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Risk according to Traffic Accident Types by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s in Korea

초보 및 일반운전자의 교통사고유형별 위험도 비교분석

  • 김기용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교육원) ;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08.12.19
  • Accepted : 2009.04.09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o analyze the risk according to accident types by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s, it is used the accidents data which occurred for 2 years(2005~2006) in Korea. It is defined that novice driver is a people who is not passed 1 year after getting a driving licence and experienced driver is a people who is passed 1 year in this study. It is used a risk model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the risk between two groups. The risk model is developed to apply together two variables which is accidents frequency and severity. Then it is used a conceptual weight to find that proper rate between accident frequency and fatal accident frequency. It is found a weight($\omega=0.6$) to suitable value to apply a risk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collision with obstacles, angle collision($90^{\circ}$) types to novice driver group have bigger risk than experienced driver group.

초보운전자와 일반운전자의 교통사고 유형별 위험도를 비교분석 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간의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를 바탕으로 초보운전자에 의한 사고와 일반운전자에 의한 사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보운전자와 일반운전자의 구분을 신규운전면허 취득 후 경과연도가 1년 이하인 운전자를 초보운전자 그룹으로, 1년이 초과한 운전자를 일반운전자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두 그룹간의 위험도 비교는 사고발생 빈도와 심각도를 함께 반영할 수 있는 위험도 모형을 설정하여 비교분석 하였으며, 이 때 사고건수와 사망사고 건수의 적절한 적용비율 산정을 위해 가중치를 설정했으며, 가중치는 두 그룹간의 $x^2$값이 가장 작을 때의 값으로 도출하여 적용하였다.($\omega=0.6$) 교통사고 유형별 위험도 분석결과, 사고위험도가 높은 사고유형은 측면직각 충돌사고, 횡단 중 보행자와의 사고, 주정차 중 추돌사고로 분석되었고, 일반운전자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보운전자 그룹의 위험도가 높은 사고유형은 공작물 충돌사고와 측면직각 충돌사고 등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영욱(2001), '초보운전자 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교통안전연구논집 제20호 pp.33-49
  2. 박종국(2003), '초보운전자 운전면허 관리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교통사고 감소대책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3. 이순철․박선진․이순열(2007), '초보운전자의 운전 확신수준이 위험운전에 미치는 영향(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3권, p111-126
  4. 이태경․장명순(1998), '교통/사망 사고 발생건수 및 빈도에 의한 범칙금 부과 방안',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89-98
  5. 임강원․조남건(1993), '우리나라 초보운전자의 교통사고 특성' 교통안전연구논집 12, pp.21-34
  6. 설재훈(1990), '초보운전자 교통안전대책', 도로교통 115 pp.79-83
  7. 홍왕희(2004), '교통사고유형과 사고운전자의 운전결함요인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8. 도로교통공단(2007), '2006년 도로교통 사고비용추계와 평가'
  9. 도로교통공단(2006-2007), 교통사고통계
  10. Bartl, G.(2000), 'Results of EU Project De -scription and Analysis of Post Licensing Measures for Novice Drivers', Austria Road Safety Board
  11. Bartl, G., Esberger, R. & Brandstatter, Ch(, 1998). 'Driving License on Probation and accident Reduction in Austria', European Road Safety News, Litter by the ERSF
  12. Drummond A.E(1998), 'Driver problem Areas,young drivers, paper presented to the initiative on driving behaviour colloquium',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and the Victoria Police
  13. Evans, Leonard(1991), Traffic Safety and the Driver, Van Nostrand Reinhold
  14. Garay-Vega & Fisher, D. I(2005), 'Can novice drivers recognize foreshadowed risks as easily as experienced driver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Driving Symposium on Human Factors in Driver Assessment, Training and Vehicle Design, pp.441-447
  15. Mourant, R, R., & Rockwell, T. R(1972), 'Strategies of visual search by novice drivers and experienced drivers', Human Factors, 14 pp.325-335 https://doi.org/10.1177/001872087201400405
  16. Pollatsek, A., Narayanaan, V., Pradhan, A, & Fisher, D. L(2006), 'The use of eye movements to evaluate the effect of PC-based risk awareness training on an advanced driving simulator, Human Factors, 48, pp.447-464 https://doi.org/10.1518/001872006778606787
  17. Torbjo RN Falkmer, PhD, and Nilspeter Gregersen, PhD(2005. 8) 'A Comparison of Eye Movement Behavior of Inexperienced and Experienced Drivers in Real Traffic Environments',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Vol. 82, No. 8 https://doi.org/10.1097/01.opx.0000175560.45715.5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