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합접촉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중심교합(中心咬合)에 있어서 교합면(咬合面) 접촉점수(接觸點數)에 관(關)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A Clinical Study on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in Centric Occlusion)

  • 이병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1
    • /
    • 196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s in centric occlusion. The 50 strictly selected subjects, who have good natural dentition and occlusion, were impressioned with Alginate Impression material, and dental stone models were madel. After transfering the models from mouth to Hanau Articulator Model H2 by means of SM type Face-Bow, condylar guidances were registered, red articulating papers($13{\mu}$ in thickness) were inserted between upper and lower posterior teeth, and the red marked points and lines were counted as occlusal contact points. 1.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in centric occlusion were 1st Molars 2nd Molars, 2nd Premolars and 1st Premolars in order. 2.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of right side showed comparatively much more than those of left side. 3.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of upper in Premolar area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lower, and in Molar area were the reverse. 4. The total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in centric occlusion were approximately 105 points.

  • PDF

측방유도형태 및 저작습관이 저작근 활성도 및 교합접촉에 미치는 영향 (EFECTS OF LATERAL GUIDANCE AND CHEWING PATTERN ON MASTICATORY MUSCLE ACTIVITY AND OCCLUSAL CONTACT)

  • 고준원;정영완;조혜원;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98-614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ateral guidance pattern and chewing pattern on masticatory muscle activity and occlusal contact pattern. Twenty-fiv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hirty students without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Electromyographic examination and occlusal contact examination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U.S.A.) and T-Scan System(Tekscan Co., USA).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MG activity of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 muscle in patient group with canine guidance was higher than with non-canine guid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2. The EMG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 muscle in normal group with non-canine guidance was higher at preferred chewing side than at opposite side (p<0.05). 3. The EMG activity of masseter muscle was higher in normal group than in patient group (p<0.05). 4.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in patient group with canine guidance was higher than with non-canine guid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5. The occlusal contact force at preferred chewing side was higher in patient group than in normal group(p<0.05).

  • PDF

저작습관에 따른 교합접촉의 변화양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hewing Side Preference on the Pattern of Occlusal Contacts)

  • Sun-Oh Kwon;Kyung-Soo H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5권1호
    • /
    • pp.117-124
    • /
    • 1991
  •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occlusal contact pattern according to chewing side preference. The author selected 59 dental students (mean age 23.6 years) who had no signs and symptoms of masticatory disorder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is, bilateral chewing side group and unilateral chewing side group, respectively. For recording, T-Scan System(Teksan Inc., USA) was used and the recorded occlusal contacts were examined as to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s, points distribution in dental arch, time sequence and force snapsho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 s: 1. Total number of occlusal contacts were more in unilateral chewing side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between right and left side or between chewing and less-chewing side in all two groups. 2. All items related to time sequenc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ny case. 3. Unilateral chewing side group had more occlusal contact force than bilateral group, especially in chewing side. From the above finding,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re was occlusal unbalance in unilateral chewing side group. 4. Chewing side preference would possibly have more effects on the occurrence rate of anterior tooth contact that the rate of prolonged their contact but proved.

  • PDF

교합접촉관계에 관한 임상적 연구-중심위교합에 관해서- (A Clinical Study on the Occlusal Contact Relation in Retruded Position)

  • 김재수;한무현;최부병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7권11호통권126호
    • /
    • pp.849-853
    • /
    • 1979
  •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and he occlusal relation were investigated in dental students who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normal occlusion and normal function of stomatognathic system. Silicone-Black Bites obtained from fifty subjects were analyzed on their white models and occlusal contacts were traced on models direct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evide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between right and left sides 2. In the retruded position the numbers of occlusal contact points were $5.96{\pm}3.35$ in the upper jaws and $6.12{\pm}3.52$ in the lower jaws. 3. In the retruded position no occlusal contact point was found on the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of upper and lower jaws. 4. Occlusal contact points were found almost on second molars of upper and lower jaws in the retruded position.

  • PDF

교합접촉의 변화가 저작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OCCLUSAL CHANGE ON THE MASTICATORY MUSCLE ACTIVITY)

  • 문상빈;윤민의;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5-182
    • /
    • 199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cclusal change on the masticatory muscle activity. 8 students without any symptom of T.M.J. dysfunction, any history of prosthodontic or orthodontic treatment on dental college of WonKwang Univ.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ctivity of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 muscles were measured by bioelectric processor(EM2, Myotronics, Inc., U.S.A.) during voluntary maximal clenching on natural teeth, by splint with bilateral posterior surface contact, by splint with unilateral posterior surface contact, and by splint without unilateral posterior teeth contac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oss of posterior contact on noe side resulted in change of the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during clenching on ipsilateral side, but there was no change of muscle activity on contralateral side. 2. The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during clenching were not affected by the pattern of occlusal contact. 3.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iuscle during clenching by natural teeth and by occlusal splint.

  • PDF

교합접촉 형태에 따른 교근활성의 평가 (Evaluation of Masseter Muscle Activity by Occlusal tooth Contact Patterns)

  • 김희중;김진아;민정범;오상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1호
    • /
    • pp.11-19
    • /
    • 2007
  • There are have been reports that the distribution of electromyographical(EMG) activity is determined in a predictable manner by both the location and number of occlusal contacts. However, these reports placed an emphasis on whole dentition. Inclined plane contacts in the frontal plane are classified as A-, B- or C-types.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occlusal tooth contact patterns and EMG activity of masseter muscle during maximum voluntary clenching. Methods: Fifteen healthy human subjects(Mean age; 25.3 year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crylic resin overlays were fabricated for upper 2nd premolars and 1st molars bilaterally, and offered 3 types(A-, B- and AB- type contact). EMG activity of the masseter muscles was recorded bilaterally during maximum voluntary clench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one-way ANOVA. Results: The group with a A-type contact showed a statistically lower EMG activity of masseter muscle than that of natural group(p<0.05) and that of B- and AB- type groups(p<0.01) on both upper 2nd premolars and upper 1st molar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cclusal tooth contact patterns have an influence on EMG activity of masseter muscle during maximum voluntary clenching.

