에 부착수준, 탐침깊이, 치은퇴축과 PTV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또한 각 시기 사이의 임상지표와 PTV변화량의 상관관계에서 치주낭깊이와 부착수준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치주재생술식 이후 임상지표들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생술식 이후 회복기에 임상지표의 측정에 PTV가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 지대주나사 코팅이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ental Implant Abutment Screw Coating Materials on Joint Stability)

  • 임현필;박영선;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숙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157-169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코팅처리의 기계적 성질과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코팅처리가 고정체와의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Megagen 임플란트 시스템과 직경 15 mm, 높이 1 mm의 티타늄원판을 사용하였다. 지대주 나사와 원판에 TiN, TiCN, 및 TiC를 코팅하여 실험군으로, 코팅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지대주나사를 32 Ncm로 체결한 후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측정하고, 10만 번씩 저작 모방 시험을 실시하여 풀림회전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임회전각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크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풀림회전력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저작 모방 시험후 코팅한 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풀림 회전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풀림회전력은 건조상태와 습윤상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TiC 코팅군은 저작 모방 시험 전에는 풀림회전력이 낮았지만 저작 모방 시험 후에는 낮은 마찰계수로 인한 높은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가져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결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교합장애에 의한 백서 하악골의 형태적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ORPHOLOGIC CHANGES OF RAT MANDIBLE FOLLOWING OCCLUSAL INTERFERENCE)

  • 김재승;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5-294
    • /
    • 1994
  • The occlusal interference during adolescent period makes some effects on growth and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s. And so, if we could predict the the timing and results of orthodontic treatment who have occlusal interference during adolescent period, it may be helpfu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orthodontic treatment. For about th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osterolateral displacement by the metal casting crown with inclined pathway on the mandibular condyle and morphologic changes of mandible in the ra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thirty six Sprague-Dawley male rats of 8 weeks old. Eight of them was used a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1 ( continuous appliance wearing group ) was composed of sixteen and experimental group 2 ( appliance removal group after worn the appliances during 3 months ) was composed of remaining twelve. The animals of experimental grouop 1 were sacrificed after 1, 2, 3, 6 months from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nd experimental group 2 were sacrificed 1, 2, 3 months after removal of the appliance from worn the appliance during 3 months. Both of mandible and temporomandibular joint were observed histologically and radiolog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experimental group 1, the mandibular length and lower posterior height were decreased with experimental period, while the lower anterior height was increased, and the curvature of lower incisors and lingual inclination of anterior alveolar bone were profoun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In experimental group 1, both of the thickness of the condylar cartilage were thinned in the posterosuperior region, and this phenomenon was more prominent on right than left in 3-Mo experimental period and both sides were marked thinned in 6-Mo experimental period. 3. In experimental group 2, the lower anterior height was low and lower posterior height was high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1, and the curvature of lower incisors and lingual inclination of anterior alveolar bone were recovered to control group. 4. In experimental group 2, both of the thickness of the condylar cartilage were thickened in the posterosuperior region, and this phenomenon was more prominent with experimental period. 5. In experimental group 2, the mandibular length was short, lower anterior height was hight, the curvature of lower incisors were profound, and in histologically, both of the thickness of the condylar cartilage were thickened in the posterosuperior region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s shown above, the occlusal interfemce affected the condylar cartilage, curvature of lower incisor, inclination of anterior alveolar bone, mandibular length, and anterior and posterior height. When the interference was removed, significant recover was found in condylar cartilage, mandibular length, and posterior height. Although no significance was found, other items of measurement showed trends for recovery.

  • PDF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TMJ)

  • 손대은;옥승준;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227-239
    • /
    • 2007
  •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01명과 저작근장애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74명의 진료기록부를 통해 초진 시와 치료 종결 시의 증상, 시행된 치료방법, 치료기간, 치료횟수에 따른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초진 시 방사선 사진, 전산화 단층사진 및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 관절잡음의 치료 전후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관절염군은 보존적 치료에 의해서 치료 결과가 좋았으나, 치료 종결 시 근육장애군에 비해서 증상의 개선이 미흡하였다. 2. 골관절염군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경두개 촬영사진의 양성도는 60%정도였으나, 전산화 단층사진과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는 90%이상이었다. 3. 치료 종결 시의 골관절염군의 관절잡음은 초진 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골관절염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 교합안정장치로, 근육장애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으로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5. 골관절염군은 6개월에서 2년의, 근육장애군은 6개월 미만의 치료가 필요하였다. 6. 골관절염군은 10회 이상으로, 근육장애군은 10회 미만의 치료로도 예후가 좋았다.

구개의 크기 및 용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ZE AND VOLUME OF THE PALATE)

  • 백병주;김미라;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7-40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유치열기 아동, 영구치열기의 구개의 폭, 길이, 구개의 용적, 구개 용적과 구개면적의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여 남녀간의 차이, 유치열과 영구치열과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구개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정상교합의 유치열기 아동(Hellman dental age II A)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과 영구치열기의 성인(Hellman dental age IV A) 86명(남자 43명, 여자 43명), 총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한 상악의 석고모형을 이용하였다. 3차원 laser scanner(DS4060, LDI, U.S.A.), cloud data를 이용하여, polygonization, section curve와 loft surface, 표준평면, 수직평면 등을 얻은 후에 구개용적, 구개의 폭, 구개의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Surfacer 10.0, Imageware, U.S.A). 상수의 결정을 위해 유치열, 영구치열을 남녀별로 구분하여 결과를 구하였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표준평면과 각 치아, 치아 및 구개사이의 측정점들간의 거리는 영구치열에서 더 멀었다. 2. 영구치열에서의 구개용적이 유치열에서 보다 3배이상 컸으며 특히 영구치열에서는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측정되었다(p<0.05). 3. 구개폭은 유치열과 영구치열에서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지만 구개길이는 영구치열에서만 유의성 있게 컸다(p<0.05). 4. 유치열과 영구치열,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후구개폭과 총구개길이가 이루는 면적 이 구개용적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0.401, r=0.450, r=0.678, r=0.65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