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사고 위험도

Search Result 60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everity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연구)

  • 심관보;권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09-409
    • /
    • 1998
  • 본 연구는 운전자 특성 및 교통사고 발생유형에 따른 사고 심각도(Severity)를 분석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유발키 쉬운 운전자 집단과 사고 발생시 위험도가 높은 사고유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교통사고 위험집단 분석을 위한 운전자 특성은 성별, 차종, 연령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고유형별 심각도 분석은 사고유형을 여덟 가지로 분류하고,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추가하여 상해정도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로그-선형 모형 및 로짓 모형을 사용하여 카테고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위험집단 분석에서는 '20세 미만의 이륜차 운전자', '41세에서 50세까지의 택시운전자'가 가장 위험한 것으로, 또한 남자보다는 여자가 승용차, 택시, 이륜차 등에 관계되었을 때 위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고유형과 심각도와의 관계에서는 정면충돌 사고와 앞지르기 시 우회전시 사고가 기여위험도(Odds Multiplier)가 매우 높아 부상 또는 사망사고와 연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통사고의 예방과 사고발생시의 심각도 경감을 위해서는 교통사고 취약계층으로 분석된 위험집단에 대한 교통안전 교육 및 홍보가 강화되어야 하고, 정면충돌 사고와 앞지르기 시 우회전시 발생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f Risk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 Types by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s in Korea (초보 및 일반운전자의 교통사고유형별 위험도 비교분석)

  • Kim, Gi-Yong;Jang, Myeong-Sun;O,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3
    • /
    • pp.17-28
    • /
    • 2009
  • To analyze the risk according to accident types by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s, it is used the accidents data which occurred for 2 years(2005~2006) in Korea. It is defined that novice driver is a people who is not passed 1 year after getting a driving licence and experienced driver is a people who is passed 1 year in this study. It is used a risk model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the risk between two groups. The risk model is developed to apply together two variables which is accidents frequency and severity. Then it is used a conceptual weight to find that proper rate between accident frequency and fatal accident frequency. It is found a weight($\omega=0.6$) to suitable value to apply a risk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collision with obstacles, angle collision($90^{\circ}$) types to novice driver group have bigger risk than experienced driver group.

Forecasting of Probability of Accident by Analizing the Traffic Accident Data : Main Intersections on Arterial Roads in Busan (교통사고 데이터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위험도 산정 : 부산시 주간선도로 주요교차로를 대상으로)

  • Jung, Kun Young;Bae, Sang 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1
    • /
    • pp.111-117
    • /
    • 2017
  • The purpose of forecasting the traffic accident is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everity of the accident by Forecasting of Probability of Accident. In Korea, accident data are distributed to the public via internet that includes numbers of accident and fatality as well. And crude level of accident severity in accordance with weather information for metropolitan city level are available by weekly. However, It can not reflect personal needs at specific origin of the travel for a certain traveller. This study aims to consider 68 major intersections with precipitation data, and eventually introduces link based accident severity. In estimating the accident severity both dynamic data such as drivers' characteristics, driving conditions and static data such as geometry of road, intersection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lso, we identifies accident severity according to the accident type - 'vehicle to vehicle,' 'vehicle to person.' Finally, the outcomes of this study suggests taylor-made accident severity information for a specific traveller for a certain route.

The Study on Traffic Accident of Commercial Vehicle using Odered Logit Model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한 화물차 운전자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Jo;Ko, Eun-Hyeck;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65-2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에서 화물차 교통사고를 분류하고 계절과 기상상태, 도로유형, 법규위반, 사고유형 측면에서 각각의 변수들이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유의하게 화물차 교통사고 심각도를 높이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화물차 사고는 가을의 경우 사고 심각도의 오즈비가 1.23배로 증가하고, 안개가 꼈을 경우 사고 심각도는 16.49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규위반, 도로형태, 사고유형 등 여러 요인에 의한 사고 위험도가 증가했지만 특히 도로 외 이탈로 인한 추락사고에서 사고 위험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전도전복으로 인한 사고 위험도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Relative Risk by Accident Types at Intersections, Crosswalk and Tunnel Sections (교차로, 횡단보도, 터널 구간에서 사고유형에 따른 상대적 위험도 분석)

  • Lee, Hyunmi;Jeon, Gyoseok;Kim, Hyung Jun;Jang, Jeong A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841-851
    • /
    • 2019
  • This study presents risk ranking by accident types at intersections, crosswalk and tunnel sections. An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accident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based on 58,868 accident records that have occurred on the Seoul and Gyeonggi-do over the period 2014-2017. The factors affecting the injury severity were identified by the estimated model first, and risk ranking was proposed according to conditions of accident occurrence using relative ratio analysis late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jury severity dramatically depends on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accide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jury severity dramatically depends on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accident. Furthermore, there are severe injury cases in terms of the injury severity despite the small number of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 or there are severe injury cases in terms of the injury severity despite the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

