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차로용량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Adjustment Factors for The Shared Left-turn Lane with U-Turn at the 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교차로에서 좌회전.유턴 공용차로 보정계수 산정)

  • 안형기;오영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5
    • /
    • pp.43-5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의 주요 간선도로상에서 운영되고 있는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에 대한 적절한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좌회전 2차로(1차로 유턴공용) 3개 지점 및 좌회전 ·유턴 공용 1타로 3개 지점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유턴 전용차로 2개 지점에 대해서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에서의 유턴 비율에 따른 포화교통류율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분리대로 분리된 유턴 전용차로를 대상으로 분석한 유턴 포화교통류율은 2,105(pcphgpl)로 산정되었다. 둘째, 좌회전 2차로(1차로 유턴공용)에 대하여 3개지점을 대상으로 유턴 비율에 따른 포화교통류율의 살펴보고 적절한 보정계수를 산정하였으며 각 차로별 좌회전 포화교통류율은 1차로는 2,105(Pcphgpl), 2차로는 2,023(Pcphgpl)이 산정되었다. 또한 유턴 비율과 포화교통류율에 따른 회귀모형을 산정하였다. 셋째, 좌회전 ·유턴 용 1차로에 대하여 3개지점을 대상으로 유턴 비율에 따른 포화교통류율의 변화를 살펴보고, 적절한 보정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좌회전 포화교통류율은 2,143(Pcphgpl)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유턴 비율과 포화교통류율에 따른 회귀모형을 산정하였다. 넷째, 회귀모형의 산정결과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에서는 유턴 비율에 따라서 포화교통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유턴 비율에 따른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의 포화교통류율 감소에 대하여 용량분석시 적용할 수 있는 보정계수를 제시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신호교차로의 운영분석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호시간 설계시에도 유턴 수요에 따른 적절한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교차로의 운영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Design Methodology for Signalized Intersection Delay Systems (신호교차로 지체체계 분석방법론 연구)

  • 하동익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2
    • /
    • pp.83-103
    • /
    • 1997
  • 교차로 지체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대기행렬 모형이 적합한데 모든 대기시스템은 시 간의 함수로 운영되므로 우리는 분석하고자 하는 시스템이 가변상태인지 또는 안정상태인지 를 먼저 결정하여야 한다. 신호화된 교차로에 유입·유출되는 특히 유입교통량은 시간대별 변화가 심하다. 미국 HCM에서는 이를 15분 단위로 분석하도록 제안하였으나 신호교차로 체계의 정밀 분석을 위해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시간단위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 해서는 시스템이 안정상태가 아닌 가정으로 접근하여야 하며, 더 나아가 Dynamic한 분석이 요구된다. 안정상태의 지체는 Webster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그들이 갖는 가정은 일반적으로 비현실적이어서 정밀한 지체추정은 실제로 가 능하지 않다. 안정상태 가정하에서 해법의 결점은 도착교통량이 용량에 다다를수록 더욱 심 하게 되어 비현실적인 지체예측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은 기존 분석방법론의 제반 한계성과 제약성을 검토하고 현실적인 교차로 지체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고려되어져햐 할 변수들을 정립하고자 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lay of Rotary and Roundabout by Operational Type (로터리와 회전교차로 운영방식별 지체 비교분석)

  • Park, Byung-Ho;Kim, Kyung-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4 no.2
    • /
    • pp.83-91
    • /
    • 2012
  • This study deals with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roundabout. The roundabouts generally have such the merits as high capacity, delay reduction, safety improvement, and others. Circular intersection can be divided into the rotary and roundabout according to travelling prior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rotary and roundabout by scenario.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the particular attentions to developing 256 scenarios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and entering traffic volume and analyzing the delay using VISSI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elay of rotary was analyzed to be 1.56-8.74 times of roundabout. Second,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rotary and roundabout were analyzed to be better in the case of bigger differences in the traffic volumes between the main and minor roads. Third, the average delay of the 4-legged was evaluated to be 1.77-11.70 times of 3-legged intersection. Finally, 2-lane intersection (3-legged & 4-legged) was analyzed to be 2.02-2.23 times of 1-lane intersection.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or Traffic Signal Controller (교통신호제어기용 무정전전원장치 용량기준 연구)

  • Ko, Kwang-Yong;Lee, Choul-Ki;Kim, Min-Sung;Heo, Nak-Won;Jeong, Jun-Ha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1 no.5
    • /
    • pp.1-6
    • /
    • 2012
  • Unlike the past, modern urban intersections have dramatic growth in size and utilizations. As a result, continual traffic signal control is essential. Hence the individual or regional electrical blackout may bring about uncontrollable traffic congestion. Late summer of 2011 a regional blackout brought about traffic nightmare not including time and revenue loss associated with this disaster. Due to this disaster our national police agency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are in process of introducing an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into essential intersections. This study estimates the power consumption necessary to sustain at least 2 continuous hours for a standard four-legged intersection. Prototype was studied using these standards. The field experiment of prototype showed positive results and was able to meet standard guidelines set forth. Prototype tested was able to meet standards in medium to large capacity of traffic size.

