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과 훈련

검색결과 2,293건 처리시간 0.03초

LNG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 김종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2권)
    • /
    • pp.101-103
    • /
    • 2006
  • 최근 LNG 선박에 승무할 인력의 심각한 부족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센터의 개설 등 활발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NG 교육훈련센터에서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입각하여 교육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따라서 세계적으로 통일된 높은 수준의 교육훈련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발표에서는 국제해사대학연합의 LNG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된 아시아 LNG 교육훈련센터의 개요와 센터에서 개발된 표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이러한 교육훈련과정이 향후 전세계 LNG 교육훈련의 표준을 정립하는데 초석이 되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 PDF

ALETC(Asia LNG Education & Training Center) 설립 및 교육 현황

  • 김종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325-331
    • /
    • 2007
  • 최근 LNG 선박에 승무할 인력의 심각한 부족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센터의 개설 등 활발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NG 교육훈련센터에서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입각하여 교육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따라서 세계적으로 통일된 높은 수준의 교육훈련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발표에서는 국제해사대학연합의 LNG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된 아시아 LNG 교육훈련센터의 개요와 센터에서 개발된 표준 교육 훈련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이러한 교육훈련과정이 향후 전 세계 LNG 교육훈련의 표준을 정립하는데 초석이 되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 PDF

기업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ROI) 분석 (An Analysis of Return on Investment of Corporate e-Learning Program)

  • 이현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79-48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e-learning program)의 교육투자수익률(ROI)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ROI 모델을 통해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교육투자수익률을 산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투자 대비 수익을 중시하는 기업에 있어서 교육투자수익률을 분석하는 것은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투자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특정 회사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산출하여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을 운용하는 모든 기업의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수익률을 규명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전자교육훈련프로그램의 투자 및 운용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Container Terminal)

  • 김진용;전경주;신용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1-230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의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에 대한 선행연구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선진항만의 교육훈련 현황을 고찰하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과 비교 분석해 보았으며, 컨테이너터미널의 교육훈련 사례를 통하여 실제적인 교육훈련 수준을 조사해 보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훈련 실태를 분석하여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컨테이너 터미널의 교육훈련 실태분석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교육훈련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의 생존전략 및 항만이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체계적 기능인력 육성시스템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수혜대상인 종업원이 직접 참여하는 세분화된 교육훈련 계획에 의해 기능향상교육과 안전교육, 신규사원교육과 기존사원 재교육, OJT와 OffJT, 사내 및 사외 교육훈련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항만 생산성을 제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훈련 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켜갈 수 있도록 교육 후의 자격취득에 대해 급여를 차등 지급하는 기술급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력 채용, 배치, 승진, 승급 등의 전반적인 인적자원관리 활동을 능력 기준으로 수행함으로써, 교육훈련을 통한 능력 배양을 장려하는 인적자원 관리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 PDF

훈련과 교육의 재고찰 (The Educational Meaning of Training : In the Works of Deleuze and Guattari)

  • 정창호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3호
    • /
    • pp.17-38
    • /
    • 2019
  • 들뢰즈·가타리는 훈련의 교육적 의미를 쇄신하였다. 그들에 따르면 '과격한 훈련'은 무의식과 의식을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수영 훈련 시 몸의 힘을 빼는 일은 의식적으로 노력한다고 달성되지 않는다. 그것은 신체를 움직이는 훈련의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할 뿐이다. 이상의 주장에는 훈련에 관한 역사적 고찰이 갈마들어 있다. 고대 소크라테스는 진실 말하기를 유도하는 정신의 훈련과 몸을 건강하게 하는 신체 훈련을 구분함으로써 교육적 언어의 독자성을 확보하였고, 이는 오늘날에도 교육적 유산으로 계승되고 있다. 그러나 푸코가 제기한바, 근대 이래로 '규율훈련'형 사회에서 인간은 자발적 복종의 길에 들어섰다. 나아가 오늘날 '기능훈련'이라는 말조차 경영 언어로 대체된 바 우선 이를 극복할 이론적 논의가 요청된다. 이 지점에서 들뢰즈·가타리의 '전(前)인칭적 특이성들'에 입각한 '타자-되기'론은 정신의 훈련과 신체 훈련 간의 위계를 말소시킨다. 역설적이게도 이는 정신의 훈련을 '기능훈련'으로 흡수해 버린 근대적 사고를 전도시킴으로써, 소크라테스가 남긴 교육 언어로서의 훈련의 의미를 사유할 이론적 교두보로 기능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우리는 이 교육적 효과를 발판삼아 궁술(弓術)훈련의 교육적 가치를 음미할 수 있다. 궁술훈련은 엄격한 훈련과 명상을 관통하는 훌륭한 교육적 사례이다.