A Study on the Relative Risk by Elderly Driver's Age using Logistic Regression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고령운전자 연령대별 상대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Jo;Lee, So-Yeon;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05-206
    • /
    • 2017
  •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체사고의 약 11%가 고령운전자 사고이며, 고령운전자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759명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운전자의 신체적 특징을 감안하여 전기(65세~74세), 중기(75세~84세), 후기(85세 이후)로 나누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고령운전자의 연령대별 사고특성과 사망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고려한 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차량단독사고일 때 고령자 전 연령대에서 사고위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로이탈로 인한 사고인 경우 다른 사고요인에 비해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고원인별로 살펴보면 안전운전의무 불이행, 중앙선침범으로 인한 사고인 경우가 높았으며, 기상상태별로 볼 때 전기고령자에서 중기, 후기 고령자로 갈수록 흐릴 때의 사고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n the Auto Accident Risks of the Old (고령자의 자동차사고 위험도 분석)

  • Kim, Dae Hwan;Heo, Tae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1
    • /
    • pp.100-111
    • /
    • 2015
  • After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vehicle accident risks by age groups, various programs and policies have been imposed to reduce the old's risks in other countries. In Korea, it is little known the risk level by age groups and no policy changes has been implemented even if the number of vehicle accidents occurred by the old has been rapidly rising while the total number of vehicle accidents has been decreasing.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vehicle accident risks by age groups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old drivers over age 65 has the highest accident risk except for the young drivers below age 25. Thus, we emphasize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the qualifications for reissuing the drive licence and programs for educating the old drivers in Korea which is facing the most rapid population aging in the world. On the other hand, various changes are needed reflecting the old drivers such as reforming the road signs, issuing a sticker and providing them incentives such that the old drivers use the public transportation instead of self-driving.

밀도 기반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위험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양지민;최충정;백연지;임광현;노유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6-147
    • /
    • 2023
  • 해양사고는 도로교통과 달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명피해가 주로 발생하는 주요 사고의 치사율은 도로교통의 11.7배 이상이다. 해양사고는 외부 환경에 따라 사고 위치가 변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워 타 교통에 비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여전히 사고가 발생하고 난 후 대응하는 등 사후적 관리 단계에 무르고 있어 사고의 주요 요인을 사전에 식별·관리하는 선제적 관리단계로의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발생 지점 밀도 기반의 가변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반복적인 공간 가산분석을 통해 밀도가 높을수록 작은 규모의 격자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상세한 공간 군집체계를 구성하였으며, 단순 사고 위험도 예측뿐만 아닌 사고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BN(Bayesian Network) 기반의 모형을 사용하여 해양사고 위험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ost-of-Omission을 통해 해양사고 예측확률의 변화와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월별 해양사고예측 결과를 GIS를 활용하여 2D/3D 기반으로 시각화하였다.

  • PDF

A GIS-based Traffic Accident Analysis on Highways using Alignment Related Risk Indices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 기반 교통사고 위험도지수 분석 (호남.영동.중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강승림;박창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1
    • /
    • pp.21-40
    • /
    • 2003
  • A traffic accident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and tested based on the highway alignment risk indic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Impacts of the highway alignment on traffic accidents have been identified by examining accidents occurred on different alignment conditions and by investigating traffic accident risk indices(TARI). Evaluative criteria are suggested using geometric design elemen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raffic accident rates were forecasted more realistically and objectively b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highway alignment factors and the design consistency. And traffic accident risk indices and risk ratings were suggested based on model estimation results and accident data. Finally, forecasting traffic accident rates, evaluating the level of risk and then visualizing information graphically were combined into one system called risk assessment system by means of GIS. This risk assessment system is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designing four-lane highways and developing remedies for highway sections susceptible to traffic accidents.

The Analytic Study Of the Traffic Accident's Injury by Epidemiological Method (역학적 방법에 의한 교통 상해사고 분석 연구)

  • 홍창의;임평남;김진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91-98
    • /
    • 1998
  • 본 논문에서 교통 상해사고 위험요인들을 정량화하고, 위험요인들 중 교통 상해사고 원인에 가장 근접한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려고 했다. 사례-조사 연구방법으로는 의학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환자-대조군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서울, 양평, 천안지역을 대상으로 1007년 중 입원환자를 중심으로 채혈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환자국 총 117건과 도로상에서의 일반운전자를 중심으로 호기 알콜테스트와 설문조사를 통한 대조군 총 483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승용차의 경우, 교통 상해사고 발생 위험요인으로 27개 항목들이 추출되고, 그 중 '도로의 부적합' 항목(RRR 값:4.057)을 포함 14개 항목이 교통 상해사고 원인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토바이의 경우, 마찬가지 방법으로 최종적으로 '면허 보유기간' 항목(RRR값:3.733)을 선두로 하여 총 11개 항목이 교통 상해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에 가깝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두 경우 모두 인적 요인에 의한 결과피가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경찰의 지속적인 단속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상대위험도가 높게 나타난 순서대로 교통안전투자 우선순위에 정하면, 효율적인 교통 상해사고 감소를 기할 수 있으리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