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과정 충실도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19초

구성주의 관점에서 각과 삼각형의 분류에 관한 초등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xtbooks and Guidebook for Teacher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Angles and Triangles in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 노은환;강정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313-330
    • /
    • 2015
  • 분류 활동은 개념 형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활동이다. 따라서 분류는 학습자 중심적인 교수를 통해 의미 충실한 학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분류와 관련한 교수 학습이 '학습자 중심'이라는 구성주의 철학을 잘 반영하고 있을지 의구심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과 삼각형의 분류와 관련한 초등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의 내용을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각의 분류에서는 공동체의 합의에 의한 합리적 기준 설정의 기회가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삼각형의 분류는 다양성의 측면에서 다소 급진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삼각형의 분류는 학생 반응 예측에서 이미 그 지식을 습득한 사람에게나 가능한 반응을 제안하는 경우를 접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계층적 분할적 분류에 대한 선택과 논의의 기회가 제공되지 않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 원칙의 충실한 반영, 학생 반응에 대한 신중한 예측, 결과보다 과정에 주목하는 교수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직업교육훈련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Career Maturity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 박재학;강병진;임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33-1639
    • /
    • 2012
  • 본 논문은 인천광역시 소재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직업훈련 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비로 교육을 받는 직업교육훈련생이 직업교육훈련과정에서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지, 가족, 지인"의 권유로 직업교육훈련을 받으러 왔으며. 교육훈련을 장기를 선호하고 학력이 낮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고 미혼자가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는 직업교육훈련 내용 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당국에서는 직업교육훈련과정 프로그램이 충실하게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의 도입과 설명 방법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Explanation of the sum of the Angles of a Triangl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홍갑주;오성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75-91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그 의미를 충실하게 전달하는 도입과 설명방법을 논의한다. 먼저 우리나라 역대 교육과정에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을 어떻게 도입하는지 조사하고, 교사들의 경험과 의견을 설문하였다. 그 결과를 각 모으기 활동과 각도 측정 활동의 맥락, 삼각형 내각의 합의 불변성의 전달방법, 기타 세부적인 사항이라는 세 주제로 정리하여 논의하였다.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을 위한 웹 디자인 특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pplementary Class in Web Design Education for Industrial Highschool Students)

  • 김세균;김관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7-136
    • /
    • 2002
  • 현행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디자인 교육은 실용적 기능이나 일반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디자인의 요구와 조건에 부응하지 못하고 기능수준이 산업현장의 그것에 미치지 못해 기업으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말하자면, 실업계 고등학교는 현장에 충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동시에, 다양한 응용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 현장에 부합한 교육이 요구되나 이를 학교수업만으로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체에서 가장 많이 선호되어지고 정보화 시대 실업계 디자인과 학생들의 교육에 필수적인 웹 디자인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특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지리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을 위한 또 하나의 구성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중심으로- (A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o the Geography Education -An Implication of the Reggio Emilia Approach-)

  • 송언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5-120
    • /
    • 2000
  • 구성주의 수업은 삶의 경험 혹은 나의 문제로 전환된 문제를 학습주제로 하여,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간에 상호성과 상보성이 전제된 대화화 협력을 통해, 맥락에 적합한 지식을 구성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구성주의 지리교육은 지리학을 위해 지리적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 삶을 위해 지리적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리적 맥락과 맥락의 구성에 충실할 때 가능해 진다. 방법론적으로는 생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지리적 사상을 학습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그림이라는 상징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맥락에 따라 구성, 재구성하는 과정 속에 지리적 지식이 구성되게 하는 것이다.

  • PDF

직업역량 강화를 위한 경력개발 시스템의 요구분석 및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of Career development system)

  • 전주현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1-152
    • /
    • 2018
  • ICT를 기반으로 한 기술융합의 속도와 범위가 확대되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기업 및 산업의 혁신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방안 수립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학부생들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직업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과와 비교과과정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기존의 경력개발 시스템은 학교행정중심으로 개발되어 그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었다. 이에 운영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학생-교원-직원-기업 등 주체에 차별적 Benefit을 제공하며, 경력개발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경력개발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요구분석과 시스템 설계를 진행 하였다.

