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차로용량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Base Critical Gaps and Follow-Up Times by Traffic Movements for Four-Legged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Suburban of Seoul, Korea (수도권 지역 4-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이동류별 차량의 임계간격과 추종시간 기준에 관한 연구)

  • 고동석;이용재;정진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6
    • /
    • pp.19-32
    • /
    • 2000
  • 우리나라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방법은 미국과는 다르게 대부분 완전 비제어식 운영(Totally Uncontrol)방법으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비신호 교차로들 중 미국 HCM의 TWSC 교차로에 관한 분석방법이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비신호 교차로들을 대상으로 임계간격과 추종시간의 기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총 11개의 4-지 비신호 교차로들을 대상으로 이동류별, 차량의 종류별에 따른 차량들의 임계간격과 추종시간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계간격은 3.8초 - 5.4 초로 나타났으며, 추종시간은 2.4초- 2.7초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계간격의 경우 차량의 종류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동류별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추종시간은 이동류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며, 차량의 종류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인 임계간격과 추종시간의 기준치를 국외 나라들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는 국외보다 낮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와 국외의 운전자 운전특성과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방식의 차이에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임계간격과 추종시간의 기준은 수도권 지역의 4-지 비신호 교차로들 중 주도로와 부도로의 교통량과 속도 등의 현저한 차이가 있는 교차로 분석시 이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고, 우리 나라의 TWSC 방법을 갖는 비신호 교차로에 관한 용량과 지체시간의 이론적 모형 개발과 용량 및 지체시간의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tion of Passenger Car Equivalents When Estimating Capacity at Small 3-leg Roundabouts (소형 삼지 회전교차로의 용량분석을 위한 승용차 환산계수에 관한 연구)

  • Lee, Yong-Jae;Lee, In-Gyeong;Lee, Do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6
    • /
    • pp.65-74
    • /
    • 2010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method for estimating passenger car equivalency (PCE) values for various vehicle types that could be considered in estimating capacity and delay at intersections without traffic signals, especially at modern small 3-leg roundabouts. Unlike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PCE value has not yet been treated explicitly in traffic operations involving unsignalized intersections. Both empir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for determining the PCE values at modern small 3-leg roundabouts were evaluated. As a result, the PCEs derived in this study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of field measurements.

Comparison of Capacities at an Intersection with Lagging or Leading Left Turn Green Phase (직진(直進)과 좌회전(左回轉) 신호순서(信號順序)에 따른 교차로(交叉路) 용량분석(容量分析)과 신호시간(信號時間) 연구(硏究))

  • Do, Cheol 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 no.3
    • /
    • pp.19-26
    • /
    • 1983
  • Through traffic utilization of left turn lane constitutes an unique traffic operation at an intersection. Consequently, due to the provision as of current practice, conventional methods which estimate traffic volume and intersection capacity by lane would not be valid for design of signal timings. Through traffic utilization factor of left turn lane is affected by left turn volume and signal timing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from leading left turn green phasing scheme with those from previously studied lagging left turn green phasing scheme in terms of utilization factor and intersection capacity by various left turn volume and signal timings, and thereby optimum signal timing to maximize the capacity at given left turn volume. Leading left turn green phasing increases capacity by 10~15 % as compared with that for current lagging left turn green phasing scheme. The range of optimum cycle length for left turn volume about 150 vph is 180~200 second. This cycle length range and left turn interval are longer than those for the lagging left turn green phasing scheme.

  • PDF

Analysis of the Entry Capacity of Roundabouts (Roundabout의 용량분석)

