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과태료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ublic Attitude Survey on Traffic Fine Policy (교통과태료제도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분석)

  • Kim, Yeon-Soo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7
    • /
    • pp.51-82
    • /
    • 2013
  • Traffic safety has been dramatically enhanced thanks to recent improvements in traffic environment. Nonetheless, many traffic accidents occur due to unchanging driving practices.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the issues of traffic fine and penalty fine policies, and seek appropriate levels of traffic fines through a public attitude surve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905 adult drivers over 20 years of age from 15 provinces and metropolitan citie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affic environment in South Korea is generally not safe. Respondents perceive violation of traffic laws such as reckless driving, speeding and drunk and driving as an important cause. Second, 61.6% of respondents experienced over one speeding annually, but only 15.2% of respondents were caught in the last three years. Third, opposition to levels of traffic fines has decreased over the past, and responses were more positive when more information was provided. Fourth, to deter moral hazard of paying traffic fines to avoid traffic penalty points, traffic fines should be at least 50,000~70,000 won higher than penalty fines. Fifth, there was less opposition to implementation of accumulated penalty policy compared to income-based differential fine levels. Sixth, traffic fines for different types of traffic violations need to be reorganiz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rovements for the current traffic fine and penalty fine policies for violation of traffic laws. First, enough understanding and consensus must be developed for policy improvements. Second, administrative sanctions such as giving penalty points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financial sanctions. Third, there should be policy improvement for accumulative penalty. Current acts of traffic law violation should be reorganized.

  • PDF

『선박교통관제 법률』 홍보방안 연구 및 효율적 과태료 부과 방안 제시

  • 박한림;김윤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
    • /
    • 2022
  •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지 2년이 지난 현재, 선박운항자들의 선박교통관제 법률 인지 실태를 조사하였다. 해사안전법과 입출항법은 대다수의 운항자들이 인지 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선박교통관제법률은 운항자들의 인지도면에서 많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선박교통관제 법률 홍보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관제사들은 과태료 부과에 있어 행정 업무가 복잡하고, 부과 기준 미비로 어려움이 있다. 효율적인 과태료 부과로 관제사들의 행정업무부담을 덜어내고, 선박운항자들에게 경각심을 고취시켜 선박교통관제 법률에 위상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선박교통관제법령상 위반선박 제재에 관한 연구 - 안전운항 위반선박 G호 관제사례 중심으로 -

  • Song, Dong-Seok;Jeong, Seong-Gwang;Lee, Jeong-Won;Jeon, B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9-10
    • /
    • 2019
  • 현재 선박교통관제는 「해사안전법」과 「선박의 입항 및 출항 등에 관한 법률(이하 선박입출항법 )」에 이원화 되어 최소 사항만을 규정하고 세부운영규정은 「선박교통관제의 시행 등에 관한 규칙」 등에 위임되어 있다. 법률 소관 부처와 집행기관이 상이함에 따라 법체계를 일원화하고 벌칙 규정들을 선박교통관제 관점에서 면밀히 검토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제정 예정인 「선박교통관제법」의 효율적 집행과 강화 방안을 마련함에 이 연구 목적을 두고자 한다.

  • PDF

Traffic Violation Fine Standard by the Severity and the Number of Total/Fatal Accidents (교통/사망 사고 발생건수 및 보도에 의한 범칙금 부과 방안)

