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체계계획

Search Result 23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Resilient Development of Green Belts in Beijing (베이징시 그린벨트의 탄성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

  • He, Shun-Ping;Hong, Kwan-S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236-248
    • /
    • 2019
  • Green belts can help to set boundary for city growth, provide ecological protection system and enhance the resilience of Beijing.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the current overall city planning of Beijing, the proportion of green space varies much among the sub-districts, villages and towns involved in the two green belts in the research. With this as starting point, by researching the correlations of 'city system factors' and 'planning policy factors' with the change in the scale of green space, the paper discuss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implementing the planning of green space of Beijing, and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with such possible influential factors classified into 'city system factors' and 'planning policy factors'.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paper tested the correlations of city system factors and planning policy factors (independent variable) with the increment in the construction land in green belts (dependent variable). Through influence to population aggregation and the expansion force of construction land, city system factors such as mountain land and water, house rent of unit area,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 and the newly-defined state-owned construction land generate correlation with the change in the scale of construction land in green belts.

AN INTEGRATED URBAN MODEL : A COMBINATION OF AN URBAN ECONOMIC MODEL AND TRANSPORTATION-LAND USE MODELS (도시경제모형과 교통 -토지이용모형을 결합한 대도시통합모형-)

  • 전명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53-63
    • /
    • 1994
  • 도시확산과 지방분권화의 시대적 추세는 도시경제 및 교통-토지이용모형의 구조에 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도시의 공간적 확산과 고밀도화로 인한 도시내 제반 경제.사 회활동이 이전보다는 훨씬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둘째, 지방분권화로 인해 대도시내 작은 지역단위별 주민들이 자신의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과 요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시계획 및 정책은 대도시내 공간적으로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이익집단에 상이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대도시 모형은 1) 도시내 제반활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2) 도시계획 및 정책의 효과를 도시 내 세분화된 공간별, 업종별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Wilson의 모형에 도시내 중요한 경제활동인 통근과 shopping변수를 추가하여 Wilson의 모형이 대도시모형으로 이용 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Matrix Inversion과 Non-linear Programming Model의 두 가지 방법을 도입하고 그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Matrix Inversion의 경우 해 (Solution)을 찾기가 쉬워 실질적이고 승수계산과정에서 각 Round마다 승수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반면 Programming을 통한 모형의 경우 제약식의 도 입이 용이하고 목적함수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론적 기틀을 세우는데 유리한 접근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Evaluation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nd Services Using the Sketch-Planning framework (Sketch-Planning 기법을 이용한 지능형교통체계 분석)

  • Nam Doohee;Lee Yong-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4 no.2 s.7
    • /
    • pp.45-52
    • /
    • 2005
  • Sketch-Planning based ITS Deployment Analysis System is an analysis tool for determining the impacts, benefits, and costs of variou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deployments. This methodology offers one tool that systematically assesses ITS scenarios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such scenarios into the ongoing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Sketch-planting based methodology can estimate relative impacts, benefits, and costs for more than 60 types of ITS investments deployed in isolation or in any combination defined by the user.

  • PDF

대중교통 노선배정에 관한 EMME/2 알고리즘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인희;이성모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66-466
    • /
    • 1998
  • 도로 교통의 혼잡이 나날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도로의 무제한적 건설은 정보의 예산절약, 필요한 도로용지 확보의 어려움,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한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이러한 도로의 혼잡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승용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를 대량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 이용수요로 전환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중교통의 서비스수준 제고 및 운영 관리 체계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전략적 및 운영적 측면에서의 대중교통계획은 미래 대중교통수요의 정확한 예측을 전제로 하여 수립되며, 이러한 수요의 예측은 필수적으로 현실을 보다 더 정확하게 묘사해 줄 수 있는 통행배정모형을 필요로 한다. 대중교통 통행배정은 규칙적인 배차시간과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고정서비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한 링크 상에서도 여러 개의 운행노선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승용차 통행배정과는 독립적으로 취급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통예측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EMME/2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중교통수요 통행배정 모형인 최적전략모형(Optimal Strategy Mode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최적전략모형은 수요 배정시, 최적전략에 속하는 경로들에 대해 단순히 운행횟수에 비례하여 수요를 배정함으로 인해서, 예를 들면 운행횟수는 많지만 환승이 많은 경로에 수요를 많이 배정하는 것과 같은 비현실적인 결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두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노선배정에 우선되는 최적경로 탐색시 환승노드에서의 환승에 대한 벌점을 그 노선의 운행회수에 줌으로써 환승이 많은 경로에 수요의 배정이 적게 되도록 하는 방법과 두 번째로 수요의 배정시 운행횟수가 아닌 목적지까지의 통행시간과 대시시간에 따른 확률적 배분을 통해 기존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했다.

