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djustment Factors for The Shared Left-turn Lane with U-Turn at the 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교차로에서 좌회전.유턴 공용차로 보정계수 산정

  • 안형기 (LG-EDS시스템 ITS Team) ;
  • 오영태 (아주대학교 환경·도시공학부 교통공학전공)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의 주요 간선도로상에서 운영되고 있는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에 대한 적절한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좌회전 2차로(1차로 유턴공용) 3개 지점 및 좌회전 ·유턴 공용 1타로 3개 지점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유턴 전용차로 2개 지점에 대해서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에서의 유턴 비율에 따른 포화교통류율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분리대로 분리된 유턴 전용차로를 대상으로 분석한 유턴 포화교통류율은 2,105(pcphgpl)로 산정되었다. 둘째, 좌회전 2차로(1차로 유턴공용)에 대하여 3개지점을 대상으로 유턴 비율에 따른 포화교통류율의 살펴보고 적절한 보정계수를 산정하였으며 각 차로별 좌회전 포화교통류율은 1차로는 2,105(Pcphgpl), 2차로는 2,023(Pcphgpl)이 산정되었다. 또한 유턴 비율과 포화교통류율에 따른 회귀모형을 산정하였다. 셋째, 좌회전 ·유턴 용 1차로에 대하여 3개지점을 대상으로 유턴 비율에 따른 포화교통류율의 변화를 살펴보고, 적절한 보정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좌회전 포화교통류율은 2,143(Pcphgpl)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유턴 비율과 포화교통류율에 따른 회귀모형을 산정하였다. 넷째, 회귀모형의 산정결과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에서는 유턴 비율에 따라서 포화교통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유턴 비율에 따른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의 포화교통류율 감소에 대하여 용량분석시 적용할 수 있는 보정계수를 제시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신호교차로의 운영분석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호시간 설계시에도 유턴 수요에 따른 적절한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교차로의 운영효율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도로용량편람 건설부
  2. 도로용량편람 연구조사(제3계 최종보고서) 건설부
  3. 노면표시 설치기준 및 규정 개선연구(I) 교통과학연구원
  4.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용석
  5. 데이터 리서치 SAS라는 통계상자-통계분석 및 시장조 사기법을 중심으로- 김충련
  6.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 도로교통안전협회
  7. 좌회전 교통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안전협회
  8. 대한교통학회지 v.16 no.2 U-턴의 교통 특성 및 다중 U턴 용량 분석 -전용 U턴 차로를 대상- 문재필;김동녕
  9. 大韓國士·部市計劃學會誌 「國士計劃」 U-turn 이동류가 신호교차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용진
  10.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호교차로에서 곡선반경에 따른 좌회전 보정계수의 영향 분석 이호원
  11. 공업통계학 정수일(외 4인)
  12.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호교차로에서의 U-TURN에 따른 용량 및 영향도 분석 최웅식
  13. Special Report 209, Transfortation Reseach Board Highway Capacity Manual TRB
  14.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98 Effects of U-TURN on Left-Turn Saturation Flow Rates John Clifton Adams;Joseph E. Hum-mer
  15. Transpotation Research Record 1091 Use and Effectiveness of Simple Linear Regression To Estimate Satu-ration Flow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Robert W. Stokes;Vergil G. Stover;Carroll J. mes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