임플란트 보철 후의 식편압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인접치와 대합치 (Considerations for minimizing food impaction after implant prosthesis: Adjacent and antagonistic teeth)

  • 조리라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7-55
    • /
    • 2022
  • 임플란트 수복 후 발생하는 인접면 공간개방으로 인한 식편압입은 임플란트를 시술한 환자에게 매우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는 임플란트와 치아의 움직임 기전이 달라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30-60% 정도 발생하는데, 기여요인으로는 악골(하악), 부위(구치부), 인접치(실활치) 및 대합치(자연치 또는 임플란트) 등이 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할 수는 없으나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급적 이상적인 인접접촉을 가지도록 상부 1/3에 협설로 인접치와 대칭적인 인접면 형태를 만들어 주기 위해 오목한 형태나 하방이 풍융한 인접치 형태를 수정하고 수복할 때는 다른 조건을 수정하여 변연융선의 높이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불규칙한 교합평면은 예후를 나쁘게 하는 원인이므로 정출된 대합치를 수정하고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원심협측 교두를 수정함으로써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회복함으로써 식편압입 현상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임플란트 매식체 파절로 제거된 임플란트 골계면의 조직학적 분석 증례 (Histological analysis of explanted implant-bone interface: a case report)

  • 김대동;강대영;조인우;송영균;신현승;박정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35-243
    • /
    • 2019
  • 골유착은 기능 하중을 받는 임플란트에 치조골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라고 보고되었다. 골유착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고 그 중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은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서만 측정이 가능하지만 인간에서 성공적으로 골유착을 형성한 임플란트에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한 연구는 많지 않다. 임플란트가 부적절한 위치에 식립되었거나, 식립 후 통증이나 감각 장애가 있는 경우, 임플란트 구조물이 파절된 경우와 같이 임플란트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서만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수 있기에 이는 매우 특별한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3년간의 기능 하중을 받은 후 매식체 파절로 제거된 임플란트에서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직 형태학적 연구 결과 임플란트 전체를 기준으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한 경우 대비 치조제 하부만 포함하여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한 경우 각각 접촉 비율은 53.1%, 70.9%로 나타났다. 본 증례를 통해 비록 임플란트는 파절되었으나 생체 내에서 높은 수치의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이 확인되었다.

이악물기 시 발생되는 치아변형에 대한 구강보호장치의 역할 (Effect of Mouthguard on Tooth Distortion During Clenching)

  • 이윤;최대균;권긍록;이성복;노관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05-417
    • /
    • 2010
  • 그 동안 많은 연구와 실험에서 운동 중 외상에 대한 마우스가드의 악골, 치아 및 구강조직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치아 및 구강조직의 장애는 강한 외상 외에도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이악물기와 같은 장애로도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는 주로 구치부의 병적인 교모, 치조골 흡수, 치아 상실 및 교합의 붕괴로 나타난다. 마우스가드의 장착이 이러한 장애를 예방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생각되나 그 효과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악물기에 의해 치아에 발생되는 뒤틀림을 마우스가드가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 하였다. 7명의 건강한 성인의 치료경험이 없는 하악 제1대구치를 피검치로 선정하고 이축(bi-axial)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치아 협면에 접착 하였다. load cell에 의해 측정된 최대 교합력을 기준으로 최초 치아 접촉, 중간 강도의 교합력, 최대 강도의 교합력으로 이악물기 강도를 3단계로 구분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세 단계의 이악물기 강도에서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측정하고, 마우스가드 장착 후에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과 후 각각 세단계의 이악물기 단계 사이의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후에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 (Wilcoxon signed rank test) 9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분석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마우스 장착 후에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모든 피검자에서 이 악물기 강도에 상관없이 마우스가드 장착으로 스트레인이 감소하였다. 치아의 최초 접촉 시에만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최대 이악물기 강도에서는 치아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이 50-90% 감소하였다. 마우스가드는 이 악물기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의 뒤틀림을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마우스가드는 운동 중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발생되는 이 악물기에 의한 치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의 크기와 형태 (Size and form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 이성준;백승학;김상철;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치열궁간의 형태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I급 114명, II급 119명, III급 135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 모형의 교합면을 복사한 후 13개의 접촉점 중에서 가장 협측면으로 위치한 부분을 digitize 하였고 각 치아의 브라켓 위치에 해당하는 점을 하악치아의 두께에 의거하여 4개의 선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square ovoid tapered형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조사한 결과 Angle 분류와 남녀 성별에 따른 특별한 치열궁 형태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특정 치열궁 형태의 빈도는 Angle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열궁 크기의 계측항목에서는 대구치간 폭경에서만 남녀 성별 차이를 보였으며, 치열궁 크기에 있어서 I급과 III급. II급 부정교합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열궁 형태의 분포는 I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square ovoid, tapered 형태 순이었고. II급 부정교합군은 square, tapered ovoid 형태 순이었다 치열궁 형태의 빈도분포에 있어서는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