  • 이태경;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89-98
    • /
    • 1998
  • 교통사고의 원인은 인적 요인, 차량적 요인, 도로 환경적 요인으로 분류된다. 주어진 도로 환경과 차량 조건하에서는 운전자가 마지막으로 안전을 제어할 책임을 지고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대하여는 도로교통법에 근거하여 징역, 벌금, 구류, 과료, 과태료, 범칙금에 처하고 있다. 교통법규 위반 행위 단속 시에는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과 위험도에 따라 단속의 강약을 포함하여 차등화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통 범칙금 기준 제시를 위하여 1991~1995년의 5년간 교통사고 및 교통법규 위반을 분석한 결과 전체 교통법규 위반 단속 중 교통사고를 야기하는 동적 위반 행위인 사고관련 위반 행위 단속의 비율이 44%로 일본의 61%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사고유발 가능성에 근거한 교통법규 위반 행위 단속의 강화가 필요하다. 한편 범칙금 부과방안으로 피해도 모형과 빈도 모형을 비교한 결과 교통법규 위반 행위로 인해 발생된 교통사고 비용을 고려한 피해도 모형은 범칙금의 차등화가 분명하지 않고 변별력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아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따른 빈도 모형은 교통사고 건수와 사망사고 건수의 가중치(w)설정을 위해 동적 위반행위가 우리나라와 유사한 일본 자료와 비교한 결과 가중치가 한국=0.7, 일본=0.8일 때 상대적으로 $x^2$가 31.7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고건수에 대한 가중치는 0.7로 사망사고에 대한 가중치는 0.3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현행 범칙금과 제안된 범칙금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Hadoop-based Large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for Parking Enforcement System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위한 하둡 기반 대용량 데이터 관리 및 분석)

  • Baek, Na-Eun;Song, Youngho;Shin, Jaehwan;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429-432
    • /
    • 2017
  • 자동차 보급률 증가로 인해 교통 혼잡, 불법 주정차 등의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불법 주정차는 교통 혼잡, 주차 공간 부족 등 부가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초기 비용 발생 및 인력 부족 등의 한계가 있다. 한편,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공공 업무에도 대량의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또한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 부족 및 분석 시스템이 미흡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법 주정차 데이터와 같은 공공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위한 하둡 기반 대용량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첫째, 주차단속을 수행할 때 주차단속 데이터를 하이브(Hive)를 통해 저장하고, 단속된 차량의 차주를 검색하여 단속임을 알리거나 과태료를 부과한다. 둘째,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된 주차단속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한 R을 이용한 시각화를 제공한다.

Analysis of Installation Effect of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Using ITS Collection and Operation Data (ITS 수집 및 운영 자료를 활용한 구간과속단속시스템 설치효과 분석)

  • Yoon, Yo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302-309
    • /
    • 2021
  • The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measures the starting instantaneous speed, the The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measures the starting instantaneous speed, the ending instantaneous speed, and the section average speed, and imposes fines only for the portion that has been speeding the most. However, according to the Road Traffic Act, most of the systems are installed on highways, so exist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ghway sections.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stallation of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s on general national roads will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ITS collection and operation data targeting the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installed on National Road 3 Seongnam Icheon-ro was used to analyze traffic speed, standard deviation of traffic speed, and reduction in traffic accidents by dividing it into before installation, trial operation period, and after crackdow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affic speed, standard deviation, and traffic accidents decreased by 13%, 25%, and 70%, respectively, after installation, confirming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ection speed enforcement system greatly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accidents.

Analysis of Effects on Adoption of a Safety e-Reporting System (안전신고 제도(안전신문고)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

  • Lee, Jun;Cho, Sangmyeong;Park, Eunmi;Lee, Sang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4
    • /
    • pp.27-41
    • /
    • 2019
  •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e-reporting system,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analysis of safety e-reporting data reported between September 2014 and July 2019, and selected item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reporting. Using these items, the effects of adopting the reporting system for the four major parking violations was analyzed, alongside an analysis of effects in terms of traffic accidents using the unit model. When we count the securement of the tax revenue through measures such as charging fines as the beneficial factor per case, the estimation of the benefit is around 62,000 KRW per case. Summing the two factors up, the total value of citizen's reports pertaining to the big four parking violations is about 275,000 KRW per case. Most of the reports made through the Safety e-Report system are about traffic and facilities. When we calculate the total annual benefit with the representative reporting value defined with traffic and facilities, the system received a total of 1,164,439 cases from 2014 to 2019, while citizens reported 52,721 cases for the big four parking violations from April to July 2019. As the value of a safety report is around the net benefit for last five years is around 27,340,000,000 KR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