  • PDF

공무원교육훈련정책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계층의사결정방법(AHP)을 활용하여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ivil Servant's Education Training Polic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 박종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63-272
    • /
    • 2012
  • 본 연구는 공무원 교육훈련정책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공무원교육훈련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 방법론을 적용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영역별 평가요소에 대한 상대적 우선순위를 보면, 교육훈련운영시스템, 교육훈련프로그램, 교육인프라, 교육훈련평가관리 중에서 교육훈련운영시스템이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로 분석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의 관점에서 보면, 교육훈련프로그램에서는 Acting Learning 교육프로그램, 교육훈련운영시스템에서는 교육훈련기관 예산확충, 교육훈련평가관리에서는 교육훈련과 인사제도 연계, 교육인프라에서는 교수요원 확보 등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공무원 교육훈련정책을 경험적으로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actors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성차경;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05-310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훈련의 내용, 방법, 물리적 환경과 교수자 등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특성이 교육훈련의 학습만족과 직무만족,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교육훈련의 내용과 방법, 교수자 요인은 교육훈련의 학습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물리적 환경은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지방청 중심의 VTS관제사 교육훈련 개선안 제시

  • 송영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15
    • /
    • 2022
  • VTS센터의 해양사고예방 및 관제역량 향상에 있어 관제사의 교육과 훈련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현제 VTS관제사의 교육훈련 현황을 파악하고, VTS관제사 교육훈련을 개선하기 위하여 VTS교수요원, 관제사 기본업무 수행능력 자체 진단 평가 등 지방청 중심의 VTS관제사 교육훈련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교육훈련의 경제적 성과 -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dividual Wage Effect of Training)

  • 김안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1호
    • /
    • pp.131-160
    • /
    • 2002
  • 교육훈련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한국노동패널을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별로 살펴본 결과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육훈련의 임금효과는 근속의 두 배에 조금 미칠 정도로 크고 유의하게 나타난다. 교육훈련은 직무내용과 고용안정, 성장 가능성의 만족에 크고 유의한 양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선택편의를 통제하기 위해 임금함수의 1계차분으로 추정한 교육훈련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지 않다. 그러나 계속근속자와 이직경험자의 샘플로 나누어 추정하면 계속근속자의 교육훈련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지 않으나, 이직 경험자의 교육훈련 임금효과는 크고 유의하게 나타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비용을 부담한 교육훈련의 효과를 보면 이직 경험자의 교육훈련 임금효과는 그고 유의하게 나타나나, 계속근속자의 교육훈련 임금효과는 작고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들이 재직근로자가 교육훈련을 이수한 경우 그에 따라 임금을 올려 주지 않은 결과이다. 기업이 비용부담을 하는 경우에 교육훈련으로 인한 생산성 증가만큼 임금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결국 기업이 교육훈련 비용부담을 개별 근로자들에게 전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PDF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태도의 조절효과 검증 - (The Effect of Education Training on Job Performance of Service Industry Employees -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Training Attitude -)

  • 이수비;안진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93-108
    • /
    • 2018
  • 서비스산업은 면대면 고객응대가 필요하며 이는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이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본 연구는 교육훈련을 통한 성과가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역할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하고 단순히 교육훈련만의 효과를 검증하기보다 교육훈련에 임하는 종사자의 태도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의 결과,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이 보다 효과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여겨진 교육훈련에 대한 종사자의 태도는 교육훈련에 대한 교육만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절변수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국, 교육훈련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교육훈련이 직무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훈련전 교육태도에 대한 고취가 우선시 될 필요가 있으며, 향후연구에서는 교육태도의 역할에 대해 더욱 심도있게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