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합재건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의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계측을 중심으로)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LTERA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 박규태;이상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1호
    • /
    • pp.25-34
    • /
    • 1997
  • This study was made with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of 28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at were performed to setback surgery of mandible. The 28 patients were selected by four standards as follows. 1) Set-back amount of mandible is below 10 mm 2) No extrusion and intrusion of posterior tooth or alteration of interincisial angle at period of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3) Change of mesial segment location of mandible on lateral cephalometrics 4) No genioplasty And 28 patients were divided to three group(1,2,3 group) by degree of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to Burstone's horizontal plane.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hich of 1 group was smaller than $7^{\circ}$ and 2 group was between $7^{\circ}$ to $15^{\circ}$ and 3 group was larger than $15^{\cir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larger, the degree of mandibular prognathism was not severe. 2. On comparsion of preoperative and immediate postoperative cephalometric analysis, specific relationship of occlusal plane angle and set-back amount of mandible was not present. 3.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smaller, the alteration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increased tendency.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larger, the alteration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decreased tendency. 4. The relapsed degree of B point distance to Vertical plane was not relationship to the degree of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 PDF

골격성 3급 부정 교합을 지닌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의 복합적 치료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FOR AMELOGENESIS IMPERFECTA PATIENT WITH SKELETAL C III MALOCCLUSION)

  • 오정환;김학렬;황윤태;김여갑;류동목;이백수;윤병욱;전준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91-96
    • /
    • 2007
  •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전치부 개교합과 같은 골격적인 문제를 자주 동반하며, 이러한 경우 구강악안면외과, 보철과, 보존과, 교정과 의사들이 함께 치료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법랑질의 약화와 치아 우식증 등의 이유로 일반적인 교정치료를 시행할 수 없어 보철적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보존적, 보철적 방법을 이용하여 술전 교정과 같은 안정된 교합을 형성하였다.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고 SAS 등을 이용하여 악간고정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Hemi-Maxillectomy 부분무치악 환자의 Swing-Lock Attachment를 이용한 Obturator 수복 증례 (A case of Obturator using Swing-lock Attachment for Par tial Edentulous Patient with Hemi-Maxillectomy Patient)

  • 오병두;임종화;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2010
  • 상악의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로서 상악골 절제술이 시행되며 필연적으로 이것은 환자 구개부에 결손부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안모의 변형, 연하, 저작, 발음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악골 절제술 후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외과적 재건 또는 보철적 치료가 치료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상악골 절제술 환자에서 구강악안면 재건의 방법으로 구개폐쇄장치가 더 선호된다. 본 증례는 Aramany 분류 II급에 해당하는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구개폐쇄장치의 유지와 안정을 얻고 모든 기존의 금관수복물을 유지할 수 있는 swing-lock attachment를 사용하여 수복한 임상과정 및 결과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금속 이식물을 이용한 악관절 강직증의 치험례 (RECONSTRUCTION OF UNILATERAL TMJ ANKYLOSIS WITH METALLIC CONDYLAR PROSTHESIS;REPORT OF A CASE)

  • 이동근;임창준;강문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40-46
    • /
    • 1989
  • 출생 전${\cdot}$후 악관절의 외상 또는 감염은 과두 성장을 방해하며 편측으로 발생하는 경우 하악골의 비대칭 성장을 초래하여 심한 안모 변형과 부정교합을 유발하거나 악관절 유착의 주된 원인이 된다. 역사적으로 관절 유착은 과두절단술에서부터 연골이식, 진피이식, 금속과두 이식, 관절 성형술, 관절과 이식물 삽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치료되어 왔으며 하악운동이 보장되고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데는 어떤 술식이라도 만족스런 결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 이에 저자는 편측성 악관절 강직증 및 비대칭 안모를 가진 환자에서 과두절제술 후 금속 과두이식을 이용한 악관절 재건과 하악 골체부 절단술 및 C-sliding 절단술, 하악지 수직 골절단술, Medpor를 이용한 증식술로 개구기능과 비대칭 안모를 개선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그 치험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치조열 환자의 골이식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Bone Grafting of Alveolar Clefts)

  • 유선열;소광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256-262
    • /
    • 1998
  • 치조열 환자의 골이식과 관련된 치료계획 수립과 골이식재, 골이식 시기, 교정치료 시기 등 치료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 삼고자, 1992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골이식술을 시행한 치조열 환자중 추적검사가 가능한 31명을 대상으로 골이식술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항목들과 술후 치조열부의 변연골 높이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 분포는 남성(64.5%)이 여성(35.5%)보다 많았고, 남녀성비는 1.8 : 1이었다. 골이식시 연령은 이차 골이식기에 해당하는 6세에서 16세 사이(58.1%)가 많았고, 연령의 범위는 2세부터 33세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11세였다. 치조열의 분류에 따른 분포는 편측성(93.5%)이 대부분이었고 그중 좌측(74.2%)이 많았다. 결손치로는 측절치가 많았고 과잉치는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술전 교합상태는 III급 부정교합 및 전치부 교차교합(65.1%)이 가장 많았고, 교정치료는 술전과 술후에 비슷하게 시행되었다. 골이식시 동시 시행한 수술로는 이차 구순수 정술이 가장 많았고, 술후 합병증으로는 골결손이 6례, 구비루가 1례, 열개가 3례 발생되었다. 골이식재로는 PMCB와 DFDB가 사용되었고 술후 변연골의 높이는 PMCB를 이식한 경우에 DFDB를 이식한 경우보다 높았으며, PMCB를 이식한 경우에는 변연골의 높이가 증가되었으나 DFDB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치료법을 달리한 상악골절후 부정유합 2예 (THE CARE OF DELAYED MALUNION AFTER MAXILLARY FRACTURE BY DIFFERENT METHODS:REPORT OF THREE CASES)

