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용콘텐츠

Search Result 56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usability factors for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 (모바일 교육 콘텐츠의 사용성 평가요인 분석: 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 Choi, Eun-Yo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50
    • /
    • pp.453-478
    • /
    • 2018
  • Mobile learning, which provides educational services with a mobile platform, has been greatly expanding with the increasing spread of digital devices. The transition from PC-based online education to mobile-based education enables users to access online education anytime and anywhere. Despite this expansion of mobile learning, there is a lack of user-oriented content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a measure to evaluate usefulness of the content design.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existing measures, which evaluate usefulness and content of mobile learning. As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s have both educational service and mobile device features, they can be representative of pedagogical usability criterion and can be divided into system and content areas to further develop effectiveness of learning.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the use of these applications on 15 experts using the del phi technique. The analysis suggests the ease of use, learning efficiency, aesthetics, and ease of learning to be criteria of pedagogical usability. This study expects to serve as a basi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learning users.

Analysis of Educational Game in China (중국에서의 교육용 게임 분석)

  • Duan, XiaoYun;Im, Kwang Hyuk;Kim, Soo-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51-352
    • /
    • 2014
  • 교육용 게임의 목표는 교육 게임 산업보고서에서 밝힌 것과 같이 게임 사용자의 지식, 기술, 지력, 정감, 태도, 가치관, 그리고 교육적 효과를 가지도록 해야 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오락성에 못지않게 규칙, 경쟁, 도전 같은 요소들 또한 내포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중요한 요소는 게임이 주는 교육적 효과라고 볼 수 있는데, 만약 교육적 효과가 높다면 좋은 게임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반적인 게임과 마찬가지로 교육용 게임에 대한 시선은 좋지 못한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시선으로 인해 교육용 게임은 크게 보편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육용 게임에 대해 소개해 본다.

  • PD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utilizing regional culture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용콘텐츠 개발연구)

  • Yoo, Myung-Iee;Jun, M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38-742
    • /
    • 2008
  • The 21st century is often dubbed as a century of culture. Many eyes are on various cultures including global and national ones. In particular regional cultures have emerged as a major interest. Korea's Jeonnam province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backward region is not an exception in this regard. Its cultural contents which are still intact due to lagging development are drawing much attention. Growing interests and efforts to develop traditional cultural items like Jeonju's traditional paper, Naju's natural dyeing or Damyang's bamboo are good examples. This study is to focus on Damyang's bamboo relying on scientific approach and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which demonstrate connections between science and culture. Thus, the study presents region-oriented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regional cultures, which will bring about pride and affection toward regions and cultures.

  • PDF

A Study for Vitalization of Educational Serious Game Competition (교육 기능성게임대회 활성화방안 연구)

  • Choi, Hun;Baek, Yejin;Seo, D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5-306
    • /
    • 2012
  • 미디어 플랫폼의 다양화로 인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교육용기능성게임은 G-learning 베이스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이라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저변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게임을 즐기고 자라난 게임세대들에 대한 인식전환과 교육용 기능성게임에 대한 교육적 효과검증을 통하여 교육용 기능성게임을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하여는 사회적 인식전환과 저변확대가 우선순위이다. 이를 위하여는 일반인들에게 교육용기능성게임을 알릴 수 있는 대회를 활성화하여 인식의 전환과 효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교육용 기능성게임대를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국내 교육용 기능성게임 유저를 확산시켜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적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Motion based Training Contents: "3D Space Exploration" Case Study (동작 기반의 훈련콘텐츠 : "3D 우주탐험" 개발사례)

  • Lim, C.J.;Park, Seung Goo;Jeong, Yun Gue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3 no.5
    • /
    • pp.63-72
    • /
    • 2013
  • To enhance the effect of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we developed a motion based training content: 3D space exploration. In this content, we used the 3D depth camera for user's motion recognition. Learners have to conduct the space station maintenance mission using the motion based natural and intuitive interface. The resul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pose the immersive training simulation for young science learners.

Design Implementation of Robots Assemble Content for Education in Cyberspace (가상공간에서 로봇조립교육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구현)

  • Jung, Hoe-Jun;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3-466
    • /
    • 2011
  •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연결과 모바일기기의 발달로 사이버공간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로봇조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교육용 콘텐츠를 디자인하고 구현한다. 콘텐츠는 로봇 부품을 사용자가 조립해 나가는 과정으로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법과 액션 스크립트을 활용해서 동영상과 상호작용을 조립과정 콘텐츠에 나타내었다.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중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로봇 조립과정을 구현함으로써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직접 조작으로 조립함으로서 교육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현재의 구현과정은 이미지위주의 제한적 조립과정이지만 향후에는 3차원 모델링기반의 AR(증강현실) 구현으로 발전할 수 있다.

  • PDF

Design Strategy for Improving the Effec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Public Institutions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디자인 전략)

  • Park, Sung-E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3
    • /
    • pp.444-453
    • /
    • 2010
  •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rapidly built through networks; and, through this, epochal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reoccurring in diverse societal economic cultural ways. Especially, digital-education emerging together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is taking its place as an educational system which will be able to replac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held by present education methods. The role of GUI(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which adds user cognitive power and convenience as a method of purveying innumerous information, is growing.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utilized in public organizations, research is performed regarding an educational content design for a more effective education of learners.

University Students' Use of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s (대학생들의 교육용 앱 사용 현황)

  • Nam, Sang-Z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7-158
    • /
    • 2016
  • 이제는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 용품이 되었다. 수많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은 편리하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주고 있다. 대학생들에게도 사용하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실태는 관심의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양적인 조사를 연구 범위로 한다. 조사방법론으로는 대전의 한 대학교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통하여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사용 여부와 사용 시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선택 경위를 파악하는 설문방법을 취한다. 먼저 성별과 학년별 스마트폰 종류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교육용 앱 사용 여부와 사용시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선택 경위에 있어 스마트폰 종류,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에 따른 차이를 SPSS 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검증 결과는 성별 보유 스마트폰의 종류는 차이가 없으나 학년별로는 신입생보다 재학생들이 아이폰을 사용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폰 종류별로 교육용 앱의 사용시간에 차이가 있어 안드로이드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이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긴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성별, 학년별 사용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Extraction Skil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가상현실 기반의 치아발치 수기 훈련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 Park, Jong-Tae;Kim, Ji Hyo;Lee, Jeo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218-22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educational content developed for training of dental extraction skill in a virtu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consists of five steps: learning content analysis, draw a design model, development, test of validity, rectification and complete of the content. We developed the virtual reality (VR) simulator with producing an animation of surgical stages on the 3D models of human face for simulating dental extrac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validity tests for the content were mean 4.81 (SD, 0.72) for interface validity and mean 4.66 (SD, 0.71) for content validity, which represents strong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content. The data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developed for training of dental extraction skill using VR technology can be suitable to improve surgical skill of dental extraction in clinical field. We expect that furthe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VR technology to improve various surgical skills in clinical field will be address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Content (컴퓨팅적 사고 교육용 콘텐츠 개발)

  • Choi, Hyo Hyun;Lee, Seon Yeong;Lee,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305-306
    • /
    • 2018
  • 본 논문에서 하드웨어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알고리즘을 고민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지시박스와 신호등을 이용한 간단한 알고리즘을 시작으로 조건문과 함수를 만들어서 코딩을 할 수 있는 복잡한 알고리즘까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알고리즘에서 조금씩 다른 상황들을 제시하여 익히도록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