  • PDF

초등 수학 교과서의 동분모 분수 덧셈과 뺄셈 단원의 차시 흐름 및 시각적 표현 다양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versity of Lesson Flow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Common Denominator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25-140
    • /
    • 2023
  • 초등학교 수학에서 분수의 연산은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개념이다. 분수 연산의 기초가 되는 동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하여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교과서 1종, 검정 교과서 10종을 분석하여 단원의 차시 흐름과 시각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교과서마다 나름의 순서와 차시 주제를 고민하여 단원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비교적 충실하게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다. 또한, 각각의 교과서마다 사용하는 시각적 표현의 종류와 개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분수의 연산 학습을 돕기 위하여 시각적 표현의 일관성 또는 다양성을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각 교과서의 차시 구성 및 시각적 표현의 특성을 파악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분수의 연산을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진로발달 과정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Science-Gifted Students from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Years)

  • 이기순;최경희;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8-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환경에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시기까지 과학영재의 진로발달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고 학생 18명이며, 회고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시절 이들은 과학에 대해 막연한 흥미가 발현되었는데, 환경적 요인보다 내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다. 중학교 시절에는 이들에게 과학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와 과학을 통해 사회적으로 앞서고자 하는 욕구가 발현되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일반적인 교육과정과 학습방법은 과학을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이들은 과학을 보다 전문적으로 심도 깊게 배울 수 있는 곳이라는 강한 기대로 과학고 진학을 선택하였다. 또한 과학고가 과학에 우수한 능력을 지닌 학생들이 선발되는 곳이라는 사실은 이들의 사회적 발전의 욕구를 더욱 자극하였다. 과학고에서 일반교육과정 이상의 심도 깊은 다양한 교육과정, 형식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학습 환경, 그리고 과학에 열정과 능력을 지닌 동료들은 이들의 진로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중학교 시절에 주로 학교 학습에 충실했던 경우는 학문적 측면에서 자신을 재발견하며 과학에 대해 더욱 심도 깊은 이해에 도달하였다. 또한 중학교 시절 과학경시대회 준비 등을 통해 수학이나 과학을 일반 교육과정이상으로 심도 깊게 접했던 경우는 과학고의 자유롭고 능동적인 학습 환경에 만족스러워 했으며, 특히 경시대회 준비를 지속함으로써 자신의 전문 분야에 계속 깊이 몰입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 겪는 시련의 극복을 통해 심리적 성숙이 이루어지면서 진로에 대한 정체감이 더욱 확고해졌다. 그들은 지금까지의 학습 경험에서 개인적으로 깊은 감동과 가치를 느낀 학문 분야가 있었으며, 대학에서도 이를 전공할 계획을 세웠다.

이해당사자 기반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Development of Stakeholder-based Evaluation Scal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raining Program)

  • 구경희;윤명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55-75
    • /
    • 2018
  • 본 연구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관련 이해당사자를 기반 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다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연구방법 모형 중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순차적 탐구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주요 이해당사자를 실습생, 담당교수자, 실습지도자, 프로그램 관리자의 네 집단으로 선정하고, 이해당사자들의 평가관점 및 평가내용을 탐색하였다. 탐색된 평가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활동 중인 1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각 이해당사자별로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의 위계를 가진 초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초안은 평가척도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35명의 전문가 패널을 활용하여 이해당사자별로 각각 2~3회기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실습생 90명, 담당교수자 22명, 실습지도자 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기술통계값,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이해당사자별 평가척도를 최종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실습생 평가척도는 8개 평가영역, 14개 평가부문, 51개 평가항목, 담당교수자 평가척도는 6개 평가영역, 10개 평가부문, 40개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실습지도자 평가척도는 3개 평가영역, 7개 평가부문, 31개 평가항목으로 완성되었으며, 프로그램 관리자 평가척도는 7개 평가영역, 15개 평가부문, 32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해당사자 기반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진행단계에 따른 각 이해당사자 입장의 변수들을 밝혀내어 개발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내적 충실도를 규명하는 데 유용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비례/반비례, 상관관계의 도입 시기 및 내용 조직에 대한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on Time of Introduction and Content Organization for Direct and Inverse Proportions and Correlation)

  • 김화경;김선희;박경미;장혜원;이환철;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403-420
    • /
    • 2016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주요한 내용 변화 중의 하나는 정비례/반비례를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상향이동하고, 상관관계 관련 내용을 중학교에 추가한 것이다. 이런 변화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된 것이 국제 비교 결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 일본, 싱가포르, 중국, 대만을 대상국으로 정하고, 정비례/반비례와 상관관계를 어느 시기에 어떤 범위에서 다루는지 조사하였다. 더불어 교육과정 내용 조직의 특성을 분석하는 틀로 수직적 계열성, 수평적 계열성, 외적 연결성, 내적 연결성의 네 가지 기준을 설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정비례/반비례와 상관관계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국가가 정비례/반비례를 중학교에서 도입하거나 초등학교에서 도입한 후 중학교에서 심화시키는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내용 조직의 특성 기준을 비교적 충실히 만족시키고 있다. 상관관계는 핀란드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고등학교 내용으로 포함시키고 있으며, 대부분 상관계수, 회귀직선, 최소제곱법 등 관련 개념들을 소개하면서 다양한 맥락에서 다루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