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모형

Search Result 1,97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MODEL SYSTEM FOR NON-WORKER'S DAILY TRAVEL DEMAND BASED ON DISAGGREGATE BEHAVIOURAL MODEL (개별 로짓 모형을 이용한 비취업자의 1일 통행행태에 관한 연구)

  • 배영석;김태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8 no.1
    • /
    • pp.89-102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개별모형(disaggregate model)을 이용한 도시권의 교통수요예측 모형체계의 구축을 최종목적으로 하며, 그때 개인이 1일 중에 행하는 복수의 트립에 관한 의사결정간의 상호관계를 적절히 고려함에 의해, 되도록 개인의 교통행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함과 동시에 모형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논리성과 실용성이 잘 조화된 모형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모형의 체계는 비취업자와 취업자 각각의 1일의 통행행태유형의 선택에 관한 2개의 Sub-model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논문은 그 Sub-model중의 하나인 비취업자의 1일의 통행행태유형(트립발생, 각 트립의 목적지와 교통수단)의 선택에 관한 개별모형의 개발을 행한 것이다. 본 모형의 특징은 tour별 효용최대화행동가설에 기초를 두어 개인이 1일 중에 행하는 각 트립의 선택행동은 해당트립의 전후에 행해지는 트립들의 선택행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여 트립간의 상호관련성을 표현하였다. 모형의 구조로서는, 모형의 취급이 보다 용이하도록 tour별 효과최대화를 트립단위의 단계형 모형으로 표현하는 nested logit model형의 수차동시효과최대화 모형을 구축하였다 실제의 도시권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별개모형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Signalized-Intersection LOS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Satefy (교통안전에 의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의 개발)

  • 하태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4 no.4
    • /
    • pp.155-178
    • /
    • 1996
  •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은, 객관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체시간(Delay), 교통사고수(Number of Accident), 교통사고율(Accident Rate), 충돌수(Traffic Conflict), 그리고 교통사고에 노출된 차량수(Exposure)등이다. 지금까지는 1985 Highway Capacity Manual(HCM)에서 소개된 지체시간에 의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1985 HCM 방법의 중용성과 유용성에 대해 논하지 않고, 교통안전(Safety)에 의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차로의 위험도(Degree of Intersection Hazard)를 예측하기 위해, 교통사고빈도 수가 가장 높은 두가지 교통사고 유형, 즉 좌회전추돌(Left-Tum)과 후미추돌(Rear-End) 예측 모형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첫째, 좌회전추돌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음지수 분포(Negative-Exponential Distribution)를 이용한 확률적 모형이 개발되었다. 둘째, 후미추돌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연속류 모형(Continuum Model)을 이용한 거시적 모형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두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신호교차로 안전도를 예측하였으며 교차로 서비스수준이 안전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교통안전에 의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은 연동교차로를 제외한 독립교차로에만 적용이 된다.

  • PDF

Improving Methods for Estimating Transportation Mode Choice Model in Busan-Ulsan Metropolitan Area (부산·울산광역권 교통수단 선택모형 구축 방법론 개선)

  • Shin, Ka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7
    • /
    • pp.4580-4587
    • /
    • 2014
  • This study provides an improved transportation mode choice models applicable to the Busan-Ulsan Metropolitan area by scrutinizing previous study results developed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lthough the previous model has an appropriate modeling structure in terms of the sign of coefficient estimates and goodness-of-fit, the model ignores the total number of trips and traffic congestion condition between the two zones and partially reflects zone-specific variables and choice set.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all of these modeling faults by re-constructing the representative utility functions. The modeling results show that travelers in Busan-Ulsan metropolitan area tend to choose their mode using mode-specif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classical travel time and/or cost variables.

Development of a Transportation Demand Analysis Model ${\ulcorner}$AllWayS-Windows Version${\lrcorner}$ (종합 교통수요 예측모형 "사통팔달:윈도우즈"의 개발)

  • Shim, Dae-Young;Cho, Joong-Rae;Kim, Dong-H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2 s.73
    • /
    • pp.19-26
    • /
    • 2004
  • AllWayS(AWS, Satongpaldal in Korean) is the first comprehensive computer software in Korea that is developed for the transportation demand modeling. The original DOS version software was recently receded for Windows environment. Traditional 4-step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process is incorporated in the software under graphical user interface environment. AWS is able to compose or edit graphic transportation networks data by each scenario which could be the subject of an analysis. Besides, it use database structure that can handle every data of a scenario such as networks, O/D, and socio-economic data, etc. We expect this integrated process could provide each analyst with efficient and easy to use tool for their analysis. Each models in this software is based on traditional algorith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existing software, EMME/2 and it showed similar result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by Using GIS (GIS를 이용한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Byeongs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4
    • /
    • pp.79-89
    • /
    • 2015
  •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implement a traffic model that can simulate the traffic behavior on the microscopic level by using the GIS. In the design of the model, the vehicle in the simulation environment recognizes the GIS road centerline data as road network data reflecting number of lanes, speed limit and so on. In addition, the behavior model was designed by dividing functions into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model, time headway distribution model, car following model, and lane changing model. The implemented model was applied to Jahamun-road of Jongno-gu distric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model. As a result, the simulation results on the Jahamun-road had no great error compared with the actual observation data. In the aspect of usability of model, it is judged that this model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ntribute to analysis of amount of carbon emission by traffic, evaluation of traffic flow, plans for location of urban infrastructure and so on.

