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공간

검색결과 2,332건 처리시간 0.038초

거리의 확장화에 대하여

  • 양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15권1호
    • /
    • pp.5-7
    • /
    • 1976
  • Euclid 기하학이 성립하는 공간은 우리들과 가장 밀접한 공간이다. Descartes의 해석기하학은 Euclid의 3차원공간에서 성립한다. 이 경우 점이라 해도 그것은 3개의 실수의 순서쌍(x, y, z)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 생각해도 좋다. 일반의 n차원 Euclid 공간 R$^n$에 대해서도 같은 생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n=1은 수치선, n=2는 평면, n=3은 소위 3차원의 공간으로서 직관적으로 상상할 수 있으나 n(equation omitted)4인 경우는 상상하기 어렵다. 여기서는 거리의 성질과 추상공간을 논하고 Euclid 공간의 거리에서 출발하여 그 성질중 삼각부등식을 계산을 통하여 증명하므로서 공간의 확장화가 이루워짐을 보였다.

  • PDF

법학전문도서관 디자인 특성 및 공간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aw School Library Design Feature & Spatial Composition)

  • 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812-282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존사례 분석을 통하여 공간구성 특성을 조사, 규정하고 교육이념에 부응하는 법학전문도서관 특성을 반영한 계획안의 제시함으로서 법학전문도서관의 계획요소 및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법학도서관의 공간구성특성을 요약하면 (1) 접근성을 고려한 진입층의 공간구성 (2) 열람공간 이용자 중심의 열람실 공간구성 (3)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의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 구성으로 법학도서관의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법학도서관 설계 시 다음과 같은 디자인 쟁점사항을 도출하였다. 진입층 공간구성은 교육의 장소로서의 이용행태, 접근성과 연계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공용공간과 함께 열람공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이용자 중심의 열람실과 서고의 공간구성이 계획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열람실 또는 지정 도서실이 진입공간과 직접 연계되는 계획이 이루어 져야 된다.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에 따라서 코어를 중심으로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을 수직적으로 연계하여 열람실과 교육 연구 공간의 연계성을 높이는 동시에 외부에서의 접근성도 고려한 계획이 되어야한다.

공간정보 분야의 원격대학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s of Geospatial Information Studies for the Cyber University)

  • 서동조;이성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912-922
    • /
    • 2009
  • 정부는 '국가GIS기본계획'과 관련 법률을 통하여 공간정보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교육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에 대한 재교육 기관으로서, 실용도 높은 온라인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원격대학을 통해서는 공간정보의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원격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의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전문성에 따라 기초, 응용, 심화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개념적 기초 이론을 토대로 시스템 개발 및 구축, 주제도 제작 및 공간자료 구축, 분석 도구의 실습 및 활용 등 세 가지 트랙으로 분류하여 제시되었다. 기초 개념에서부터 최신의 유용한 신기술을 반영하였으며, 모듈화된 구조로 되어 있어 교육 수요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코딩교육을 위한 어린이 놀이 공간 디자인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Children's Play Space for Coding Education - Focusing on preschoolers -)

  • 김승인;이가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97-402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개정과정에 발맞춰 어린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의 문제점을 보완할 새로운 '놀이 중심'의 교육 콘텐츠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의 유아 코딩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뒤, 차후 유아코딩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새로운 코딩 교육용 어린이 놀이공간을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현 코딩 교육은 어린이의 활동성에 제약을 많이 두고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이들이 활발하게 뛰어놀 수 있는 '놀이 공간'으로써의 코딩 교육 공간을 제시한다. 공간을 이용했기 때문에 아이들의 시각, 촉각, 후각 등 오감을 자극할 수 있어 감성적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공간 이해능력은 물론, 상상력과 창의성, 협동심까지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후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특성과 기술적 프로세스를 심층적으로 연구해 향후 유아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소규모 학교공간혁신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Small School Space Innovation)

  • 권순철;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4호
    • /
    • pp.1-8
    • /
    • 2023
  •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에 따른 학교의 소규모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지역 및 학교 소멸에 대한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규모학교에서 미래교육 대응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미래에는 유연한 교육과정, 디지털·인공지능 기반의 교실 수업 개선 등과 같은 교육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 창의성 및 인성 함양, 학업성취도 향상, 협력적 소통 역량 강화와 교사들의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등의 교육적 효과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공간혁신 등 학교시설을 미래지향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학교에서 미래형 교육체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고 학교공간 변화와 학교교육 상관관계, 스마트 환경 등 공간혁신의 교육적 효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소규모학교 공간혁신사업의 바람직한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663-690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감각 중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핀란드, 독일, 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지도 학년과 학년별 내용, 위치, 방향, 좌표, 경로, 거리의 공간 방향 요소와 요소별 내용과 현실 맥락을 중심으로 국가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교과서 비교 분석 결과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교육과정에 공간 방향 내용과 기간 확장 및 고학년의 공간 방향 지도 강화, 공간 방향 내용 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경험 제공, 학생들 주변의 친숙하고 현실적인 맥락 활용을 제안하였다.

가상공간에서 로봇조립교육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구현 (Design Implementation of Robots Assemble Content for Education in Cyberspace)

  • 정회준;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3-466
    • /
    • 2011
  •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연결과 모바일기기의 발달로 사이버공간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로봇조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교육용 콘텐츠를 디자인하고 구현한다. 콘텐츠는 로봇 부품을 사용자가 조립해 나가는 과정으로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법과 액션 스크립트을 활용해서 동영상과 상호작용을 조립과정 콘텐츠에 나타내었다.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중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로봇 조립과정을 구현함으로써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직접 조작으로 조립함으로서 교육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현재의 구현과정은 이미지위주의 제한적 조립과정이지만 향후에는 3차원 모델링기반의 AR(증강현실) 구현으로 발전할 수 있다.

  • PDF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atial Abilities)

  • 김남균;오은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1호
    • /
    • pp.21-38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년과 성적에 따른 실태를 조사하였다. 공간 능력은 크게 공간관계와 공간시각화로 나누고 그 하위요소들을 각각 3가지와 5가지로 두어 자세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년에 따른 공간능력의 실태를 살펴보면 고학년일수록 그 능력이 높았으며, 성적에 따른 공간능력의 경우, 성적 우수 아동이 그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해당 공간능력을 다루느냐, 다루지 않느냐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하여 교수학습 과정 및 현재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가상현실 공간설계 시뮬레이션의 교육적 활용 탐색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the Virtual Reality Space Design Simulation)

  • 김지윤;정복문;유지연;이태욱;김귀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39-442
    • /
    • 2021
  • 가상현실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으로 꼽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공간설계의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하고 교육적 활용을 위한 툴로서 3D 컴퓨터 그래픽 제작 소프트웨어인 블렌더와 3D 객체를 웹에서 쉽게 렌더링해주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three.js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프로토타입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학습자들은 자유도 높은 가상공간 공간설계가 가능하여 조형놀이의 형태로 학습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에서 구현한 프로토타입과 같은 방식으로 가상현실 공간설계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토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