  • 전우훈;도철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3
    • /
    • pp.59-69
    • /
    • 2003
  • Signalized intersections are widely used in urban street network. However, it was reported that a roundabout is better than a signalized intersection in terms of delay when the approaching traffic volume for each bound is low.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ntry capacity models of roundabout and establish the warrant for signalized intersection based on the delay. The entry capacity of a roundabout is determined by the circulating traffic volume and the geometric design of the roundabout such as the diameter of central island, entry lane widths, and the circulating roadway width. The traffic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four roundabou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reveals that; i)among the geometric features, the diameter of central island and the circulating roadway width influence the entry capacity, and ii)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models of each country due to different geometric features considered in the models,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 higher capacity than the models from Israel or Germany. These seem to be attributed to the facts that; i)the outside diameters of the roundabouts selected in this study are larger than in the other studies, and ii)the acceptable gap in Korea is smaller than that in the other countries.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round- about and signalized intersection, the performance of roundabouts was evaluated with the SIDRA.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only for the roundabouts composed of single la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may be concluded that when the approaching traffic volume for each bound is lower than 600pcph, a roundabout is better than a signalized intersection in terms of its operational performance.

The Operation Analysis of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ICU Method (ICU 방법을 활용한 신호교차로 운영분석)

  • Kim, Young Chan;Jeon, Jae Hyeon;Jeong, Young Je;Kim, Eun Je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D
    • /
    • pp.41-48
    • /
    • 2009
  • The capacity analysis of signalized intersection usually includes a HCM method used at home and abroad and a ICU method this study presents. The HCM method focuses on operation analysis measuring an intersection's delay in terms of given traffic volume, signal operation, and intersection structure data. This method includes planning and design analysis, but these analyses are complex due to being possible through repetitive operation analysis. However the ICU method is a powerful tool for planning and design analysis, because these are possible through brief traffic volume and geometry structure data and consider minimum green time. In this study, the authors studied the ICU method and compared the HCM and ICU by analyzing traffic volume scenarios. Also to consider effectiveness for application of the ICU method, the authors applied the ICU to capacity analysis of intersections on urban arterial for setting major intersection and effect analysis for changing crosswalk type, the number of lane, lane use and operation form of left turn. The result of the analyses shows that the ICU method can measure correct capacity of intersection consist of a broad road in urban area, and is effective for planning and design analysis. This study is expected that traffic experts can grasp correct intersection's capacity and carry out a proper planning or improvement by applying the ICU method to planning and design analysis.

Review of lane utilization factor in KHCM (한국 도로용량편람의 차로이용계수에 대한 고찰)

  • 정회빈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9.10a
    • /
    • pp.229-234
    • /
    • 1999
  • 본 논문은 한국도로용량편람의 신호교차로 용량분석에서 차로이용계수를 적용하는 방법을 신호교차로 용량분석의 절차와 이동류 구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고찰한 결과 차로이용계수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v/c 비에 따라 차로이용계수를 적용함으로써, 반복계산이 불필요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편람 개정시 이러한 반복계산을 없애는 값을 산정해야 한다. 둘째, 차로이용계수는 직진 전용차로를 통과하는 직진교통량에 대해서만 적용해야 한다. 실제 현장에서 교통량 조사 상황을 고려해보면, 상당히 불합리한 값을 도출한 것이다. 따라서 차로이용계수를 적용하는 이동류를 정확히 설명하고 그 문제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셋째, 차로이용계수는 직진 이동류에 대해서만 있다. 우리 나라 전역에 있는 소규모 교차로를 고려해 볼 때, 차로이용계수는 다양한 차로군(lane group)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 PDF

LOS Analysis Frame for COSMOS at Isolated Intersections (실시간신호제어 독립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 방법론)

  • Kim, Jin-Tae;Kim, Kang-Huy;Lee, Don-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4
    • /
    • pp.161-172
    • /
    • 2008
  • The level of service (LOS) evaluation method of the Highway Capacity Manual (HCM) is limited to intersections with pre-timed signal operation, while advanced real-time traffic control systems have been expending in the field. This paper proposes a preliminary framework for LOS analysis at isolated intersections controlled by COSMOS, the real-time traffic control systems robustly utilizing the degree of saturation as basic inputs. The proposed LOS evaluation framework was devised with a pilot model developed to estimate the average cycle length and green times of COSMOS. The validation test showed that the proposed framework was able to accurately project the LOS, which was separately evaluated based upon field data.