Traffic Signal Control for Oversaturated Diamond Interchanges (과포화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의 교통신호제어모형의 개발)

  • 김영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2
    • /
    • pp.5-30
    • /
    • 1994
  •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는 고속도로와 노면가로가 교차할 경우 방향별 교통류를 처리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인터체인지이다. 인터체인지에 교통량의 부하가 과도해지 면 인터체인지내부의 교차로에서 발생한 대기차량이 종종 고속도로본선으로 역류하여 본선 의 교통소통에 문제를 야기하며 특히 고속도로의 안전에도 큰 위험요소가 된다. 본 논문은 과포화상태의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의 교통신호제어를 다루며, 신호시간계획을 산출하는 동적 최적화모형(dynamic optimization model)을 제시한다. 최적화 모형은 지체도최소화를 목적함수로 하며, 함수계측법의 형태가 된다. 본 모형의 핵심은 신호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대기차량길이를 모형화하여 대기차량길이가 정해진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시 간계획을 산출하는데 있다. 제시된 동적모형은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의 신호시간을 위하 여 널리 사용되는 PASSER III와 최적해를 상호 비교한다. TRAF-NETSIM을 통한 시뮬레이 션의 결과에 따르면 동적 모형이 우수한 결과를 보이며, 대기차량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제 어하는 것으로 판명된다.

  • PDF

Day-to-day dynamics model based on consistent travel time perception behavior (운전자의 일관성 있는 통행시간 인지 행태에 기반한 일별 동적 모형)

  • Yang, In-Chul;Chung, Youn-Shik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2
    • /
    • pp.195-202
    • /
    • 2011
  • This study develops a day-to-day dynamics modeling framework, incorporating a consistent drivers' travel time perception behavior and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Descriptive traffic information is updated and provided to the subscribers making a final decision on route choice. Nonsubscribers(not equipped any information devices) are assumed to obtain daily traffic information from their experience or friends or other public agencies. Drivers' route choice behavior is modeled based on boundedly-rational behavior rules.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is adopted to evaluate the network system performance. Numerical experiments on a real world network have demonstrated the convergent property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nsistent perception model.

Development of Accident Forecasting Models in Freeway Tunnel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한 고속도로 터널구간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 Park, Ju-Hwan;Kim, Sang-G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1 no.6
    • /
    • pp.145-154
    • /
    • 2012
  •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in all tunnels on nationwide freeways and selected some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accident occurrence in tunnels. The study aims to develop reliable accident forecasting models using the various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accident (no.), no./km, and no./MVK. Finally, reliabl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proposed in this paper. This study tested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developed models through statistics such as $R^2$, F values, multicollinearity, residual analysis. The paper selected the accident forecasting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unnel accidents and two models were finally proposed according to two groups of tunnel length. In the selected models, natural logarithm of ln(no./MVK) is used for the dependent variable and AADT, vertical slope, and tunnel hight are us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liability of two models was proved by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field data and estimating data using RMSE and MAE. These models may be not only effective in evaluating tunnel safety under design and planning phases of tunnel but also useful to reduce traffic accidents in tunnels and to manage the traffic flow of tunnel.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network model for Mode Choice and Trip Assignment (통합교통망 수단선택-통행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현명;임용택;이승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87-98
    • /
    • 1999
  • 전통적인 교통계획 과정에서 이용되어 온 수요모형들은 대부분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을 나누어 실시하는 모형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교통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실제 통행자들은 통행 도중 환승을 통해 수단을 전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수단선택 과정과 통행배정 과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종점간 수단 분담율은 기점과 종점에서의 그 값이 다르지만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이 분리되어 있는 기존 모형을 적용할 경우, 출발과 도착시의 수단 분담율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비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통행수단을 통행의 기본단위로 보고, 수단통행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그 수단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의 행태 대신 수단의 특성만이 모형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교통계획 과정에서는 수단분담 과정과 통행배정과정이 분리됨에 따라 수단간 환승이 고려되지 않아 통행자들의 경로 구성과정을 정확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수단분담 모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로짓 모형의 경우 환승을 고려하면 비관련 대안간 독립성문제(CIA)가 발생하고, 환승경로 수요추정이 불가능해 사실상 통합 교통망과 같이 복수 수단이 운행하는 교통망은 분석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통행(Person Trip)을 기반으로 하는 수단분담-통행배정 통합모형을 개발하고 기존의 결합모형과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Multiple User Class Traffic Assignment based on Variational Inequality Formulation in Variable demands (변동부등식을 이용한 가변수요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문제의 해석)

  • 임용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153-161
    • /
    • 2002
  •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Multiple User Class Assignment) 문제란 교통망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이 이질적인 통행계층으로 구성된 경우, 이들 각 계층의 통행수요를 교통망에 배정하는 문제를 의미한다. 이는 기존 통행 배정모형들이 모든 통행자의 통행특성이 동질적이라고 가정함으로서 발생하는 불합리한 통행배정 결과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최근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사업에서 교통정보제공시스템이 구현될 예정임에 따라,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간의 영향을 분석하거나 혼잡통행료부과 등과 같은 교통관리전략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모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모형의 경우, 사용자간의 상호영향으로 통행비용함수의 1차 편미분행렬(Jacobian matrix)이 비대칭(Asymmetric)이 되어 동등 수리최소화문제(Equivalency mathematical Minimization program)로 구성할 수 없고 또한 수치적으로 풀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모형식과 알고리듬을 제시코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2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각 사용자 계층간의 상호영향을 모형내에 반영하며, 기종점쌍간의 통행시간변화에 따른 수요변화를 고려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변동부등모형(Variational Inequality Model. VI)으로 문제를 구성하며, 이에 대한 해석 알고리듬도 제시한다. 또한, 변동부등모형으로 구축된 다사용자계층 모형이 다사용자계층 균형조건과 동일함을 보여주는 동등성조건(Equivalency condition)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