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선택

검색결과 2,359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에 있어서의 치과교육개혁 (INNOVATIONS IN DENT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선우양국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6권3호통권106호
    • /
    • pp.219-221
    • /
    • 1978
  • 대부분의 경우 치과대학의 교수들은 교육자가 되기 위해서 치과대학을 선택한 것이 아니었다고 본다. 저자의 경우도 그러했듯이ㆍㆍㆍㆍ. 그러나 어찌하다가 조교수가 되고 교수가되고 학장직까지도 맡게 된다. 일취월장하는 우리주변의 상황의 변화와 발전에 발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한국의 치과의학교육계에 있어 개혁의 바람을 일으켜야 되겠다고 생각되어 우리 치과교육계의 과거와 현재를 개관하고, 나아가서 앞으로의 치과교육개혁에 대한 필요성과 소고를 소개하는 바이다.

  • PDF

교수.학습 도구로써의 전자교과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Textbook as a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 황정순;이경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664-666
    • /
    • 2004
  • 지식.정보화 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전자교과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교육 현실에 적합한 교수.학습 기능을 지닌 전자교과서를 개발함으로써. 실제 학교 교육현장에의 조기 도입 및 활용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교과서의 정의, 기능, 교육 유형을 통해 전자교과서의 개념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자 매체의 장점을 충분히 반영한 전자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 과목의 한 단원을 선택하여 설계와 구현을 하였다 .

  • PDF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융복합적 간호대학 진로선택 요인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nursing choice factors i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한수정;김미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09-1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3학년 학생이 간호학 전공을 선택하는 요인을 알고자 함이다. 2016년 7월 2일부터 8월 2일까지 대전 충청지역 소재 6개 고등학교 3학년 총 145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한 조사연구이다. 설문은 교사와의 관계, 보건교사와의 관계, 간호관련 학교경험, 경험적 요인, 사회적 요인, 부모와의 관계, 진로선택과 가정에서의 진로지도 경험을 포함한다.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보건교사와 관계가 긍정적이고, 학교 안팎에서 간호 관련 진로활동이나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학교 진로 관련 수업, 전문가 상담 및 교육 경험이 있었던 경우에 간호대학 지원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을 지원하는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및 인재유치를 위한 홍보 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활동, 자아 개념, 과학 전공 (High-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Activities, Self-concept, and Choice of a Science Major)

  • 허미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885-89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성취가 매우 뛰어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이공계 진로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며 성별차를 탐구하는 것이다. 과학고등학교와 국제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여 과학 활동, 과학 학습을 위한 자신의 강점, 과학 전공을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업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전공 선택 이유로서는 내적 흥미가 가장 비중이 크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과학을 전공으로 선택하지 않으려는 것에는 흥미의 부족보다는 자기효능감의 부족이 더 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외에 과학 학습에 대한 자아개념과 정규 수업 외의 과학 활동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취업준비활동간의 관계연구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Career Choice factors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 한미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14-22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선택요인 및 직업준비활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KCYPS) 중 1패널 7차년도 2016년 자료인 대학생들(2091명)을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취업준비활동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직업선택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준비활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진출이 과업인 대학생들을 위하여 자아정체감의 확립 뿐만 아니라 직업선택과 취업준비활동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및 교육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하며 이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고등학교 미용과 교육 실태 사례 조사 (Case Analyses of Cosmetology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 김미정;윤인경;장명희;권리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7-139
    • /
    • 2006
  • 본 연구는 고둥학교의 미용과 개설 실태와 학과 명칭, 미용과를 개설하고 있는 학교 유형별로 미용과 교육의 실태를 사례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것으로 고둥학교의 미용과 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8년 상업계 고등학교의 특별과정으로 미용관련 과정을 운영한 이후 과학적인 기초 지식을 가진 고급 미용 기술 인력을 배출하려는 사회적인 요구와 맞물려 미용과 특성화고등학교가 운영되는 둥 미용관련 학과 개설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16개 고둥학교의 미용과 명칭은 미용과를 비롯하여 다양하였다. 둘째, 4개 학교의 교육 운영 실태를 살펴 본 결과 동일한 '미용과'라 하더라도 학과 명칭, 학교의 설립 초기 유형, 학교 소재 지역, 신입생 모집의 자율성 정도, 학교 교사의 특성, 학과 명칭에 따른 실습실 명칭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개 학교의 미용과 소속 교사들의 전공 자격은 가정이 8명으로 많았고, 주당 수업 시수는 17-18시간으로 나타났으나 실습 준비 및 뒤정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넷째, 보통교과의 선택과목 영역과 재량활동의 내용에서는 학교의 유형 및 교사의 수급상황에 맞추어 교과를 선택한 경우가 있었으나, 학교에 따라서는 재량활동에서 미용관련 전문교과를 선택하여 미용과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용 산업의 유능한 인재 배출을 위한 기초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의 연수, 특성화된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PDF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한 고등학교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Curriculum in High School Based on Backward Design)