  • PDF

The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Applying Fuzzy Reasoning (퍼지추론을 적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 Kim, Mi-Gyeong;Lee, Yun-Ba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4
    • /
    • pp.977-987
    • /
    • 1999
  • The current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s are operated depending on the pre-planned control scheme or the selected control scheme according to a period of time. The problem with these types of traffic control systems is that they can not cope with variant traffic flows appropriately. Such a problem can be difficult to solve by using binary logic. Therefore, in this 0paper, we propose a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which can deal wit various traffic flows quickly and effectively. The proposed controller is operated under uncertainty and in a fuzzy environment. It show the congestion of road traffic by using fuzzy logic, and it determines the length of green signal by means of a fuzzy inference engine. It modeled using petri-net to verify its validation.

  • PDF

Traffic Signal Control Algorithm for Isolated Intersections Based on Travel Time (독립교차로의 통행시간 기반 신호제어 알고리즘)

  • Jeong, Youngje;Park, Sang Sup;Kim, Young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6
    • /
    • pp.71-80
    • /
    • 2012
  • This research suggested a real-time traffic signal control algorithm using individual vehicle travel times on an isolated signal intersection. To collect IDs and passing times from individual vehicles, space-based surveillance systems such as DSRC were adopted. This research developed models to estimate arrival flow rates, delays, and the change rate in delay, by using individual vehicle's travel time data. This real-time signal control algorithm could determine optimal traffic signal timings that minimize intersection delay, based on a linear programming. A micro simulation analysis using CORSIM and RUN TIME EXTENSION verified saturated intersection conditions, and determined the optimal traffic signal timings that minimize intersection delay.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algorithm varying according to market penetration was examined. In spite of limited results from a specific scenario, this algorithm turned out to be effective as long as the probe rate exceeds 40 percent. Recently, space-based traffic surveillance systems are being installed by various projects, such as Hi-pass, Advance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ATMS) and Urban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UTIS) in Korea. This research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the propose algorithm is a new methodology that accepts the space-based traffic surveillance system in real-time signal operations.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the Road Work Zone (도로점용공사장 교통관리방안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 김종민;이상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5
    • /
    • pp.119-133
    • /
    • 2003
  • 도로는 교통기능 외에 여러 시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구축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시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도로점용공사는 매년 전국적으로 수만 건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매년 발생하는 도로점용공사의 차로과다 점용, 교통시설물 설치 부적절, 보행자 안전무시, 공사안내표지 부적절, 공사구간에서의 불법 주.정차 등의 문제점이 계속하여 발생.지적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관련 규정이 미흡하여 도로점용공사 시행자의 불법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시스템적 접근방법인 관련조례에 의해서 수행되기보다는, 교통자문회의로 운영되고 있으며, 관련 인원 및 법적 제재조치가 미약하여 도로점용공사의 효과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서울시 및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로점용공사로 인한 보행자와 운전자의 통행권 확보와 안전상의 문제 등을 하루빨리 인식하여 도로점용공사에 따른 도로공사장 교통관리 규정을 법규화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도로점용공사에 따른 관련법 및 적용대상, 관련보고서 검토, 서울시를 사례로 한 공사중 교통처리방안 운영실태 및 문제점의 진단을 통하여 향후 도로공사장 교통관리 규정의 운영적 및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Efficiency Plan of Transportation Investment Appraisal System (국내 교통SOC 투자평가체계 효율화 방안)