  • 유재하;이원유;류수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7-127
    • /
    • 1991
  • 현대 사회에서 외상의 특성은 다발성 손상이 빈발하는 것이며 상악골절시 생명을 위협하는 다발성 전신손상이 동반되면 수술이 지연되어 골절부의 지연된 부정유합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골절된 양상에 따라서는 관혈적 정복술의 적용여부가 고려되는데 특히 골절편의 분쇄가 심하면 수술시 골절부위의 이개 후 정상위치로의 이동이 어렵고 설사 골절편의 이동이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정상위치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쇄골절편의 상실량이 많아지면 골이식까지 시행해야 하는 등 외과적이술식의 적용에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악골절 후 통상 6주일 간의 시간경과가 없다면 오히려 상악골절편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방견인용 headgear 또는 headcap 을 사용한 교정적인 치료를 시도함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우기 reverse headgear를 이용한 치료법은 골절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유용함이 실험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입증된 만큼 이를 상악골절후 후퇴된 상악골의 전방견인에 적용할 경우 교정치료의 최대장애인 cortical bone의 연속성이 골절로 인해 끊어지고 섬유성 유착상태로 남게되어 교정력의 효과가 치아이동 뿐만 아니라 골편의 이동에 매우 유익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적이 분쇄양상인 한 환자에서 headgear와 headcap을 이용한 교정치료법을 5개월간 적용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골절양상이 분쇄형이 아닌 증례에서는 외상후 5주간 경과 되었지만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정상교합을 회복했으며, 심한 두부 손상으로 6개월만에 의식 회복을 한 LeFort I, II, III, 환자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교합기 상에서의 모형분석,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등을 시행한 후 새로운 골면에다 LeFort I -osteotomy with iliac bone graft를 시행해 정상교합 및 안모추형을 개선시켰기에 이를 보고한다.

  • PDF

하악(下顎) 구치부(臼齒部) 분절골절단술(分節骨切斷術)에 의(依)한 구치부(臼齒部) 교차교합(交叉交合)의 치험례(治驗例) (SURGICAL AND ORTHODONTIC CORRECTION OF POSTERIOR SCISSOR BITE BY THE POSTERIOR MANDIBULAR SEGMENTAL OSTEOTOMY)

  • 김명래;전윤식;채평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74-80
    • /
    • 1990
  • This is to report a case of surgical and orthodontic of posterior scissor bite, deep bite and gummy smile by the segmental osteotomies. The surgical thechnics procedures used are Peterson's mandibular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modified $K{\ddot{o}}le$ technic for mandibular anterior segment and Wunderer's 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eterson's mandibular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could be achieved by the buccal approach with some difficulties in accessbility. 2) Upper and low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ies were followed separately to correct the deep curve of Spee, deep bite and gummy smile in shortened period. 3) All alveolar segments were immobilized in preplanned position by the prefabricated palatal and lingual resin splint, therefore intermaxillary fixation was not necessary.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한국인 성인 부정교합자의 두부방사선 사진 계측 분석에 의한 연구 (MEAN VALUES OF CEPHALOMETRIC ANALYSIS FROM KOREAN ADULTS WITH ABNORMAL OCCLUSION IN RELATION TO THE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박광호;허종기;안제영;김지용;임재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67-275
    • /
    • 2005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characterized by sleep-induced obstruction of the upper airway that results in cessation of airflow. Obstruction can occur at a number of points in the airway, but frequently in the oropharynx. A diagnostic evaluation includes cephalometry,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coustic reflection technique, polysomnography and fibroptic endoscopy.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have revealed that posterior airway anatomy has strong relations with the symptoms of them. A lateral cephalogram is routinely obtained in the radiologic evaluation of sleep apnea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 lateral cephalometric korean norm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by analyzing the abnormal occlusion of Korean adults.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악관절 세정술과 교합안정장치를 동반한 치료의 효과 (AN EFFECT OF COMBINATION WITH ARTHROCENTESIS AND STABILIZATION SPLINT TREATMENT OF TEMPORP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

  • 박용희;이상화;윤현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32-3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before and after performance of arthrocentesis and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 patients with limited mouth opening or pain or joint effusio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he arthrocentesis was performed and the stabilization splint was worn immediately after the arthrocentesis. Comparing the clinical outcomes of treatment at the times of first medical examination, 3 months and 6 months later on trea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maximum mouth opening occurred 3 months and 6 months later on treatment.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verage value of pain on test measured by VAS during maximum mouth opening, protrusive movement, right lateral movement, left lateral movement occured 3 months and 6 months later on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arthrocentesis and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provide a improvement o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when the exact diagnosis were provided.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블록형 자가골이식을 이용한 퇴축된 치조골의 재건 (Atrophic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Block Bone Graft for Implant Placement)

  • 지영덕;조진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1
    • /
    • 2006
  • Endosseous implants have restored normal function and dental health to many patients. When implants were introduc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their efficacy was limited by the amount of available bone. Today, various grafting procedures can surgically create bone width and volume. Implants can be placed in more ideal locations for successful prosthetic reconstruction. The use of autogenous bone grafts represents the "gold standard" for bone augmentation procedures. Either intraoral or extraoral sites may be considered for donor sites.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bone block, can be done during implant placement or staged with implant placement, after bone graft healing. In the staged technique, a better implant positioning and the use of wide diameter implants are possible.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block graft is a predictable way of treatment, for the atrophic alveolar ridge before implant placement. The cases presented in this article clinically demonstrate the efficacy of using a autogenous block graft in generating effective new bone fill for dental implant pla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