  • 유인영;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1
    • /
    • 2019
  • 본 연구는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문헌 분석을 통해 '건강한 커플관계'의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가정과교사 197명, 고등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건강한 커플관계' 내용 요구도 조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여 전문가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건강한 커플관계' 내용 요소에 대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내용 요소에 대한 평균은 가정과 교사 4.39, 고등학생 4.02였으며,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이해'의 내용 요소가 교사 4.70, 학생 4.19로 두 집단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은 교육과정 목표와 2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었고, 각 단원은 단원 목표, 세부 학습 주제 및 내용 요소, 평가계획, 수업계획을 포함하였다. 각 단원별에 대하여 템플릿을 구성하여 총 2개의 템플릿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비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선택과목으로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제안하고, 선택 과목 개설의 기반을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43-1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도부터 적용된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지난 3년간의 현장적용 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두 과목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한 고등학교들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지역별로 분배,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2개 학교의 과학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12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통합과학의 경우 현장적용 3년차를 맞이하여 대부분의 학교에서 6~8단위로 편성·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당 통합과학 담당 교사는 3개년도 평균 2~3명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학기당 1단위씩 총2개 학기로 편성·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시수를 채우기 위해 여러 명의 과학교사가 과학탐구실험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에서 과학교사들은 향후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한 규모로 통합과학을 축소하고, 핵심역량을 강화하여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공통과목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을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하도록 통합과학을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 선택과목 수강을 안내할 수 있는 기본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과 공통과목을 구성하는 방안,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 공통과목을 통한 선택과목 안내 및 진로지도의 필요성, 과학영역간 간학문적, 다학문적 통합·융합 과목을 지도를 위한 교사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어린이를 위한 낭독공연의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Type of Reading Aloud Performance for Children)

  • 오판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223-247
    • /
    • 2018
  • 낭독공연이란 배우들이 희곡을 암기하지 않고 읽는 것을 통해 관객들에게 희곡의 의미를 전달하는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오래전부터 사용하였지만, 우리 문화계에서 낭독공연을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라고 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연극교육을 강화하면서 '낭독공연'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낭독공연을 교육의 장에서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성인들의 낭독공연에서 찾아보고, 이를 어린이 교육의 장에서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낭독공연에는 배우들이 무대 위에서 '희곡을 보면서 읽는 유형'과 '희곡을 암기하여 연기하는 유형' 및 '두 유형을 혼합한 유형'이 있다. 결국, 낭독공연의 형식에는 정해진 규칙이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희곡을 보거나 보지 않거나 문제 되지 않는다. 낭독공연의 주체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식의 공연을 하되 낭독공연은 꼭 이렇게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어린이와 청소년 또한 낭독희곡의 개념을 유연하게 이해하면 교육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더 커질 것이다. 이런 분석을 근거로 어린이를 위한 교육의 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준거로 '낭독공연의 형식을 한 가지로 고집하지 않기', '여러 유형의 낭독공연 선택하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러 유형의 낭독공연 선택하기'에 필요한 하위 준거로는 '희곡의 내용 가운데 특정 장면 선택하기', '학생의 수준이나 상황을 고려하기', '새로운 유형의 낭독공연을 만드는 데 주저하지 않기'가 있음을 밝혔다. 이 글이 낭독공연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교육계에 활력을 넣고, 이론의 부재로 인해 교육적 설계가 미흡해지는 점을 해소하는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예비교원의 도움 네트워크에 관한 통계 모형의 경험적 비교: 이항 및 가중 ERGM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Comparison of Statistical Models for Pre-service Teachers' Help Networks using Binary and Valued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s)

  • 김성연;김종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58-6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원의 도움 네트워크에 관한 통계모형을 경험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이항 및 가중 ERGM 결과를 토대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원의 이항 및 가중 도움 네트워크 선택요인간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둘째, 예비교원의 이항 및 가중 도움 네트워크 선택요인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원(N=42)의 도움 및 친구 네트워크와 행복감, 그리고 개인특성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교원의 이항 및 가중 도움 네트워크 선택요인간의 공통점은 관계 의존성(호혜성, 전이성), 유사성(전공, 성별), 활동성(유아교육전공, 부정정서), 대중성(유아교육전공), 다중성(친구네트워크) 효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원의 이항 및 가중 도움 네트워크 선택요인간의 차이점은 활동성(체육교육전공), 대중성(학점, 부정정서) 효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