A Study of Traffic Signal Timing Optimization Based on PSO-BFO Algorithm (PSO-BFO 알고리즘을 통한 교통 신호 최적화 연구)

  • Hong Ki An;Gimok Ba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6
    • /
    • pp.182-195
    • /
    • 2023
  • Recently, research on traffic signal contro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and many traffic signal control models are being studied. However, most studies either focused on independent intersections or are theoretical studies that calculate signal cycle length according to changes in traffic volum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signalized intersection - roundabout in Gajwa-ro. The Particle Swarm Optimization - Bacterial Foraging Optimization (PSO-BFO) algorithm was proposed, which is developed from the GA and PSO algorithms for minimizing congestion at two intersections. As a result, optimum cycle length was determined to be 158 seconds. The Verkehr In Stadten - SIMulationsmodell (VISSIM)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3.4% increased capacity, 8.2% reduced delay and 8.3% reduced number of stops at the Gajwa-ro signalized intersection. Additionally, at the roundabout, a 9.2% increase in capacity, a 7.1% reduction in delay, and a 27.2% decrease in the number of stops was observed.

Adaptive Signal Control for Oversaturated Arterials (과포화 간선도로의 실시간 신호처리)

  • 최병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3
    • /
    • pp.111-130
    • /
    • 1997
  • 교통수요가 용량보다 많아지면 신호교차로가 모든 교통량을 통과시키지 못하므로 시간이 갈수록 대기 행렬이 점점 길어질 것이다. 이러한 과포화상태에서는 늘어나는 대기행렬을 조절하지 못하면 결국에는 Spillback이 상류 교차로로 확대되어 최악에는 교차로에서의 모든 방향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Gridlock상태로까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과포화 상태에서는 비포화 상태와는 달리 늘어나는 대기 행렬을 조절하여 통과 교통량을 최대화 시키는 것이 신호처리의 목적 함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6월호의 논문에서는 Static 한 상태의 과포화 간선도로를 신호처리에 의해 일정한 대기행렬을 유지하므로써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과포화 간선도로의 교통수요는 매 Cycle 마다 Dynamic 하게 변하고, 과포화의 교통상황에서는 미미한 교통 변화가 우리가 염려하는 Spillback 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6월호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신호처리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과포화 상태의 5개의 신호교차로를 가진 간선도로를 Simulation 하여 비교한 결과 본 논문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이 PASSER II 나 TRANSYT 7F 보다 차량 한 대당 평균 운행시간이 각각 30%, 20% 줄어들었다.

  • PDF

A Study on the Traffic Assignment Considering Unsignalized Intersection Delay (비신호 교차로 지체를 반영한 통행배정 기초연구)

  • Park, Byung-Ho;Park, Sang-Hyuk;Hong, Yung-Sung;Kim, Jin-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2
    • /
    • pp.1-7
    • /
    • 2010
  • This study deals with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 delay in the urban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The objectives are to develop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 delay models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above models.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simulating by KHCS program and implementing the case study of Cheongju using EMME/2.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8 unsignalized intersection delay models were developed through 480 simulating results,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stimates by the unsignalized delay models were analyzed to be most fitted to the observed traffic volume data.

A Study on the Warrant of Permitted Left-Turning Movements based on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도로용량편람에 근거한 비보호좌회전 준거에 관한 연구)

  • 조원범;도철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31-41
    • /
    • 2002
  • 국내의 도로용량편람에 근거한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은 4방향 접근로 각각의 방향별 교통량, 좌회전 전용차로의 유무, 차로수 등의 수많은 요인들을 통해 결정된다. 이 요인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며 그 영향력의 크기에 따라 변수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은 이러한 검토 없이 해당도로의 한 방향 좌회전 교통량과 이와 마주보며 진행하는 직진 교통량, 차로수만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도로용량편람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밝히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임계좌회전 교통량 (비 보호좌회전 신호로 신호교차로의 운영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최대 좌회전 교통량)을 제시함으로서 비 보호 좌회전 준거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은 해당도로의 좌회전 교통량, 대향직진 교통량, 차로수, 교차도로의 교통량과 차로수이며, 이 요인들 중에서 해당도로의 차로수가 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비 보호좌회전은 일반적으로 2차로에서 운영되므로 보편적인 상황에서의 비 보호좌회전 신호의 선택기준은 해당도로의 좌회전 교통량. 대향직진 교통량 및 교차도로의 교통량에 좌우된다. 둘째, 대향직진 교통량이 커질수록 임계좌회전 교통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차도로의 교통량이 커질수록 임계좌회전 교통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