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과정 연구

Search Result 11,51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Choe, Hyo-Il;Choe, Ho-Seong
    •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 /
    • v.1 no.2
    • /
    • pp.139-162
    • /
    • 1997
  •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두 나라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을 비교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교육과정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찾아서 한국 교육과정의 사회적 및 개인적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후 한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미국의 경우 1980 년대 들어 서면서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작업에 노력해 왔으며, 한국도 1980 년대 후반부터 제 6 차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미국은 NCTM (미국 수학교사협회)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학교육의 표준을 설정하고, 향후 수학교육이 지향할 방향과 전략을 설정한 바 있다. 또한 한국은 제 6 차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통하여 1992 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물론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범위와 대상을 폭 넓게 정할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대상을 최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NCTM 의 일련의 교육 표준화 관련 연구들과 한국의 제 6 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수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1)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육의 일반적 성격, 기본 방향 교육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고, 2) 양국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NCTM 의 교육과정 안에 명시된 중학교 과정의 수학과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준거로 하여 한국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학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물론 한 국가의 교육과정 체제를 목표 및 내용 요소의 비교만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향후 미국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은 내용의 조직, 방법, 평가, 그리고 운영계획 등에 관한 분석으로 확대되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Exploring Research Trends in Curriculum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연구 동향 탐색)

  • Jang, Bong Seok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45-5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s among essential keywords in curriculum. The number of 1,935 keyword was collected from 644 manuscript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9.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softwares of KrKwic and KrTitle to compose a 1-mode network matrix and UCINET 6 and NetDraw to implement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keyword was curriculum, curriculum development, national curriculum, competency-based curriculum,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understanding by design, competency, teacher education, school curriculum, and IBDP from highest to lowest. Second, degree centrality was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competency-based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nderstanding by design, competency, key competency, high school curriculum, textbook, curriculum implementation, teacher education, and IBDP from highest to lowest.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athematics Curriculum (수학과 교육과정연구 분석 및 고찰)

  • Kim, Goo-Yeon;Kwon, Na-Young;Kim, R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2
    • /
    • pp.317-33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urrent state of curriculum research and research methods used in the research in Korea. Results from the review of peer-reviewed research articles suggest that the ways in which the research studies on curriculum in Korea sorted out issues seemed to heavily concentrate on the written and intended curriculum by means of a document analysis. The topics of curriculum studies were biased in the studies of intended curriculum, and a significant number of curriculum studies were related to elementary level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showed that many studies on mathematics curriculum have focused on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curriculum materials, document analysi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in the studies of mathematics curriculum. We finally suggest pursuing various research topics and issues on curriculum, balancing weigh on the written and enacted curriculum, and deeper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extbooks.

  • PDF

선형 대수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변천

  • Sin, Gyeong-Hu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133-142
    • /
    • 2004
  • 선형대수 교육과정 연구 단체(LACSG, The Linear Algebra Curriculum Study Group)는 1990년 그의 결성과 함께 선형대수 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할 다섯 가지 추천 목록을 발표하였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기존의 형식적이고 엄밀한 벡터공간 중심의 선형대수 교육과정을 보다 실용적인 행렬중심으로 바꿀 것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벡터 공간 중심의 교육과정과 행렬 중심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역사적 흐름에서 행렬 중심의 교육과정이 우위를 차지하게 된 배경을 살핀다. 또한 이러한 교육과정과 맥을 같이한 선형대수 교과서의 변천과, 행렬의 곱의 전개를 중심으로 두 중심사이의 차이를 논한다.

  • PDF

Curriculum Orienta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 Educators (가정과 교사교육자들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

  • Ryu, Sang-He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0 no.1
    • /
    • pp.1-13
    • /
    • 2001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교육자(전국 국 사립 대학의 가정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들의 교육과정 관점을 조사함으로써 실천적 비판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교사교육자들을 위한 세미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과 교사교육자들은 하나의 두드러진 교육과정 관점을 선호하지는 않았지만 인지과정중심 교육과정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 석사과정에서 가정학 세부영역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는 가정교육학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보다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기술중심 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3) 박사과정에서 가정교육학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는 가정학 세부영역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보다 개인중심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4) 가정교육학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는 가정학 세부영역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보다 기술중심 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 PDF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확률통계 교육

  • 이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확률통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를 위하여, 한국의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의 수학과 구성과 성격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상의 확률통계교육의 구성과 성격 및 편제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양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고찰한 결과, 한일 양국의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위주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및 편제가 상당한 부분 비슷하거나 같았다 그러나, 지도목표 서술과 학제가 다르며, 실제 수학과 교과운영에는 차이가 많이 있다.

  • PD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Curriculum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초등 정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Lee, 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3
    • /
    • pp.537-545
    • /
    • 2021
  • Contents related to computers in the curriculum have been presented from the 5th curriculum released in 1987. The practical education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composed of software-related content from the existing ICT-related contents. Related research needs to be preceded in order to revise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times and social needs.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education is mainly conducted by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sis of the Society for Information Educati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society were analyzed by a period of change in the curriculum.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of the society shows a change in research trends similar to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search of society precedes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Exploring the Direction of Middle School Statistics Education through a Comparison of Statistical Content between China & Korea: Focused on the Revised 2022 Mathematics Curriculum (중국의 중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교육 방안 탐색: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Suh, Boeuk;Rim, Haem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7 no.3
    • /
    • pp.329-348
    • /
    • 2023
  • This study is necessary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data and possibility'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ing on literatur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statistics education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purpose was achieved by examining the statistics learning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alyzing Chinese mathematics curriculum, and analyzing Chinese mathematics textbook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five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s and probability' area of the Chinese mathematics curriculum. The extracted elements are the 4th grade goals, synthesis and practice content areas, achievement standards for statistics and probability (6), (9), and (11). Second, examples presented in Chinese mathematics textbooks and Chinese curriculum appendices related to the extracted elements were analyzed. Regarding the 4th grade goal,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7th grade 2nd semester mathematics textbook was analyzed. Regarding the synthesis and practice content area, the data analysis unit of the 8th grade 2nd semester mathematics textbook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standard (6), Example 85 of the curriculum appendix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standard (9), Example 86 was analyzed, an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standard (11), Example 87 was analyzed. Thi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ere deri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curriculum statistics education.

러시아 7-9학년 수학 교육과정의 개별적 접근

  • Sin, Hyeon-Yong;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203-217
    • /
    • 1999
  • 제 7차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많은 연구들에서 ‘수요자를 중심의 교육’, 즉 학습자의 개별적인 인지적 특성, 수학적 흥미, 재능을 고려하는 수학 교육을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1980년대 말 이후부터 러시아에서도 이러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의 중학교(7-9학년) 수학 교육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유형(일반 학생들을 위한 제1유형, 제 2유형, 수학 심화 교육과정)의 교육과정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러시아에서는 교육과정 수준에서 어떤 개별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수학교육의 개별적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를 제공할 것이다.

  • PDF