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과정 연구

Search Result 11,53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Analysis of Levels of Special Teachers' Interest In the Curriculum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관심수준 분석)

  • Oh, eu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35-4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교사들 184명을 대상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수준과 적용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과정 적용시 학생들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어려윰을 겪고 있었고, 현실적 제약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ritical review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1 focused on geometry (2011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 Park, Kyo-Sik;Kwon, Seok-Il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2
    • /
    • pp.261-275
    • /
    • 2012
  • There are some geometry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distinctly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1. In this study, indistinctness of some geometric topics presented indistinctly such as symbol $\overline{AB}{\perp}\overline{CD}$ simple construction, properties of congruent plane figures, solid of revolution, determination condition of the triangle, justification, center of similarity, position of similarity, middle point connection theorem in triangle, Pythagorean theorem, properties of inscribed angle are discussed. The following three agenda is suggested as conclus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xt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irst is a resolving unclarity of curriculum. Second is an issuing an authoritative commentary for mathematics curriculum. Third is a developing curriculum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sufficient researches.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tween Korea and the UK (한국과 영국의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 Kang, Kyung-L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3 no.4
    • /
    • pp.1-12
    • /
    • 2010
  •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th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compared th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 with the ICT PGCE in the U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ll 5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arded their role as producers of teachers and teacher re-traine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haracteristic educational curriculum by their different role. The courses for subject content were more important than those for subject pedagogy. The subject pedagogy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related to the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more frequently as the subject content. The course mainly consisted of only four weeks field experience. For potential computer teachers, it should be emphasized to practice fields works in schools.

  • PDF

A Modular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r the Gifted Information Children (초등정보영재아들을 위한 모듈형 교육과정 모델)

  • Kim, Kap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3
    • /
    • pp.299-307
    • /
    • 2012
  • Even though there are many models for educational curriculum of giftedness for children, there is little model for educational methodology and curriculum of information science giftedness of children. A curriculum model for information science giftedness of children is proposed on this study. This model's characteristics is a modular integrated curriculum model combined the mathematics, natural science, and information science. Because there is no regular curriculums of information science at elementary school. this model is valided. Also, There is also need to train multiple area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to expose information science giftedness of the children, This model is to minimi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ules, and to maximize the cohesion in the each module. As for result of statistics analysis for 60 giftedness students during three years, we know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 PDF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확률통계 교육

  • Lee, Sang-Bok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87-9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시행된 일본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의 수학과 구성과 성격을 연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상의 확률통계교육의 구성과 성격 및 편제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위주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및 편제의 특징은 통합학습시간 신설로 미국식 주제 교육의 도입, 완전학교 주 5 일제실시, 중고 일관교육, 단위제 고등학교학교 신설, 종합 학교의 설치로 설명된다. 확률통계 교육의 내용과 범위는 과거 교육과정과 크게 달라진 점은 없으나, 7교과 분야 가운데 3 교과 부분에 자료 위주의 실용통계계산 교육과 통계소프트웨어교육 강화가 그 특징이다.

  • PDF

Analysi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Lee, Yang-R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3
    • /
    • pp.468-480
    • /
    • 2004
  •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re are discrepancy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ubject-matter curricula. The possible reasons for this are as follows: The developers of the general statements were educational curriculum specialists. These specialists were not good enough to develop general statements and guidelines of subject matter curricul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ntents, to examine developed science curriculum, and to give feedback to science curriculum developers. Under the present curriculum developing system where curriculum is developed in ten months or less by the research team commissioned unpredictably and imminently, it might be difficult to develop valid and precise science curriculum reflecting the purport of the general statements and teachers' needs. The inadequacy of thes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resulted in (1) inconsistent statement about the school year to be applied to differentiated curriculum, (2) abstract and ambiguous stat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guidelines of enrichment activities, and (3) failure to reduce science contents to a reasonable level. Therefore curriculum development centers should be designated in advance to do basic research at ordinary times, and organized into a cooperative system among them. Two years or more of developing time and wider participation of scientists are recommended to develop more valid and precise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commentaries on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published before textbook writing begins.

Development of ICT Lesson Plans for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중등 수학과 1,2학년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연구)

  • Whang, Woo-Hyung;Kim, Min-K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86-494
    • /
    • 2004
  • 본 연구는 ICT를 활용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ICT활용 교육방법의 도입과 함께 예비 수학 교사들의 ICT활용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로써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방법적 측면에서의 도구적 교체가 아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학습과정의 질적 개선을 추구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수학교육론시간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직접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들었으며 중학교 수학 1, 2학년 교과 내용을 211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및 교육과정 분석 교수학습 모형정립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내용적 연구와 함께 과정안의 구현을 위한 기술공학적 실습 과정을 병행하였다.

  • PDF

A Study on Content Analysis and Types of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분석 및 유형화 연구)

  • Choi, Seon Hye;Ha, Si 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4
    • /
    • pp.689-71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n 'Forest Educ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forest educationrelated content in the curriculum. Thetypesofforesteducationintextbooksweredividedintoanalysis. In addition,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of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into the areas of forest education curriculum to deter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of forest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at, first, the field of knowledge in forest education was included in all subjects and grades except mathematics. It noted that the curriculum includes areas of knowledge that directly convey knowledge related to forest education. This showed that the forest education knowledge area is linked to various courses. Second, the types of forest education included in the curriculum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age. In the lower grades, there was the most information on the tools and sensibilities of forest education, and in the higher grades, the more knowledge and value-related areas were addressed.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so do forest education levels. Third, when analyzing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included key points in forest education.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link between the curriculum and forest education.

Review on the Australian Curriculum: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 So, Kyung-Hee;Jang, Ju-Kyung;Lee, Sun-Young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1 no.2
    • /
    • pp.51-73
    • /
    • 2011
  • In Australia, school education had maintained a state-based curriculum for a long time. However recently, Australia developed national curriculum and plans to implement it from 2011. It is meaningful to review why Australia tries to break with the tradition kept for many years and hand over the right to decide school curriculum from the states or territories to the nation, which is opposite from the Korean situation. Especially, because in Australia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one of the education revolutions, we need to investigate how the fundamental change corresponding to the 'revolution' is revealed in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through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t features about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Australia implements for the first time. To achieve the purpose, the article analyzes national curriculum of Australia in three ways. First, it reviews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article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focused on the structure of it. Finally, it discusses several implications that the case of Australia gives to the system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