  • Chung, Sung Bong;Namkung, Baek K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4
    • /
    • pp.336-346
    • /
    • 2014
  • Recently interest and concer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portation investment policy have been increasing because lots of transportation projects reflected to the National Transportation Plan are suspended or delayed during pre-feasibility study. For instance, the criticism such as overlap and deficiency in consistency in appraisal system were aroused because of the waste of budget, time and man-power etc. This is because the Korea government adopted pre-feasibility study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use of national budget, but the methodology and the appraisal contents are similar to the existing feasibility study. Also, the feasibility appraisal study was adopted in 1999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efficient transport networks but the feasibility study has been substituting the function which should be conducted by feasibility-appraisal study. In this study, by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urport of introducing these policies, the understanding of these policies could be increased. Then, the pla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appraisal system are suggested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connectivity between these polic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rationality, consistency and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investment policies.

The Legal Improvement for Effective Planning of the Water Vision 2020 (효율적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법적 개선방안)

  • Kim, Jinsoo;Lee, Gyu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4-254
    • /
    • 2017
  •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효율적인 이용 개발 및 보전을 위하여 "하천법" 제23조에 근거하여 수립되는 물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20년 단위로 수립되며, 5년마다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계획을 변경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6년 12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제3차 수정계획(2016~2020년)을 수립 고시하였다. 그런데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 같이 상위 개념의 법정계획의 수립을 위해서는 관련 법정계획 및 부처 간의 수평적 수직적 연계가 중요한데, 현행 법체계는 이에 미흡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 우선적으로 수평적 연계를 위해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과정에 이수 치수 및 방재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관련 부처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하천법" 제23조제4항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할 경우,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정에 따른 부처별 '협의'는 국토교통부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관련 부처의 의견을 수렴하는 소극적 형태의 협의라고 볼 수 있다. 효율적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법" 소관 부처인 국토교통부가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지침을 수립하여 관련 중앙부처인 환경부(환경), 국민안전처(치수), 산업통상자원부(공업용수) 및 농림축산식품부(농업용수)에 시달하고, 각 부처는 담당 분야별 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에 송달한 후, 국토교통부는 이를 취합 검토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는 적극적 형태의 연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수직적 연계를 위해서는 기존의 하향식(top-down)에서 벗어나 상향식(bottom-up)의 계획수립이 필요해 보인다. 즉 국토교통부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에 따라 하위 개념의 유역종합치수계획("하천법" 제24조) 및 댐건설장기계획("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4조) 등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별 유역별로 수자원계획을 우선적으로 마련하도록 하고 이를 기초로 전 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이 적절해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하기 이전에 지역별 또는 유역별로 수자원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천법"에 관련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으며, 이수뿐만 아니라 환경, 방재 분야의 하위 법정계획의 수립 시기 및 주요 내용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 PDF

The Optimization of Left-Turn Phase Sequences on Signalized Arterials for Minimum Delay (지체최소화를 위한 도시간선도로 좌회전현시체계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김영찬;신언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157-174
    • /
    • 1997
  • 도시간선도로의 신호시간요소를 계획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이들은 통 과폭 최대화모형, 지체도 최소화 모형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모형의 통합모형으로 구분된다. 기존의 통합모형은 지체를 줄이기 위하여 최대 통과폭 모형인 PASSER-II로 최적화된 좌회 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통과폭 최대모형과 기존의 통합 모형은 지체를 최소화해주지 못하고, 반면에 지체도 최소화모형인 TRANSYT-7F는 좌회전 현시순서를 최적화 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모 형들의 갖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좌회전현시를 최적화하면서 지체를 최소화해줄 수 있는 새로운 모형(KS_SIGNAL)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모형은 MAXBAND 등과 같은 최대통과폭모형을 발전시킨 혼합정수계획법 형태를 갖는다. 평가결과에 의하면 개발된 모형 으로 최적화된 좌회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할 경우 TRANSYT-7F나 PASSER-II 와 TRANSYT-7F를 통합한 기존 모형들보다 지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