신호제어를 고려한 가로망 설계모형의 구축에 대한 연구

  • 강환민;박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15-115
    • /
    • 1998
  • 가로망은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날로 늘어나고 있는 통행수요를 직접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기반시설이다. 따라서 가로망의 구성과 운영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교통혼잡 등의 제반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되어온 가로망 설계 모형들은 새로운 도로의 건설이나 기존 도로의 확장 등을 통해 가로망을 조정하여, 사용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줌으로써 통행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자 한다. 이러한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사용자들에 의해서 초래된 통행비용의 개선과 이를 위해 사용된 투자비용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부의 경우, 차량들의 통행패턴은 가로망의 물리적 구성(기하구조, 용량 등)뿐만 아니라, 신호제어(주기, 녹색시간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고려되는 사용자의 통행비용의 경우, 단순히 가로망의 통행시간 뿐만 아니라 신호제어에 의해서 부가되는 지체도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로망의 계획단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하는 요소의 하나인 차량의 이동성과 접근성의 부여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이동성을 중요시하는 도로와 접근성을 위주로 하는 도로 각각의 기능에 부합하는 가로망 설계가 필요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존의 가로망 설계모형의 경우, 단순히 용량의 변화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과 이로 인한 통행량의 변화만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도시부에서 실제 차량의 통행패턴은 단순히 도로의 기하학적 용량뿐만 아니라,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의한 지체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며,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이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호제어의 영향들을 고려함으로써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가로망의 상반된 역할인 이동성과 접근성의 비교가 가능한 보다 현실적인 가로망 설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소개된 가로망 설계모형들은 용량변화에 대한 설계변수의 형태에 따라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과 연속적 가로망 설계모형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본 논문의 경우, 계산속도의 향상 측면에서는 연속적 가로망 설계 모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이때 요구되는 도로용량이 이산적인 변수(차선 수)로 결정되어야만 신호제어 변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산적 설계모형의 경우 조합최적화 문제이므로 정확한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부 최적해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이상적 모형의 근사화, 혹은 조합최적화문제를 위해 개발된 Simulated Annealing기법의 적용, 연속적 모형의 변수를 이산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신호제어 모형과 가로망 설계모형을 결합하여 통합된 가로망 설계모형의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다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고, 개선하며, 이의 적용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가상 가로망을 구성하여 모형의 적용 결과를 분석한다.

  • PDF

Estimation of the Through Car Equivalent for Left-Turn Movement According to the Left-Turn Curve Radius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교차로에서 곡선반경에 따른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 산정)

  • 오영태;김기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2
    • /
    • pp.21-28
    • /
    • 2001
  •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through car equivalent for left-turn movement according to left turn radius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The saturation flow rate for left-turn movement in 92' KHCM(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is the same as that for through movement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here the left turn radius is over 20m. This study uses Duncan 'Test's Test in order to find out the saturated position for queued vehicle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t found that the saturated flow rate of left-turn movement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s less than that of through movement where the left-turn radius is less than 20m. It found that the through car equivalents for left-turn movement according to left-turn radius(8m-20m) are between 1.05 and 1.14.

  • PDF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Level-of-Service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s (무통제 교차로의 서비스수준 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 김정현;김영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5
    • /
    • pp.31-40
    • /
    • 2003
  • Unsignalized intersections are classified into two-way-stop-controlled(TWSC) and all-way-stop-controlled(AWSC) intersections for the analysis of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There is no AWSC intersection in Korea, but non-controlled intersections are common. Non-controlled intersections are operated only by the driver's decision without any control. However, the study for the analysis of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the non-controlled intersection has been rare. As the first stag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measure-of-effectiveness (MO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ffic volume and the intersection passing time (delay) and number of conflicts on each intersection a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onflic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traffic volume compared with the delay. It means that number of conflicts can be the MOE for the performance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conflicts and traffic volume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so that traffic volume can also be an MOE. The level of service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 can be determined with either of the MOE's. Since the performance is also influenced by the ratio of traffic volumes of crossing streets, the traffic volume should be adjusted by the ratio. The capacity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 was suggested to be 2,000veh/hr referring that of AWSC intersection in the USHCM. The criteria was suggested by evenly dividing the traffic volumes based on the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